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yrie,
Dispensationalism Today, 154, 155.
2
NSRB, 251(on Deuteronomy 30).
3 Documentation in Fuller,
Gospel and Law: Contrast or Cotinuum?, 15, 16.
4 W. D, Davies,
The Gospel and the Land: Early Christianity and Jewish Territorial Doctrine(Berkeley, Cal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29.
5 P. Diepold,
Israel’s Land, BWANT NR 15(Stuttgart: W. Kohlhammer, 1972), 109.
6 Davies(
The Gospel and the Land, 43)는 예레미야의 마음의 소망은
“유다뿐만이 아니라 북방 이스라엘도 궁극적으로 포로에서 돌아오는 것(렘 3:12; 31:45; 31:9, 15-20)”이 었다고 설명하였다.
7 Diepold, Israe’ls Land, 183.
8 새 스코필드 주석 성경(NSRB)은(a)
“천국”과(6)
“하나님의 나라”란 용어는 의미에 있어서 많이 겹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고 보았다. (a) 지상 백성만을 다스리기 위해 하늘로부터 행사하시는 하나님의 통치권,(b) 하나님의 우주적 왕국(994, 1002 쪽). 라이리는
“이러한 구분은 전혀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교회가 왕국이냐 아니냐이다”(
Dispensationalism Today, 173)고 하였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하나님의 보좌 위에서 행하시는 그리스도의 현재적 통치가 다윗 언약의 현재적 성취냐 아니냐이다.
9 Kaiser,
Toword an Old Testament Theology, 90, 91.
10 Fuller,
Gospel and Law: Contrast or Continuum?, 133.
11 Pentecost,
Things to come, 98.
12 Kaiser,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 94, 110.
13 P. Fairbaim,
Prophecy and Proper Interpretation(Grand Rapids, MI: Guardian Press, 1976; 1865의 재판), 229.
14 L. F. Were,
The Certainty of the Third Angel’s Message(Berrien Springs, MI: First impressions, 1979), 86.
15 참조하라.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632.
16 J. Bright,
Covenant and Promise: The Prophetic Understanding of the future in Pre-Exilic Israel(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