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언과 이스라엘 - 세대주의 예언해석학 비판 - 제 12장 예언된 환란과 교회를 위한 희망
 마지막으로 어떤 세대주의자들은 적그리스도를 억제하는 신비한 막는 자(6, 7절)는 교회를 통해 역사하는 성령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막는 자가 “옮기는 것”(7절)은 적그리스도가 지구에 환란을 몰고 오기 전에 교회가 세상에서 휴거하는 것을 지적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군드리(R. H. Gundry)는 이러한 세대주의적 주석은 인접 문맥에서나 신약 전체에서도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없다고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심지어 성령께서 완고하고 악한 세상으로부터 마침내 떠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그리스도의 교회가 “구약의 경륜으로 되돌아가”37 땅에서 하늘로 완전히 철수되는 것을 증명하지 않는다. (223.1)
 윌마트(J. Wilmot)가 말하였듯이 성령과 교회가 없이 적그리스도가 통치하는 “칠년” 동안에 “아무라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열방으로부터 그리스도에게로 회개하여 돌아온다는 세대주의 종말론은 “환상적인 가정” 이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전후서에 나타난 그의 종말론을 통해 교회의 영광스러운 휴거와 동시에 일어나는 적그리스도의 멸망을 극적인 파루시아(특별히 데살로니가후서 2:1, 8 참조)에 위치시킨다. 이것이 환란 후 파루시아와 휴거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이다. 그것은 마태복음 24장에 서 그리스도가 그리스도인 세대를 위해 설명한 사건 개요에 기초하고 있다.38 (223.2)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이 적그리스도의 핍박 전에 하늘로 휴거할 것이라는 가르침을 믿을 때, 그들이 다가올 마지막 믿음의 시험을 어떻게 준비하겠는가? 환란 전 휴거론의 위험은 그것이 하나님의 백성들의 심령에 거짓 희망을 심어주어 교회로 하여금 마지막 위기를 준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223.3)
 참고 문헌
 1 참고하라. G. E. Ladd, The Blessed Hope (Grand Rapids, M: Eerdmans, 1960), 제 3장. 세대주의 신학자 Charles F. Baker는 그의 책 A Dispensational Theology에서 이 세 단 어를 분석한 이후 “우리는 단지 사용된 단어의 용례만으로는 휴거 때의 그리스도의 오심 과 그가 지구로 돌아오는 것을 구분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린다”(616쪽)고 시인하였다.

 2 Ryrie, Dispensationatism Today, 159. Hl77127.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192, “오직 환란 전 주의만이 이스라엘과 교회 그리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구분한다.”

 3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193.

 4 Ibid.

 5 R. H. Gundry, The Church and the Tribulation(Grand Rapids, M: Zondervan, 1973), 78.

 6 Ibid., 64-66을 참고하라.

 7 lbid., 58.

 8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70.

 9 Gundry, The Church and the Tribulation, 60.

 10 Walvoord, The Return of the Lord, 80.

 11 세대주의의 임박한 휴거 교리에 대해 훌륭하게 대답한 다음을 참조하라. Gundry, The Church and the Tribulation, 29. 71137 “Expectation and Imminence.”

 12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195, 196.

 13 Ibid., 195.

 14 Ladd, The Blessed Hope, 73.

 15 Walvoord, The Return of the Lord, 제5장.

 16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40.

 17 Walvoord, Israel in Prophecy, 109.

 18 새 스코필드 주석 성경(NSRB), 1034.

 19 Ibid.

 20 Gundry, The Church and the Tribulation, 제9장, “The Olivet Discourse.”

 21 Ibid, 130.

 22 참고자료와 함께 자세한 내용을 위해서는 다음을 참조하라. B. Reicke, “Synoptic Prophecies on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Studies in New Testament and Early Chiristian Literature(essays in honor of A.P. Wikgren), ed. D. E Aune(Leiden: E. J. Brill, 1972), 121 -134; 특별히 130쪽.

 23 Ibid., 133.

 24 마태복음 24:2-14에 대한 SDABC의 주석 제5권, 497, 498도 참조하라.

 25 Josephus(Wars VI 5.2)는 “수많은 거짓 선지자들이∙∙∙백성들에게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구원을 기다려야 한다고 선포하였다”고 기록하였다. 이것이 성전 구역에서만 6천명 의 여자와 아이들이 대량 학살 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비교하라. Srack-Billerbeck, Kommentar zum NT(Munchen: Beck, 1922) 4/2: 1003.

 26 새 스코필드 주석 성경(NSRB), 1114(눅 21:20에 대해).

 27 요세푸스는 110만 명의 유대인들이 죽었고 9만 7천 명의 사람들이 노예로  팔렸다고 기록하였다. 그는 “따라서 그 때에 죽은 사람들의 무리는 하나님이나 인간이 세상에 가져 온 어떤 멸망보다도 많았다”(Wars. VI 9.4)

 28 G. G. Cohen, “Is the Abomination of Desolation Past?” Moody Monthly. April 1975, 31, 34.

 29 Bruce, Israel and the Nations, 31, 34.

 30 본인이 마가복음 13장과 마태복음 24장을 다룬 Ministry(1983년 3월호)를 참조 하라.

 31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154.

 32 Ibid.

 33 Ibid., 164, 165.

 34 R. H. Gumdry(The Church md the Trailation, 6-99)는 “그리스도의 날”“주 의 날”은 다른 기술적인 의미가 없다는 것을 결론적으로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고린도 전서 5:5의 경우를 보라.

 35 Ibid., 121.

 36 E. I. Carver, When Jesus Comes Again (Phillipsburg, N.J.: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79), 271. 더 상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다음을 참조하라. Gundry, The Onurch and the Tribulation, 114.118.

 37 Gundry, The Chuurch and the Thbrulation, 128; 상세한 토의를 위해서는 122-128쪽 을 보라.

 38 참조하라. G. H. Waterman, “The Sources of Paul’s Teaching on the Second Coming of Christ in 1 and 2 Thessalonians,” JETS 18:2(Spring 1975): 105-113. 그는 “마태가 기록한 예수의 말씀이 바울 교훈의 원전이 되었다”고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