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그리스도가 성소 봉사의 경우에서처럼(
히 8:13; 9:23-28) 안식일의 기능과 안식일의 준수를 종식시킴으로써 안식일 안에 들어 있는 종말론적 기대를 충족시켰는가 아니면 안식일의 의미와 기능을 그리스도의 구속적인 성취까지 기념하도록 확장시킴으로써 안식일의 종말적 기대를 성취시켰는가 하는 것이다. 또 그리스도는 안식일의 준수를 하나님의 자녀들이 순종해야 할 하나님의 의심할 수 없는 요구로 보았는가 아니면 진정한 의미의 안식인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말미암아 성취되고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안식일 준수를 생각했는가. 또 그리스도는 가르치기를
“새 언약”의 그리스도인들은 제칠일에 주님께 의지하여 안식함으로써 안식일을 지키라 하지 않고 날마다
“구원의 안식”을 누리는 것으로 안식일을 지키라고 하였는가. 이를 위하여 누가복음, 마태복음, 요한복음, 히브리서에 기록된 안식일의 관련 구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