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
제3장 성경 해석(리처드 M. 데이빗슨, 박춘식 역)
제3장 성경 해석(리처드 M. 데이빗슨, 박춘식 역)
— 87
I.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함
— 88
A. 계시—영감—조명
— 88
B. 해석의 필요
— 88
C. 해석학:정의와 범위
— 88
II. 성경해석의기본원칙들
— 89
A. 성경, 오직 성경
— 89
1. 성경의 수위성
— 89
2. 성경의 충분성
— 89
B. 성경의 전체성
— 89
1.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불가분적인 연합
— 89
2.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과 동등한 것이지, 하나님 말씀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 89
C. 성경의 유비
— 89
1.
“성경은 그 자체의 해석자이다”
— 89
2. 성경의 일관성
— 89
3. 성경의 명료성
— 89
D.
“영적인 것은 영적으로 분별됨”
— 89
1. 성령의 역할
— 89
2. 해석자의 영적 생활
— 89
III.성경을 위한 세부 지침
— 98
A. 본문과 번역
— 98
1. 본문 연구
— 98
a. 성경 본문의 보존
— 98
b. 본문 연구의 필요
— 98
2. 번역과 역본
— 98
a. 번역과 관련된 도전들
— 98
b. 번역의 유형들
— 98
B. 역사적 맥락
— 98
1. 신뢰할 만한 역사로서의 성경
— 98
2. 개론적인 문제들
— 98
3. 역사적 배경
— 98
4. 세속 역사에서 발견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
— 98
5. 평행하는 성경 기사들에 존재하는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점
— 98
a. 기자마다 갖고 있는 각기 다른 목적들을 인식하라
— 98
b. 각 기자가 전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른 이야기와 결합시켜야 할 사건의 일부에 대해 언급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c. 역사적 사실성은 다른 보고들이 동일해야 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d. 역사를 기록하는 데 수용된 관습이 1세기에는 달랐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e. 복음서의 평행 구절 속에 기록된 예수의 유사한 기적과 말씀들은 다른 때 일어난 것일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f. 성경에는 필사상의 사소한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라
— 98
g. 추가적인 정보를 얻게 될 때까지 불일치하게 보이는 어떤 것들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는 것이 때때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라
— 98
C. 문학적 분석
— 98
1. 구절의 한계
— 98
2. 문학 유형
— 98
a. 산문
— 98
b. 시가
— 98
3. 문학적 구조
— 98
D. 절별 분석
— 98
1. 문법과 구문
— 98
2. 단어 연구
— 98
E. 신학적 분석
— 98
1. 신학적 연구의 방법들
— 98
a. 책별 연구
— 98
b. 절별 주해
— 98
c. 주제별 연구
— 98
d.
“대(大)중심 주제”
관점
— 98
e. 문학적 구조적 분석
— 98
2. 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구절들
— 98
a. 성경에서 하나님의 전체적인 모습은 무엇인가? 특별히 갈보리에 나타난 것은 어떤 것인가?
— 98
b. 성경의 다른 곳에서 혹은 성경 밖의 자료에서 문제가 되는 구절에 타당한 부가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주는 것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 98
c. 하나님이 온 몸을 구원하기 위하여 감염된 부분을 잘라 버리는 신적 외과의사로 활동하고 계시는가?
— 98
d. 히브리 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해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가?
— 98
e. 기술되고 있는 상황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이상은 무엇인가?
— 98
f. 하나님의 행동은 그의 백성들이 그의 말씀을 듣도록 깨우기 위한 주의를 끄는 장치인가?
— 98
g. 아직 충분히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어떤 점이 여전히 있지 않는가?
— 98
3. 성경 자체 너머를 가리키는 성경
— 98
a. 예언
— 98
b. 표상학
— 98
(1) 표상학은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 98
(2) 표상[예표]은 앞을 가리키거나 예고적으로 예시한다.
— 98
(3) 표상은 예표하지만, 명시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예표하지는 않는다.
— 98
(4) 표상학은 고조된 상응점들과 관련된다.
— 98
(5) 표상은 실체의 예표로 기능하도록 하나님이 지정하신 것이다.
— 98
c. 상징
— 98
d. 비유들
— 98
F. 각 시대를 위한 적용
— 98
1. 문화와 시대를 초월하는 성경
— 98
2. 기별의 영속성을 결정하기 위한 성경의 규제들
— 98
3. 성경의 개인적인 적용
— 98
IV. 성경 해석학의 역사
— 117
A. 성경 자체 내의(Inner-Biblical) 해석 방법
— 117
B. 초기 유대인들의 성경 해석학
— 117
1. AD 70년 이전의 서기관들의 주석 방식
— 117
2. 후기 랍비들의 해석
— 117
3. 비(非)서기관적인 전통들: 쿰란
— 117
4. 비서기관적인 전통들:알렉산드리아의 필론
— 117
C. 초기 그리스도교의 해석학
— 117
1. 초기 교부들
— 117
2.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해석학
— 117
3. 안디옥 학파의 해석학
— 117
D. 중세 해석학
— 117
E. 종교개혁 해석학과 역사적-문법적 방법
— 117
F. 계몽주의 해석학과 역사적-비평적 방법
— 117
1. 역사적 발전
— 117
2. 역사적 비평주의의 전제들
— 117
3. 역사적 비평주의의 발전적 과정
— 117
4. 기타 비평주의 연구 방법들
— 117
G. 두 가지 해석 방법 비교
— 117
H. 성경에 기초한 재림운동의 해석학
— 117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128
A. 성경 해석
— 128
B. 성경 해석에 있어서의 성령의 역할
— 128
C. 성경 해석을 위한 세부 지침
— 128
1. 본문과 번역
— 128
2. 역사적 문맥
— 128
3. 문학적 분석
— 128
4. 절별 분석
— 128
5. 신학적 분석
— 128
6. 표상학, 상징, 비유
— 128
7. 시대적 적용
— 128
D. 성경 해석의 역사
— 128
1. 랍비들의 해석
— 128
2. 중세 해석학
— 128
3. 종교개혁자들의해석학
— 128
4. 고등비평
— 128
5. 밀러주의자들의 해석학
— 128
VI. 참고문헌
— 135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