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
제5장 그리스도의 위격과 사역(라울 데드랑, 송경호)
제5장 그리스도의 위격과 사역(라울 데드랑, 송경호)
— 195
I. 말씀이 육신이 되심
— 196
A. 성육신
— 196
1. 그리스도의 선재(先在)
— 196
2. 그리스도의 성육신
— 196
3. 동정녀 탄생
— 196
B. 인성과 신성
— 196
1. 그리스도의 인성
— 196
a. 성경의 증거
— 196
b. 성경의 원칙에 따라 구현된 사람으로서의 삶
— 196
2. 무죄한 인성
— 196
3. 그리스도의 신성
— 196
a. 그리스도의 칭호들
— 196
(1) 메시아/그리스도
— 196
(2) 주로서의 그리스도
— 196
(3) 하나님의 아들
— 196
b. 하나님이신 예수
— 196
c. 예수의 신성에 대한 자각
— 196
4. 참된 신성과 참된 인성을 소유하신 한 분의 위격(位格)
— 196
II. 그리스도의 사역과 죽음
— 206
A.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셔서 하신 일
— 206
1. 하나님의 약속들을 확증하심
— 206
2.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심
— 206
3.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나누어주심
— 206
4. 하나님의 종이 되심
— 206
5. 모본을 남기심
— 206
6. 연약한 자들과 병든 자들을 고치심
— 206
7. 죄가 참으로 죄 된 것임을 보여 주심
— 206
8. 충성된 대제사장이 되심
— 206
9. 자신의 죽음을 통해서 죄인들을 구원하심
— 206
B. 구약에 예언된 그리스도의 사역
— 206
1. 그리스도께서 염두에 두고 있던 사실
— 206
2. 신약의 기자들이 가졌던 확신
— 206
3. 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그리스도의 죽음
— 206
C. 속죄:그 배경을 이루는 요소들
— 206
1.
“Atonement(속죄)”
라는 영어 단어의 의미
— 206
2. 본래의 조화로운 관계
— 206
3. 격리된 이유
— 206
4. 속죄와 그리스도의 죽음
— 206
5. 하나님의 사역
— 206
D.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에 대한 신약의 가르침
— 206
1. 희생적인 죽음
— 206
2. 대속적 죽음
— 206
3. 속죄— 화목제물의 차원
— 206
4. 의롭다 하심[칭의]
— 206
5. 화목케 하심
— 206
E. 속죄 행위의 범위
— 206
III. 올림을 받으신 그리스도
— 223
A. 부활하신 그리스도
— 223
1. 기초적 사건
— 223
2. 빈 무덤
— 223
3. 육체적 부활
— 223
4. 그리스도의 부활의 중요성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승천과 그리스도와의 관계
— 223
3. 승천과 신자들과의 관계
— 223
C. 대제사장으로서의 그리스도의 봉사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각기 다른 두 종류의 봉사
— 223
3. 만물을 다스리고 충만케 하기 위해 승천하심
— 223
D. 그리스도의 재림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재림의 방식
— 223
3. 하나님 나라의 승리
— 223
E. 하나님의 초청
— 223
IV. 역사적 개관
— 232
A. 초기교회
— 232
1. 두 본성의 실재성을 부인함
— 232
2. 두 본성의 완전성을 부정함
— 232
3. 니케아 공의회의 결론
— 232
4. 두 본성의 상호 관계
— 232
a. 압폴리나리스
— 232
b. 네스토리우스
— 232
c. 유튀케스
— 232
5. 칼케돈 공의회의 결론
— 232
B. 중세
— 232
1. 그리스도의 사역에 초점을 맞춤
— 232
a.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232
b. 아벨라르
— 232
C. 종교개혁 시대
— 232
1. 콤무니카타오 이디오마툼(Communicatio ldiomatum)의 문제
— 232
2. 그리스도의 상태와 직분에 관해서
— 232
D. 현대
— 232
1. 획기적인 전환
— 232
2. 프리드리히 쉴라이어마허
— 232
3. 알브레히트 리췰
— 232
4. 케노시스주의(Kenoticism)
— 232
E. 현대의 접근 방법들
— 232
1. 카를 바르트의 삼위일체적인 그리스도론
— 232
2. 루돌프 불트만의 비신화화한 그리스도
— 232
3. D. M. 베일리의 역설적(逆說的) 그리스도론
— 232
4. 오스카르 쿨만
— 232
5. 과정(過程) 그리스도론
— 232
6.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 232
7. 해방 신학들
— 232
8. 〈성육하신 하나님의 신화〉
— 232
9. 예수 세미나
— 232
10. 로마가톨릭교회의 그리스도론
— 232
F. 최근의 동향
— 232
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232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244
A. 말씀이 육신이 되심
— 244
B. 타락한 인성
— 244
C. 한 위격 안에 존재하는 두 가지 본성
— 244
D. 우리의 모본이신 그리스도
— 244
E. 희생의 죽음
— 244
F.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심
— 244
G. 그리스도의 부활
— 244
H. 그리스도의 승천
— 244
I.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직분
— 244
VI. 참고문헌
— 249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