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
제15장 교회론(라울 데드랑, 채영석)
제15장 교회론(라울 데드랑, 채영석)
— 625
I. 하나님의 계획 안에 있는 교회
— 626
A. 그리스도의 의도
— 626
1. 제자 모집과 훈련
— 626
2. 목자와 양무리
— 626
B.
“이 반석 위에”
— 626
II. 교회의 본질과 범위
— 628
A. 성경의 용어
— 628
B. 지역적인 교회와 세계적인 교회
— 628
C.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 628
1. 하나님의 통치로서의 나라
— 628
2. 교회의 역할
— 628
D. 신실한 이스라엘
— 628
1. 두 개의 주된 접근법
— 628
2. 언약 관계
— 628
3. 영적 이스라엘로서의 교회
— 628
E. 교회는 가시적인가, 비가시적인가?
— 628
1. 두 극단
— 628
2. 믿음과 회개가우선함
— 628
3. 유형의 가시적인 교회
— 628
III. 교회를 가리키는 성경의 이미지들
— 634
A. 몸으로서의 교회
— 634
B. 신부로서의 교회
— 634
C. 성전으로서의 교회
— 634
D.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
— 634
E. 몇 가지 임시들
— 634
IV. 교회의 사명
— 636
A.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 636
B. 신자들을 가르치라
— 636
C. 궁핍하고 고통당하는 자들에 대한 돌봄
— 636
D.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 636
E. 선교의 중심에 있는
‘말씀’
— 636
F. 성령의 사역
— 636
1.
“성령으로 충만함”
— 636
2. 성령의 은사
— 636
V. 교회의 정치
— 639
A.사도들의 사역
— 639
B. 지역적인 사역
— 639
C. 교회 정치와 신약
— 639
1. 이론들
— 639
2. 기본 원칙들
— 639
3. 은사와 기관
— 639
VI. 교회의 예식
— 642
A. 침례
— 642
1. 선례와 기원
— 642
2. 명령
— 642
3. 침례의 의미
— 642
4. 한 몸으로 연합하는 침례
— 642
5. 신자들의 침례
— 642
6. 침례와 성령
— 642
B. 성만찬
— 642
1. 성만찬의 의미
— 642
a. 뒤를 돌아봄
— 642
b. 임재하는 상기자
— 642
c. 앞으로를 바라봄
— 642
d. 상징적인 요소들
— 642
2. 세족예식
— 642
VII. 교회의 권위
— 647
A. 궁극적인 권위
— 647
B. 사도의 권위
— 647
C. 성경의 권위
— 647
D. 지역 교회에서의 권위
— 647
E. 세계 교회에서의 권위
— 647
VIII. 교회의 특성들
— 649
A. 믿음
— 649
B. 친교
— 649
C. 하나 됨
— 649
D. 거룩함
— 649
E.보편성
— 649
F.사도성
— 649
G. 충성스러운 남은 무리
— 649
IX. 미래에 대한 냉철한 전망
— 653
A. 다원주의적인 세계에서의 삶
— 653
B. 투쟁 교회, 개선 교희
— 653
X. 역사적 개관
— 654
A. 고대 교회
— 654
1. 초기 교부들의 기록
— 654
2. 감독교회로의 변화
— 654
3. 퀴프리아누스의 교회론
— 654
4.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s)와 도나투스파(Donatist)논쟁
— 654
5. 로마 감독의 지위
— 654
B. 중세
— 654
1. 서방:군주적인 감독 제도
— 654
2. 저항하는 목소리들
— 654
3. 동방:합의제적인 감독 제도
— 654
C. 종교개혁
— 654
1. 루터와 교회
— 654
2. 칼뱅과 교회
— 654
3. 급진적인 회복
— 654
4. 영국성공회와 교회
— 654
D. 18-19세기
— 654
1. 이성의 시대와 교회
— 654
2. 프리드리히쉴라이어마허
— 654
3. 알브레히트 리췰
— 654
4. 로마가톨릭의 교회론
— 654
E. 20세기
— 654
1. 개신교 자유주의
— 654
2. 카를 바르트(Karl Barth)의 교회론
— 654
3. 한스 큉의 교회론
— 654
F. 현재의 옆바람들
— 654
1. 에큐메니컬 운동
— 654
2. 로마가볼릭의 에큐메니컬 운동
— 654
3. 포스트모더니즘의 방향성
— 654
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654
XI. 엘렌 G. 화잇의 언급
— 664
A. 지상과 하늘의 교회
— 664
B. 그리스도와 교회의 밀접한 관계
— 664
C. 알곡 중에 가라지가 있다
— 664
D. 죄인을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이 임명하신 대리자
— 664
E. 초기교회의 복음 질서
— 664
F.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몇 가지 조직 형태
— 664
G. 봉일된 행동의 필요성
— 664
H. 예루살렘 총회로부터 얻은 교훈
— 664
I. 지배하려는 정신을 경계하라
— 664
J. 하나님의 종말 교회
— 664
K. 개선교회
— 664
XII. 참고문헌
— 669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