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
제8장 구원론(아이번 T. 블레이즌, 김동혜)
제8장 구원론(아이번 T. 블레이즌, 김동혜)
— 329
I. 성경의 용어와 기본 개념
— 330
A. 구원과 관련된 용어
— 330
B. 구원의 역사적인 성격
— 330
C. 하나님은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 330
D. 하나님이 구원하시는 사람들
— 330
E.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인류의 필요
— 330
1. 현실과 죄의 결과
— 330
2. 죄의 본질
— 330
a. 행위로서의 죄
— 330
b. 마음의 부패로서의 죄
— 330
c. 속박하는 세력으로서의 죄
— 330
3. 죄로 인한 구원의 필요성
— 330
II.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
— 334
A. 영원 전에 세운 하나님의 결정
— 334
B. 시간 속에 주어진 하나님의 언약들
— 334
1. 하나님의 언약의 본질과 봉일성
— 334
2. 아담 언약, 노아 언약, 영원한 언약
— 334
3. 아브라함 언약, 시내 언약, 다윗 언약
— 334
4. 새 언약
— 334
5. 옛 언약
— 334
III. 구원의 구성 요소
— 337
A.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
— 337
1. 칭의와 의
— 337
a. 용어
— 337
b. 칭의의 사법적 배경
— 337
c. 선례들
— 337
d. 하나님의 의
— 337
e. 칭의의 국면들
— 337
(1)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로서의 칭의
— 337
(2) 무죄 선고로서의 칭의
— 337
(3) 의롭다고 여기는 것으로서의 칭의
— 337
(4) 하나님의 용서로서의 칭의
— 337
(5) 종말적 삶과 새 창조로서의 칭의
— 337
(6)통치권의 교체로서의 칭의
— 337
(7) 공동체로서의 칭의
— 337
(8) 의의 실재로서의 칭의
— 337
f. 칭의의 근거
— 337
g. 칭의의 수용
— 337
2. 화목
— 337
a. 용어와 기본적인 의미
— 337
b. 칭의와의 관계
— 337
c. 객관적인 일로서의 화목
— 337
d. 화목의 목적들
— 337
3. 양자됨
— 337
a. 칭의와 성화의 관계
— 337
b. 성경 상의 용법
— 337
c. 로마의 입양과 그 신학적 의미
— 337
B. 하나님 앞에서의 새로운 확신
— 337
1. 최후의 구원에 대한 현재의 확신
— 337
2. 그의 아들이라는 하나님의 선물을 통한 현재의 영생
— 337
3. 믿음을 통한 확신과 행함에 따른 심판
— 337
a. 심판의 구절: 목적과 중요성
— 337
b. 심판에 대한 그리스도론적인 전제
— 337
c. 긴장을 해결함
— 337
d. 확신의 결과
— 337
C.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삶
— 337
1. 중생
— 337
a. 기본 개념
— 337
b. 성경의 용례
— 337
2. 회개와 회심
— 337
a. 회개에 사용된 용어
— 337
b. 회개의 의미와 내용
— 337
c. 회개를 위한 동기부여
— 337
3. 성화
— 337
a. 성화의 의미
— 337
(1) 새로운 관계와 신분으로서의 성화
— 337
(2) 선함에 있어서 도덕적 자라남으로서의 성화
— 337
b. 성화와 완전
— 337
(1) 용어
— 337
(2) 성화와 완전의 관계
— 337
(3) 사랑, 완전을 여는 열쇠
— 337
(4) 완전의 파루시아(임함)
— 337
IV. 구원론의 실천적 함의
— 361
V. 구원론의 역사
— 362
A. 속사도 교부들
— 362
B. 속사도 교부로부터 아우구스티누스까지
— 362
1. 이레나이우스
— 362
2. 테르툴리아누스
— 362
3. 오리게네스
— 362
4. 동방교회의 신학자들과 아타나시우스
— 362
5.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
— 362
C. 중세 스콜라주의
— 362
1. 안셀무스
— 362
2. 아벨라르
— 362
D. 종교개혁 사상과 가톨릭의 반동
— 362
1. 루터
— 362
2. 칼뱅
— 362
3. 트렌트 공의회
— 362
E. 아르미니우스주의와 감리교
— 362
1 .야코부스아르미니우스
— 362
2 . 존 웨슬리
— 362
VI.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 369
V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370
A. 하나님의 구원의 목적
— 370
1.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발견할 수 있음
— 370
2. 우리가 구원 받는 방법
— 370
3. 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을 위해 아무것도 아끼지 않으심
— 370
4. 악에 저항할 힘이 없는 죄인
— 370
5. 그리스도의 의:하늘을 위한 자격과 적합성
— 370
6. 의롭다고 여겨지는 죄인들
— 370
7. 용서 그 이상
— 370
B. 그리스도의 속죄하는 죽음
— 370
1. 속죄가 하나님 사랑의 원인이 아님
— 370
2.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취급을 받으심
— 370
3. 용서를 위한 십자가의 필요성
— 370
4. 공의와 자비의 연합
— 370
5. 그리스도 안에서 벌 받은 죄
— 370
6. 은혜의 대기
— 370
C. 믿음의 역할
— 370
1. 믿음이란
— 370
2. 그리스도는 우리의 불신 때문에 수치를 당하심
— 370
3. 그리스도 안에서의 승리
— 370
4.
“나는 구원 받았다.”
라고 말하는 문제
— 370
D. 가장 약한 자들을 위한 희망
— 370
1. 부족함 때문에 낙심하지 말라
— 370
2. 자아가 아닌 그리스도 위에 마음이 머물러 있게 하라
— 370
3. 가장 약한 성도가 사탄보다 강함
— 370
4. 성령과 중생
— 370
5. 죄로부터의 완전한 회복
— 370
6. 위대한 변화
— 370
7. 회심의 시금석
— 370
E. 성화:평생의 사업
— 370
1. 하나님께 굴복하는 법
— 370
2. 순종, 믿음의 열매
— 370
3. 우리 자신의 충동을 실행하는 것으로의 순종
— 370
4. 그리스도 안에서의 영혼의 완전
— 370
5. 우리의 영역에서 거룩함
— 370
6. 하나님의 자녀들을 위한 이상
— 370
7. 온전한 굴복으로서의 완전
— 370
8. 그리스도께서 악한 성향과 욕망에 대한 승리를 주심
— 370
9. 습관적인 말과 행동을 통해 드러난 품성
— 370
10. 힘쓰는 자들을 위한 그리스도의 완전
— 370
11. 완전은 점진적임
— 370
12. 완전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결함을 봄
— 370
VIII. 참고문헌
— 376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