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예언과 이스라엘 - 세대주의 예언해석학 비판 -
서문
— 1
저자 소개
— 1
번역판 추천사
— 1
주천사
— 1
감사의 글
— 1
번역판 저자 서문
— 1
역자 서문
— 1
서론
— 1
제 1장 모든 성경의 초점이신 그리스도
— 4
예언 해석에 있어서 그리스도 중심의 필요
— 4
참고문헌
— 4
제 2장 구약의 열쇠: 문자주의인가? 신약인가?
— 11
구약의 열쇠는 신약
— 11
후기 유대교의 문자주의
— 11
구약의 열쇠는 신약의 그리스도
— 11
참고 문헌
— 11
제 3장 문자적 해석과 우화적 해석
— 25
문자적 해석
— 25
우화적 해석
— 25
참고 문헌
— 25
제 4장 표상학적 해석
— 38
표상의 한계
— 38
세대주의와 표상학
— 38
예언적 종말론에서의 표상학
— 38
참고 문헌
— 38
제 5장 기독론적 해석
— 64
메시아적 예언들
— 64
구약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제3일”
부활
— 64
이스라엘 예배 송가에 대한 예수의 메시아적 적용
— 64
예언서에 나타난 역사적 진술에 대한 기독론적 해석
— 64
참고 문헌
— 64
제 6장 이스라엘의 신학적 의미와 사명
— 86
구약의 이스라엘
— 86
이스라엘 선택의 우주적 목적
— 86
제 7장 이스라엘의 남은 자에 대한 교회론적 해석
— 105
그리스도께서 이스라엘의 남은 자를 모으심이 곧 교회의 시작
— 105
이스라엘 예언에 나타난 남은 자로서의 교회
— 105
갈라디아서 본문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스라엘”
— 105
이방인 그리스도인은 이스라엘 안에서 동료임
— 105
이스라엘 언약의 교회론적 적용
— 105
제 8장 로마서 9-11 장의 교회와 이스라엘
— 135
성경적 판단에 있어서의 문맥의 역할
— 135
로마서 문맥 속의
‘이스라엘’
— 135
이스라엘의 남은 자 신학에 대한 바울의 적용
— 135
바울은 팔레스타인에서 이스라엘 신정의 회복을 찾았는가?
— 135
제 9장 신약의 관점에서 본 이스라엘의 지역적 약속
— 147
오직 하나님의 이스라엘에게만 약속된 땅
— 147
성서적 종말론의 통일성
— 147
문자주의 해석학의 부적절성
— 147
아브라함과 이스라엘 그리고 교회에 대한 우리의 희망
— 147
참고 문헌
— 147
제 10장 문제 구절들
— 160
사도행전 15:16-18에 적용된 아모스 9:11-12
— 160
이사야 11:10-12: 이스라엘의
“두 번째”
모임의 성취는 무엇인가?
— 160
1. 이사야 11장의 최초의 성취
— 160
2. 이사야 11장의 기독론적—교회론적 성취
— 160
3. 이사야 11장의 묵시론적 완성
— 160
4. 이사야 11:11-15에 대한 세대주의 해석
— 160
마태복음 23:39; 유대인들이 메시아를 영광중에 볼 때에 구원을 받는가?
— 160
누가복음 21:24: 예루살렘은 1967년 이래로 더 이상 이방인들에게 짓밟히지 않는가?
— 160
참고 문헌
— 160
제 11장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최후통첩:다니엘의 70이레
— 185
70 이레의 나뉠 수 없는 통일성
— 185
이레들을 나누는 근거들
— 185
그리스도는 이스라엘의 희생을 끝냈는가?
— 185
그리스도는 언제 기름부음을 받은 자가 되었나?
— 185
일흔 번째 이레에 대한 문자적 주석: 간격 가설에 대한 비판
— 185
참고 문헌
— 185
제 12장 예언된 환란과 교회를 위한 희망
— 202
교회의 복된 희망
— 202
이스라엘과 교회에 대해 예언된 환란
— 202
환란 중 그리스도의 보호에 대한 약속
— 202
마태복음 24장에 나타난 환란 후 그리스도의 파루시아
— 202
그리스도는 다니엘 9장의
“미운 물건”
을 어떻게 적용하였는가?
— 202
임박한 휴거 기대에 대한 바울의 대답
— 202
참고 문헌
— 202
요약과 결론
— 225
참고 문헌
— 225
역자소개
— 230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