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
구약의 난해 문제
구약의 난해 문제
— 13
질문 1 창세기는 지구가 창조주일 이전에 이미 혼돈된 상태로 존재했다고 가르치는가?
— 14
“태초에”
— 14
“천지”
— 14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 14
창세기 1:1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 14
1. 창세기 1:1을 창조 기사의 제목으로 보는 견해
— 14
2. 파괴-복원설
— 14
3.
“소극적 간격”
(passive gap) 이론
— 14
4. 첫째 날에 우주가 창조되었다고 보는 견해
— 14
5. 전통적인 창조 이론
— 14
재림교회 내에 있는 두 가지 가능한 견해
— 14
미주
— 14
질문 2 창조주일의 첫째 날에 창조된 빛은 어떤 빛이었는가?
— 23
빛은 하나님의 임재였음
— 23
빛은 태양의 빛이었음
— 23
“또 별들을 만드시고”
— 23
창조와 경배
— 23
미주
— 23
질문 3 창조 기사에 나온 날들은 24시간으로 이뤄진 날들이었는가, 아니면 무한정한 기간의 시간이었는가?
— 27
족보[내력]로서의 창세기 1장
— 27
창조의 날들
— 27
학자들의 견해
— 27
창조의 날들은 연속적이며 문자적인 7일이었음
— 27
미주
— 27
질문 4 창세기 1장과 2장에는 서로 모순되는 두 개의 창조 기사가 있는가?
— 32
고대의 기록 습관
— 32
창세기 1장과 2장에 나오는 식물
— 32
들의 초목
— 32
밭의 식물(채소)
— 32
땅을 경작할 사람이 없었음
— 32
비
— 32
요약
— 32
미주
— 32
질문 5 강들의 이름을 근거로 에덴동산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가?
— 39
미주
— 39
질문 6 아담과 하와가 왜 즉시 죽지 않았는가?
— 41
“ ∙∙∙ 하는 날에”
라는 구문의 의미
— 41
“네가 ∙∙∙ 정녕 죽으리라”
는 구절의 의미
— 41
하나님의 말씀은 진실함
— 41
미주
— 41
질문 7 창세기 3:15은 메시아 예언인가 아닌가?
— 45
메시아의 씨[후손]
— 45
집단적 복수에서 개인적 단수로
— 45
해석
— 45
결론
— 45
미주
— 45
질문 8 가인이 어디서 아내를 얻었는가?
— 50
가까운 친척 간의 혼인
— 50
결론
— 50
미주
— 50
질문 9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은 누구였는가?
— 53
“네피림”
의 정체
— 53
“하나님의 아들들”
의 정체
— 53
천사들로 보는 견해
— 53
폭군들로 보는 견해
— 53
셋의 후예로 보는 견해
— 53
질문 10 어떻게 모든 종(種)의 동물이 방주에 보존되었는가 공룡은 어떻게 했는가?
— 57
노아방주의 크기
— 57
공룡은 어떻게 했는가?
— 57
엘렌 화잇의 통찰
— 57
미주
— 57
질문 11 노아홍수는 범세계적 홍수였는가?
— 62
범세계적 홍수를 지지하는 증거들
— 62
홍수와 관련된 용어들
— 62
미주
— 62
질문 12 여호와께서 참으로 바로의 마음을 강퍅케 하셨는가?
— 66
바로와 열 재앙
— 66
결론
— 66
질문 13 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 등 부족장들이 여호와의 이름을 알지 못했다고 말씀하셨는가?
— 71
오경에 나오는 여호와라는 이름
— 71
하나님의 품성이 계시됨
— 71
여호와를 아는 것
— 71
결론
— 71
질문 14 어떻게 200만 명도 넘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룻밤 사이에 홍해를 건널 수 있었는가?
— 76
이스라엘 백성들의 수효
— 76
고려해야 할 중요 사항들
— 76
홍해를 건넌 것은 기적이었음
— 76
건넌 지점
— 76
건넌 방식
— 76
미주
— 76
질문 15 여호와께서는 참으로 그분의 생각을 바꾸시는가?
— 81
금송아지 사건
— 81
중재자 모세
— 81
“돌이키다”
(repent)라는 말의 의미
— 81
하나님께서 돌이키시는 이유
— 81
하나님의 심판의 조건성
— 81
인간의 회개와 하나님의 돌이킴의 차이
— 81
미주
— 81
질문 16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관한 법들은 아직도 적실(適實)한가?
— 85
짐승의 부정
— 85
신약과 부정한 음식
— 85
결론
— 85
미주
— 85
질문 17 "아사셀을 위한 염소”의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 91
레위기 16장의 의식(儀式)
— 91
아사셀에 관한 각양한 견해들
— 91
아사셀을 위한 염소는 제물로 희생되지 않았음
— 91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죄를 대신 지시는 분임
— 91
결론
— 91
미주
— 91
질문 18 레위기 18:22은 동성애를 정죄하는가?
— 96
동성애에 대한 성경적 관점
— 96
동성애는 하나님께 대한 반역임
— 96
동성애는
“가증한 일”
임
— 96
동성애적 성향과 동성애적 습관
— 96
질문 19 왜 신명기 5장에 주어진 안식일 준수의 이유와 출애굽기 20장에 주어진 이유가 다른가?
— 101
두 본문의 비교
— 101
신명기 5장에 추가된 사항
— 101
추가적인 사항을 덧붙인 이유
— 101
추가된 사항의 효과
— 101
결론
— 101
미주
— 101
질문 20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으리라”라는 진술(신 5:5)과 “땅에는 언제든지 가난한 자가 그치지 아니하겠으므로”라는 진술(신 5:11)은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가?
— 107
안식년
— 107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으리라”
[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게 하라”
]
— 107
관대하라는 호소
— 107
미주
— 107
질문 21 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여자와 어린 아이를 포함한 가나안의 모든 족속을 “진멸하라”고 명령하셨는가?
— 112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
— 112
유예 기간
— 112
이스라엘의 역할
— 112
여호와의 전쟁
— 112
이스라엘의 선택
— 112
미주
— 112
질문 22 구약에서 이혼과 재혼은 허락되었는가?
— 118
이혼의 사유
— 118
이 법의 목적은 여성들의 인권을 보호하려는 것이었음
— 118
이혼은 사람들의 마음의 완악함 때문에 허용됨
— 118
미주
— 118
질문 23 어떻게 모세가 자기의 죽음에 대해 미리 기록할 수 있었을까?
— 123
역사를 다룬 부록
— 123
모세가 저자라는 증거
— 123
미주
— 123
질문 24 여호수아가 참으로 가나안 은 땅을 정복했는가?
— 127
가나안 족속들이 그 땅에 남아 있었던 이유
— 127
두 가지 국면의 정복
— 127
〈블레셋인들(Philistines)〉
— 127
미주
— 127
질문 25 하나님께서 사무엘에게 거짓말을 하라고 말씀하셨는가?
— 132
이 난제를 해결하는 제안들
— 132
하나님과 성실하심
— 132
사실을 숨김
— 132
사무엘상 16장에서 얻을 교훈
— 132
〈성경에 나오는 기도들〉
— 132
미주
— 132
질문 26 엔돌의 무당이 참으로 사무엘을 불러왔는가?
— 141
1. 선지자 사무엘이 진짜 나타남
— 141
2. 귀신이 사무엘로 변장함
— 141
에돌에서 있었던 이교적 행습들
— 141
사울에 대한 징벌이 덧붙여짐
— 141
정확하지 않은 예언
— 141
사울과 무당이 본 자는 진짜 사무엘이 아니었음
— 141
결론
— 141
〈구약에 나오는 가나안 족속〉
— 141
미주
— 141
질문 27 누가 이스라엘의 인구를 조사하라고 다윗을 부추겼는가?
— 149
이스라엘의 인구조사
— 149
다윗이 인구조사를 실시한 이유
— 149
누가 다윗을 부추겨 인구조사를 하도록 했는가?
— 149
결론
— 149
질문 28 아라우나(삼하 24:16)와 오르난(대상 21:15)은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가?
— 152
두 이름을 갖는 관습
— 152
질문 29 아하시야가 왕이 된 때는 요람의 제위 제12년인가? 아니면 제11년인가?
— 154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
— 154
질문 30 여호야긴은 몇 살 때 왕이 되었는가?
— 158
본문 와전(訓傳)의 가능성
— 158
해결책의 제안
— 158
미주
— 158
질문 31 잠언 8장은 그리스도에 대해 말하고 있는가?
— 161
잠언에 나타난 의인화
— 161
지혜의 기원
— 161
질문 32 잠언 31장은 주정음료를 허용하는가?
— 166
어머니의 권고
— 166
포도주와 독주를 금함
— 166
예외
— 166
반어법적인 권면
— 166
미주
— 166
질문 33 이사야 7:14은 처녀를 말하는가, 아니면 젊은 여자를 말하는가?
— 171
역사적 배경
— 171
히브리어 알마의 의미
— 171
“처녀”
의 신원
— 171
결론
— 171
질문 34 히브리인들은 땅에 “사방”[네 모퉁이]이 있다고 믿었는가?
— 174
고대 근동 지방의 관용구
— 174
미주
— 174
질문 35 “영영히”라는 말은 영원한 형벌을 의미하는가?
— 176
열국에 대한 하나님의 범세계적 심판
— 176
“영영히”
라는 말의 의미
— 176
영원히 타오르는 지옥불은 성경적 개념이 아님
— 176
미주
— 176
질문 36 여호와께서는 악도 창조하시는가?
— 180
하나님의 주권
— 180
“악”
의 의미
— 180
하나님은 악의 창시자가 아님
— 180
질문 37 새 땅에도 죽음이 존재하는가?
— 183
바벨론 포로와 귀환
— 183
“새 하늘과 새 땅”
의 의미
— 183
요약
— 183
질문 38 예레미야에 나온 새 언약은 참으로 새로운 것인가?
— 187
선지자들과 새 언약
— 187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 있는 연속성
— 187
새 언약에 나타난 새로운 요소들
— 187
“옛”
언약과
“새”
언약의 의미
— 187
오직 하나의 복음
— 187
결론
— 187
미주
— 187
질문 39 두로에 대한 예언은 실제로 성취되었는가?
— 194
문학적 구조
— 194
역사적 성취
— 194
현대 도시 두로
— 194
결론
— 194
미주
— 194
질문 40 예언에서 곡과 마곡은누구인가?
— 199
에스겔 예언의 요약
— 199
이 예언은 문자적으로 성취된 적이 없음
— 199
요한계시록에서 성취됨
— 199
미주
— 199
질문 41 왜 다니엘 4장에 나오는 “일곱 때”는 1일=1년 원칙으로 해석해선 안 되는가?
— 203
“일곱 때”
는 문자적인 7년을 말함
— 203
1일 = 1년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
— 203
요약
— 203
질문 42 작은 뿔이 나온 곳은 숫염소의 네 뿔 중 하나인가, 아니면 사방[네바람] 중 하나인가?
— 205
작은 뿔의 기원이 네 바람에 있음
— 205
결론
— 205
〈메시아 예언〉
— 205
질문 43 다니엘8장의작은 뿔은 누구인가?
— 209
작은 뿔은 정치적 세력임
— 209
작은 뿔은 종교적 세력임
— 209
역사에 나타난 작은 뿔
— 209
미주
— 209
질문 44 다니엘 8:14의 “성소의 정결”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215
이스라엘의 대속죄일
— 215
다니엘 7장과 8장에 나타난 대속죄일 개념
— 215
레위기 16장과 다니엘 8:14
— 215
해석
— 215
결론
— 215
미주
— 215
질문 45 다니엘 8:14의 2,300주야는 문자적인 날들인가, 아니면 상징적인 날들인가?
— 221
이상은 상징적임
— 221
작은 뿔은 로마임
— 221
교황 로마의 활동
— 221
2,300주야의 상징적 의미
— 221
다니엘 9장이 해석의 열쇠임
— 221
미주
— 221
짇문 46 다니엘 8:14의 2,300주야와 다니엘 9:24~26의 70이레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26
다니엘 8장과 9장의 연결 고리
— 226
결론
— 226
미주
— 226
질문 47 다니엘 12:1의 미가엘은 누구인가?
— 232
재림 때 있을 부활
— 232
미가엘이라는 이름의 의미
— 232
예수와 미가엘이 모두 천사장으로 불림
— 232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