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 L. Neve, 기독교교리사, 서남동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5), 1:21.
2) M'clintoch & Strong,
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10:17, art.:
“Sun, Worship of,” in 횃불을 든 자, 유영순 역 (서울: 시조사, 1960), 206.
3) J. N. Andrews,
History of the Sabbath (Takoma Park, Washington D.C.: Review &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12), 312-314.
4) 고대 이집트의 태양신들 명칭은:
ⅰ) 델타 지역의 헬리오폴리스 시대의 태양신은 라(Ra) 또는 레(Re)라 했고,
ⅱ) 고왕국의 멤피스 왕조 시대의 태양신은 오시리스라 했다.
“원래 오시리스는 상 이집트의 신이었고, 라(Ra)는 하 이집트의 신이었다. ‧‧‧ 라(Ra)는 원래 헬리오폴리스(후에 그리스인이 ‘태양의 도시’라는 뜻으로 이렇게 불렀다)의 신이다.” 양병우 공저, 칼라판 대세계의 역사, 전12권 (서울: 삼성출판사, 1971), 1:170.
ⅲ) 중왕국의 테베 왕조 시대의 태양신은 아멘(Amen)이었고,
ⅳ) 중왕국의 아마르나 왕조 시대의 태양신은 아톤 또는 아텐이라 했다. 이 이집트의 태양신은 명칭들 가운데서도 특히 오시리스가 널리 알려졌고, 소아시아에서는 세라피스로 소개되었으며, 그의 배우신인 이시스의 신앙은 고대의 다신교 종교의 꽃봉오리를 이루었고, 후에 마리아로 둔갑해 가기까지 그 빛을 잃지 않았다.
5) 메소포타미아에 처음으로 정착한 수메르인들은 그들의 태양신을 우투 또는 밥바르였는데, 우투는 도시국가 움마인들의 태양신이었다. 샤마쉬는 셈족의 태양신으로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도시국가 라가쉬의 주신이었고,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악갓인들의 도시국가 십파르(Akadea)의 주신이었다. 신 바빌로니아 시대에 와서 마르둑이 샤마쉬와 동격화되면서 태양신으로 신봉되었다.
6) Cf. E. Gibbon,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chap. 6; cf. Milman ed. of 1854, 1:166-168, 170, 171. and chap. 11, 361. and chap. 20. 2:250, 251; Giester,
Tex book of Ecclesiastical History, 1st per. Div. Ⅲ, chap. 26. in vol. 4. ed. of 1857. 1:182, 184. in Frank H. Yost, 43.
7)
“... 그리고 오늘 날 대부분의 학자들이 주장하듯이 12월 25일이 선택된 것은 황제 아우렐리아누스[Aurelianus](A.D. 275) 시대서부터 로마 사람들이 태양신(Sol Invic- tus, 불패의 태양) 경축일을 축제한 행습의 감화에서부터 기인한 것이었다. 12월 25일은 ‘태양신의 생일’이라고 호칭되어, 전제국을 통하여 이 미트라신을 숭배하며 이교도의 종교적 축제 행사를 크게 열었던 것이다.... .” Francis X. Weiser,
Hand Book of Christian Feasts and Custom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Inc., 1958), 60-62. Copyright 1952. by Francic X. Weiser, Used by permission of the publisher. in
SDABC, 9:241; cf. 기독교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1), 888.
8) Tertullianus,
Ad Nationes, bk. 1, chap. 13. trans. in
ANF, 3:123. in
SDABC, 9: 970.
9) Tertullianus,
Apologeticum, chap. 16. trans. in
ANF, 3:31. in
SDABC, 9:965, 966.
10)
Book of the Pope, Trans of Louise R. Loomis, chap. 33, 40. in Frank H. Yost, 44.
11) Leo Ⅰ,
Sermon, xlii, chap. 5. in Frank H. Yost, 44.
12) Sozomen,
Ecclesiastica Historia, chap. 8. in From H. Yost, 44.
13) Augustinus,
Reply to Faustus the Manichaean, xiii, 5. trans. in NPNF, 1st series, 4:238. in
SDABC, 9:972.
14) J. N. Andrews,
History of the Sabbath (Takoma Park, Washington, D.C.: R&H., 1912), 314. in Alonzo J. Wearner, 박해종 역, 128.
15)
North British Review, 1853년 2월호, 제18권, 409.
16) Cicero,
De Republica, bk. 6, chap. 17. in
Loeb Classical Library, Cicero,
The Republic, 269, 271. in Robert Leo Odom, ibid., 18.
17) Plinius, the Elder,
Naturalis Historia, bk. 2, chap. 4. in
Loeb Classical Library, Pliny,
Natural History, 1:177, 179 in R. L. Odom,
Sunday in Roman Paganism (Washington, D.C.: R&H. Publishing Association, 1944), 49.
18) St. Isidorus,
Etymologiae, bk. 5, chap. 30. in PL82, 216. in Samuele Bacchiocchi, 250fn.
19) J. G. Frazer,
The Golden Bough-A Study in Magic and Religion, 2 vols., vol. 1, 황금가지, 장병길 역 (서울: 삼성출판사, 1977), 1:416, 417. in 삼성출판 세계 사상 전집, 49:416, 417.
20) 전경연 공저, 신약성서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6), 162.
21) 최태응, 세계의 신화 (서울: 아카데미, 1975), 184.
22) 다음은 유대의 월력 명칭과 바빌로니아 월력 명칭 The Standard Jewish Encyclopedea (Grarden City, NY: Double-day, 1959), col. 388. art.,
“Calendar”, Copyright 1959 by Encyclopedia Publishing Company, Ltd. in
SDABC, 9:191, 192.
23) 장기근 외 공역, 세계의신화, 전5권 (서울: 대종출판사, 1974), 3:111.
24) 최태응, 181, 182.
25) 장기근 외 공역, 3:111, 112.
26) 최태응, 182.
27) 최태응, 184.
28) 겔 8:13-17.
29)
“둠무주”란 이름은 수메르어로
“생명의 태양”(the sun of life)이란 뜻이다. Cf.
The Encyclopedia America (1929 edition), 26:238.
30) James Orr,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1955 edition), 5:2908 art.:
“Thammuz” 31)
“‧‧‧ the custom is still practiced by Christians in Cyprus ‧‧‧” Encyclopaedia Britannica, 1:97. art.:
“Adonis” 32) 장기근 외 공역, 3:150.
33) 김봉모 발행, 도설세계문화사, 전10권 (서울: 대학당, 1979), 2:84, 85.
34) J. G. Frazer, ibid., 444.
35) J. G. Frazer, ibid., 442.
36) J. G. Frazer, ibid., 440, 441.
37) J. G. Frazer, ibid., 452, 453.
38) J. G. Frazer, ibid., 457.
39) J. G. Frazer, ibid., 458.
40) 샤에페르(Schaeffer)는 1939년에 「라스 삼라-우가리트 쇄기 문자 본문」(The Cuneiform Texts of Ras Shamra-Ugarit)을 통해서 1929년에 발굴한 우가리트 유적에 대한 보고를 했으며 그후 계속해서 1969년까지 학회지 「우가리티카」(Ugaritica)를 출판했다. Cf.
Encyclopaedia Britannica, 10:951. 샤에페르가 발굴한 우가리트 본문들(Ugaritic Texts) 중
“Poem about Baal and Anath"을 H. L. Ginsberg가 영역한 것이 Ancient Near Eastern Texts, 129-155에 수록되었고, The Ancient Near East, 92-132에도 수록되었다. 이 두 책들은 James B. Pritchard가 편집한 것들이다.” 41) New Larousse
Encyclopedia of Mythology (New York: Crescent Book, 1987), 75.
42) Ibid.
43) 정인찬, 성서대백과사전 (서울:생명의 말씀사, 1980), 5:40. art.:
“아스도렛” 44)
Encyclopaedia Britannica, 1:703, art.:
“Baal” 45) 정인찬, ibid. 40. art.:
“아세라” 46) New Larousse, ed., ibid.
“우가리트 본문(the texts from Ugarit-modern Ras Shamra)에 의하면 아세라의 배우신은 엘이고, 그로 말미암아 그녀는 70신들의 모친이었다. 아세라는 모신(mother goddess)으로써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통하여 널리 숭배받았다. 아세라는 자주 바알의 배우(Baal's consort)신으로써 부부로 나타나는데, 이 바알은 실제적 제사상(cult)에서는 엘신의 자리를 자주 차지했다. 그래서 아세라는 통상적으로 ‘Baalat’라는 칭호를 받았다.” Encyclopaedia Britannica, 1:577. art.:
“Asherah” 47) James B. Pritchard, ed.,
The Ancient Near East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1:94, 110, 118.
48) James B. Pritchard, ed., ibid., 97, 102;
Encyclopaedia Britannica, 1:577, art.:
“Asherah” “바다의 여신 아세라트(The goddness Asherat-of-the Sea)는 신들의 어미라 불리었다. 그리고 70명의 자식들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아세라트는 바알의 어미며 동시에 바알의 배우이다”(the mother of Baal,Asherat,consort of Baal).
New larousse, ed., ibid., 75, 76.
49) 여신
“아세라”가 흠정역(K.J.V.)에는
“작은 숲”(the grove)으로 번역되었고, 개정 표준역(R.S.V.)에는
“아세라”(Asherah)로 일관되게 음역되었다. 그러나 한글 개역은
“아세라 목상”으로 번역하였는데 열왕기상 15:13에는
“아세라의 가증한 우상(image)”으로 번역하여 여신 아세라도
“형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50)
Encyclopaedia Britannica, 1:703. art.:
“Baal”; 정인찬. ibid., 3:93.
51)
New Larousse, ed., ibid, 76.
52) Ibid, 78. Cf. James B. Pritchard, ibid, 110.
53) Ibid. Cf. James B. Pritchard, ibid, 112.
54) 정인찬, 성서대백과사전 (서울: 기독지혜사, 1979), 3:94. art.:
“바알” 55) James Orr,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1955, ed) 5:2908, art.:
“Thammuz” 56) 정인찬, 성서대백과사전 (서울: 기독지혜사, 1977), 3:94, art.:
“바알” 57) 정봉석 발행, 아가페 주제별 설교대사전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4), 3:113, art.:
“바알(우상) Baal” 58) Franz V. M. Cumont,
Oriental Religious in Roman Paganism (Chicago: Open Court, 1907), 57.
(3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