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비교: 사무엘서와 역대기. 사무엘하와 역대기 저자들이 사용한 자료의 상이점들을 비교하는 흥미있는 연구를 위해 사무엘하 8:1-18역대상 18:1-17은 감당할 만한 범위이다. 이 두 기사를 절절이 비교하면서 차이점을 보라. 간단한 요약을 쓰고, 이 연구의 의미를 기술하라. (264.4)
 ■ 말씀의 추가 연구
 1. 성경 기사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위해서는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 717-726을 보라.

 2. 약속들과 형벌들에 관계하여 사무엘하의 “영원히”의 용례를 연구한 분석을 위하여 R. Polzin, David, 54-87을 보라.

 3. 구약의 뿌리로부터 시작해서 발전한 기독교적 형태로까지의 메시야 예언을 평이하게 풀어놓은 것을 알기 위하여 A. Thompson, “The Best Story in the Old Testament: the Messiah,” in Who's Afraid? 130-157을 보라.

 4. 이스라엘을 위한 하나님의 원래의 계획과 기독교 속에 나타난 궁극적인 표현을 비교하는 기사를 위해서는 F. D. 니콜 편,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주석, 4:25-38의 “구약 예언에 있어서의 이스라엘의 역할”을 보라.

 5. 사무엘하 9장과 그 이후의 다윗의 이야기에 관한 전문적인 문학적 분석을 위해서는 D. Gunn, The Story of King David: Genre and Interpretation을 보라. (2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