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주의 학자인 램(B. Ramm)은
‘문자주의’(literalism)란 용어를 모호한 용어라고 불렀다. 왜냐하면 어떤 이들에게 그것은 부정적인
‘축자주의’(letterism)를 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문자적’이란 말의 사전적 의미(웹스터)인
“단어의 관습적, 상용적, 상회 통념적 정의”5를 받아들여 문자주의와 문자적 해석을 구분한다. 그는 문자적 방법을
‘역사적—문법적’ 혹은
‘언어학적’ 방법이라고 불렀다. 그것의 목적은 오직 성경 본문이 맨 처음 기록될 때의 상황에 비추어
“본문의 최초 의미와 목적을 파악하려는”6 주석이다. 거기에는 적용과 성취의 영역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주석과 적용 사이의 이러한 구분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전혀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