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제칠일 안식일과 기독교 신앙 ― 왜 하필 제칠일 안식일인가?
서문
— 1
제 1 부 제칠일 안식일 신앙의 이유
— 6
제 1장 왜 하필 제칠일 안식일인가
— 7
세상의 경축일들과 제칠일 안식일
— 7
성경 종교의 다른 점과 안식일의 계명
— 7
날짜를 가르치고 있는 창세기 1장
— 7
보통 날과 특별한 날
— 7
혹은 이 날을 저 날보다 낫게 여기고 혹은 모든 날을 같게 여기나니
— 7
성일로서의 안식일
— 7
휴일로서의 안식일
— 7
축제일로서의 안식일
— 7
어찌하여 하필이면 제칠일이어야 하는가
— 7
제 2장 그리스도인은 왜 안식일을 지켜야 하는가
— 31
안식일은 하나님께서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친히 명령하신 날이다
— 31
하나님의 계명은 사랑의 명령이다
— 31
안식일은 우리가 여호와께 속한 신분의 표시이다
— 31
안식일은 하나님이 엿새 동안에 천지를 창조하고 제칠일에 쉬어 평안하신 날이다
— 31
일요일을 배척하는 이유
— 31
제 3장 제칠일 안식일은 창세때에 제정된 날이다
— 42
1. 안식일은 태초에 사람을 위해 제정 되었다.
— 42
2. 안식일이 창세 때로부터 시작한다는 교리의 중요성
— 42
3. 구약성경에 진술되어 있는 안식일의 창세적 기원
1
— 42
4. 신약성경에 진술된 안식일의 창세적 기원
— 42
5. 신약성경 히브리서에 진술된 안식일의 창세적 기원
— 42
6. 유대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의 창세적 기원
— 42
참고
— 42
제 4장 제칠일 안식일은 사람을 “살려 주는 영”의 날이다
— 53
제칠일 안식일은 우리에게 다른 날과 어떻게 달라서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기에 적합한가?
— 53
제7일: 네가 쉬어 숨을 돌리고 새 생명을 얻는 날
— 53
안식일: 하나님께서 우리들의 코에 하나님의 새 숨을 불어 넣으시는(딤후 3:16) 날
— 53
안식일의 사람: 하나님의 성령으로 다시 살아난 성령의 사람
— 53
제 5장 제칠일 안식일은“너희가 신령과 진정으로 아버지께 예배할 때”이다.
— 64
제 6장 제칠일 안식일은 사람의 구원을 위해 하나님이 자신의 안식을 내놓으신 날이다
— 70
안식일은 하나님 아버지가 사람 아들을 위해 베푼 혼인잔치
— 70
안식일은 사람이 하나님께 바치는 날이 아니라 하나님이 사람을 위해 선물로 내려주신 날이다
— 70
제 7장 안식일의 하나님은 문밖에 서서 사람의
— 79
안식일의 성령, 자유의 성령
— 79
안식일 하나님의 눈높이 사랑과 안식일 자녀의 주체적 사랑
— 79
사람을 안식일의 주인으로 높이신 안식일의 하나님
— 79
제 8장 안식일은 어린양의 신부가 그 영적 정절을 나타내는 날이다
— 86
안식일: 하나님이 자신의 쉼으로 우리를 초청한 날
— 86
같이 쉬는 문제가 도덕적 문제인가
— 86
안식일: 하나님과 사람이 한 몸, 한 마음이 되는 큰 비밀의 날
— 86
안식일의 윤리: 어린양의 신부가 어린양과 더불어 사는 윤리
— 86
안식일의 하나님: 자기를 저버린 이스라엘에게 자비와 긍휼로 다시 장가드시는 하나님
— 86
제 9장 안식일 계명과 우상 숭배
— 96
안식일: 사람이 삶을 얻을 영적 계명
— 96
안식일: 총체적 계명
— 96
안식일 계명의 정반대에 위치하는 우상숭배
— 96
안식일을 저버리고 반역과 죄와 죽음을 선택한 인간
— 96
성소의 정결과 안식일의 재건
— 96
제 10장 여호와 유일 신앙과 안식일 계명
— 111
안식일: 유일 신앙의 표지
— 111
안식일 신앙의 선택: 제2의 엘리야 운동
— 111
일요일과 제칠일 안식일
— 111
일요일의 종교 혼합적 요소
— 111
제 11장 안식일과 아들의 상속권
— 122
안식일: 하나님 아버지께서 예비한 나라를 상속할 장자의 명분
— 122
하나님의 나라에 침노하는 자들
— 122
언약의 본가에서 태어난 아들들은 안식일의 언약에 대해 어찌하고 있는가
— 122
제 12장 우리의 구원과 제칠일 안식일 신앙
— 131
제 13장 안식일은 생명을 돌보는 사랑의 날이다.
— 137
안식일의 세계: 하나님이 낳고 기르는 세계
— 137
안식일의 삶: 자비를 베풀어 이웃이 되는 삶
— 137
안식일: 사랑의 계명 먼저
— 137
안식을 누리는 자의 책임
— 137
제 14장 안식일과 안식년과 희년, 그리고 메시야 예수
— 146
안식일․안식년․희년
— 146
메시아 시대와 예수
— 146
제 15장 안식일과 예수그리스도의 복음
— 153
예수님의 재창조와 제칠일 안식일
— 153
복음서에 나타난 재창조주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안식일
— 153
히브리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와 안식일의 관계
— 153
안식일을
“지키자”
— 153
제 2 부 예수님과 안식일
— 167
제 1장 예수님과 안식일
— 168
안식일에 무죄하신 예수님을 죄로 정하는 바리새인들
— 168
사람을 위한 안식일
— 168
예수님의 복음은 안식일의 복음이었다
— 168
안식일은 주의 날이다
— 168
제 2장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봉사와 안식일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 174
Ⅰ. 구약성경에 나타난 안식일과 주님의 관계
— 174
안식일, 임마누엘의 약속
— 174
안식일, 아담의 첫째 날
— 174
안식일의 평화와 조화
— 174
안식일의 번영
— 174
안식일의 기쁨
— 174
안식일의 빛
— 174
안식일 안식
— 174
안식일 해방
— 174
시간의 일곱 구조
— 174
결론
— 174
Ⅱ. 신약성경에 나타난 안식일과 주님의 관계
— 174
1. 누가복음에 나타난 안식일과 주님의 관계
— 174
안식일 준수의 모범을 보이신 그리스도
— 174
안식일 해방의 메시야적 실현
— 174
초기 안식일 치료
— 174
꼬부라진 여인의 치료
— 174
안식일 구원
— 174
2. 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과 안식일의 관계
— 174
구세주의 안식과 안식일
— 174
예수님이 내세운 것은 자신의 권위인가 아니면
— 174
제자들의 행위의 합법성인가?
— 174
그리스도, 율법의 해석자
— 174
한쪽 손 마른 사람
— 174
3. 요한복음에서 예수님과 안식일
— 174
안식일의 명료화인가 아니면 안식일에 대한 거부인가?
— 174
“아직까지”
라는 부사
— 174
“일하고 있다”
는 동사
— 174
“내 아버지께서 아직까지 일하신다”
는 주장의 신학적인 의미
— 174
4. 히브리서에서 예수님과 안식일
— 174
문자적인 안식일 준수인가 비유적인 안식일 준수인가?
— 174
폐했는가 남아 있는가
— 174
문자적인 안식일 준수인가 영적인 안식일 준수인가?
— 174
안식일 준수의 의미
— 174
5. 신약교회에서 안식일을 지키는 방식
— 174
안식일은 착한 일을 하는 날
— 174
안식일, 박애적인 봉사의 날
— 174
요약
— 174
참고
— 174
제 3장 안식일의 언약은 십자가의 언약이다
— 227
안식일의 언약
— 227
언약의 사람의 탄생
— 227
십자가의 언약
— 227
제 4장 안식일의 언약은 그리스도의 새언약이다
— 238
1. 옛 언약과 새 언약
— 238
(1) 두 언약에 차이가 있는가
— 238
시내산 언약: 율법과 은혜
— 238
믿음이 전부가 아니다
— 238
(2) 옛 언약과 새 언약의 차이는 율법과 사랑의 차이인가?
— 238
하나님의 율법의 내면화
— 238
율법과 사랑의 이분법은 없다
— 238
예수님과 새 언약의 법
— 238
율법의 계속성
— 238
Ⅱ. 히브리서에 있어서 옛 언약과 새 언약
— 238
히브리서 4장 9절의 해석
— 238
히브리서가 말하는 구약 종교 전통의 비연속성
— 238
새 언약에 있어서 십계명의 연속성
— 238
안식일 안식은 그리스도인이 날마다 누리는 은혜의 안식인가
— 238
구약성경의 안식일 안식 해석의 세 단계
— 238
히브리서에 나타난 안식일 안식의 세 단계 해석
— 238
히브리서에 나타난 안식일 안식의 본질
— 238
참고
— 238
제 3 부 바울과 안식일
— 269
제 1장 바울의 안식일관
— 270
골로새서 2장 16-17절과 골로새 교회의 이단
— 270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무엇인가?
— 270
바울의 안식일관
— 270
“규칙”
들의 본질
— 270
관습들이냐 원칙들이냐
— 270
골로새서 2장 16절에서 언급한 안식일
— 270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의 안식일
— 270
결론
— 270
참고
— 270
제 2장 골로새서 2장 16절의 “먹고 마시는 것과 절기나 월삭이나 안식일”
— 306
골로새서 2장 16절의 시대적 배경: 새 시대의 새 종교
— 306
골로새서 2장 16절
— 306
골로새서 2장 17절: 안식일의 그림자와 성취
— 306
골로새서 2장 14절: 우리를 대적하는 의문에 쓴 문서
— 306
그림자와 형상, 몸과 형상
— 306
골로새서 2장 16절에 대한 근래의 강력한 주장들
— 306
제 4 부 안식일과 일요일
— 328
제 1장 안식일 신앙의 역사 정신
— 328
안식일, 그 시간성과 역사성
— 328
안식일 백성의 역사 정신
— 328
제 2장 구약에는 제칠일이 안식일이고, 신약에는 첫째날이 안식일인가?
— 333
창세기의 안식일, 가나안의 안식일
— 333
창조의 때에 이루어진 신약시대의 안식일 안식
— 333
안식일 안식에 들어가는 동일한 방식
— 333
창조와 재창조의 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창조와 재창조의 날인 제칠일 안식일
— 333
제 3장 제칠일 안식일로 기념되는 창조와 해방과 부활
— 339
창조와 출애굽과 그리스도의 구속과 재림의 문맥
— 339
나사로의 부활 사건에서 창조와 출애굽 해방과 부활의 문맥
— 339
무엇이 일요일 신학의 문제인가
— 339
제 4장 안식일, 그리스도의 죽음과 장사됨 ∙∙∙ .
— 350
안식일, 창조와 출애굽의 기념일
— 350
예수님의 부활은 어떻게 기념되어야 하는가
— 350
제2의 출애굽인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
— 350
부활은 제2의 출애굽이요, 제2의 창조이다
— 350
제칠일 안식일, 창조와 출애굽의 날을 대표하고 예수님의 구속 사건을 대표하는 한없는 용량의 날
— 350
제 5장 일요일, 주의 날인가 태양의 날인가
— 363
창조 주간과 부활 주간에 있어서 첫째 날의 위치
— 363
첫째 날을 신격화하는 세계는 어디인가? 성경의 세계인가? 이교의 세계인가?
— 363
어찌하여 일요일의 주장이 참람한가?
— 363
제칠일 안식일, 유업을 이을 아들의 날
— 363
제 6장 신약성경에 나타난 일요일
— 372
신약성경에 8회에 걸처 나오는 안식 후 첫 날의 성격
— 372
요한계시록 1장 10절의
“주의 날”
과 일요일
— 372
기독교의 일요일 주일 역사에서
“안식 후 첫날”
의 비중
— 372
사람을 축복하기 위한 안식일의 존재 이유
— 372
제 7장 초기 기독교사에 있어서 안식일과 일요일
1
— 385
1세기
— 385
2세기
— 385
3세기
— 385
4세기(340년까지)
— 385
참고
— 385
제 8장 기독교에서 안식일 준수가 일요일 준수로 교체된 경위
1
— 399
1. 기독교의 일요일 주일의 기원에 관한 역사적인 주장들
— 399
2. 그리스도의 부활과 일요일 예배의 기원 문제
— 399
3. 예루살렘 교회와 일요일 예배의 기원 문제
— 399
예루살렘 교회의 인종적 구성과 신학적 특성
— 399
야고보의 역할
— 399
바울의 마지막 예루살렘 방문과 그의 율법적인 태도
— 399
AD 70년 이후의 예루살렘교회
— 399
로마황제 하드리아누스의 반 유대주의적인 정책
— 399
4. 로마교회와 일요일의 기원
— 399
로마교회의 특성들
— 399
로마교회와 안식일
— 399
로마교회와 부활절 일요일
— 399
부활절 일요일의 파급
— 399
5. 태양 숭배와 일요일의 기원.
— 399
태양숭배의 파급
— 399
결론
— 399
참고
— 399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