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7-12장에서 다윗의 영광은 극에 달한다. 그러자 그는 심연으로 떨어진다. 그의 절정은 7장에서 보인다. 그는 여호와를 위하여 전을 건축하겠다는 제안을 한다. 선지자 나단은 좋다고 말하였으나, 하나님께서는 아니라고 하셨다. 나단의 계시와 다윗의 기도는 이 장을 언약 신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자료가 풍부한 것으로 만들었다. 여호와께서는 그가 집이 필요없다고 하셨다. 그 대신 다윗의 집을 세우겠다고 하셨다—그것도 영원히. 다윗은 매우 감사했다. (237.1)
 물론 사무엘하의 독자들은 다윗의 아들이 여호와를 위하여 전을 건축한 것과, 현재는 바벨론에 의하여 그 전이 완전히 무너진 것을 알았으리라. 또한 그들은 다윗의 후계자들이 보좌 위에 있지 않고 바벨론에 유배되어 있음을 알았을 것이다. 여호와께서 다윗의 보좌와 그의 집을 영원히 세우시겠다고 말씀하셨을 때에, 무슨 뜻으로 그 말씀을 하셨을까?(7:13, 16). (237.2)
 8-10장은 일련의 전쟁의 승리와, 므비보셋에 대한 다윗의 친절, 암몬 사람들에 대한 전쟁 등으로 이어진다. 간음과 살인이 11장에 나온다. 하나님의 심판이 12장에 나온다: “당신이 그 사람이라”(12:7), 그리고 “칼이 네 집에 영영히 떠나지 아니하리라”(10절). 다윗은 하늘에서 지옥으로 떨어졌다. 사무엘하의 나머지 부분은 얼마동안 쾌락의 죄를 누린 대가를 나타낸다. (237.3)
 ■ 말씀에 들어감
 윤곽을 알기 위하여 사무엘하 7-12장을 속히 읽고, 다음의 연구 제안을 따라 필요한 대로 말씀을 연구하라: (238.1)
 1. 여호와. 7-12장의 모든 곳에서 여호와 혹은 하나님이 언급된 곳의 목록을 만들라. 그리고 그분이 계신 이야기와, 그분이 계시지 않는 이야기를 분석하라. 중요한 것을 발견했다고 생각되면, 그것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라. (238.2)
 2. 진리. 7-12장에서 모든 이야기들과 등장 인물들을 자세히 살펴서 노트의 “진실” 난(欄)을 채우라.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논평을 하라. (238.3)
 3. 유배 생활의 관점. 7장을 유배 생활의 관점에서, 예루살렘과 그 성전과 그 왕이 더 이상 없는 때에 산다고 생각하고 읽으라. 나단의 신탁(神託)과 다윗의 기도(祈禱) 중에서 유배 상황에서 특히 의미가 있거나 문제가 되는 것을 목록으로 만들라. 만약에 그대가 예루살렘 멸망 직후에 산다면, 계시와 기도를 읽고 난 후에 어떤 반응을 할 것인지를 간단한 문단으로 요약하라. (238.4)
 4. 영원히. 7장에서 “영영히”라는 말이 사용된 예들을 목록으로 만들고, 각 경우에 무엇에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라. 그리고 신탁과 기도 가운데서 조건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보라. (238.5)
 5. 패배한 원수들. 다윗이 군사적으로 패배시킨 나라들과 민족들을 절들과 함께 열거하라. 성경이나, 성경 사전에 있는 지도를 사용하여, 그 지명들을 지도에서 찾아보라. 그리고 다윗의 나라의 경계선을 그려보라. (238.6)
 6. 므비보셋. 9장의 므비보셋의 이야기와 연결하여: (239.1)
 a. 지리. 로 드바르(Lo Debar)에 있는 므비보셋의 집은 갈릴리 바다 남쪽에 있었을 것이다. 지도나 성경 사전을 사용하여, 그 위치가 사울의 집의 지지자들의 중심지인 야베스와 마하나임과, 또 예루살렘과 어떤 지리적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라. (239.2)
 b. 연대기. 4:4사무엘하 21:1-14을 고려하여 므비보셋의 생애의 연대기를 만들어 보라. 사무엘하 21장의 이야기를 위하여, 그것이 9장의 사건 전에 일어났을 가능성을 생각해 보라. (239.3)
 c. 사울의 집. 그대의 노트에 “사울의 집” 부분을 발전시켜 나가라. 므비보셋에 대한 논평은 기본적인 것에 불과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와 다윗이 사무엘하의 후반부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239.4)
 ■ 말씀을 연구함
 다윗을 위한 집, 여호와를 위한 집(7:1-29)
 다윗은 이제 그의 궁전에 안착했다. 그리고 여호와께서는 그로 하여금 “사방의 모든 대적을 파하사 ... 평안히 거하게”(1절) 하셨다. 5장은 예루살렘에서의 다윗의 건축 활동에 관하여 묘사하였다. 두로의 왕 히람이 보낸 장인들의 도움을 입어 궁을 건축한 것이 포함되어 있다(5:9-12). 그러나 1-5장은 대부분 다윗의 원수들—블레셋 사람들과, 사울의 집에 속한 그의 원수들—의 몰락을 그리고 있다. 8-10장에서 더 많은 원수들이 나타나고, 9장에서 사울의 집과 한 차례 더 싸우는 이야기와 므비보셋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나 저자의 구성 속에서, 이제는 다윗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과, 하나님을 위한 다윗의 계획을 이야기 할 때를 맞았다. (239.5)
 사무엘하 7장과 그와 비슷한 형태의 역대상 17장의 나단의 계시와 다윗의 기도는 유대교적, 기독교적 메시야에 대한 희망을 건축하는 초석이다. 오늘날, 해석자는 적어도 다섯 가지의 다른 관점에서 이 구절을 이해해야 하는 도전을 받는다. 아래에 연대 순서로 나열하였다. (239.6)
 1. 왕정(1000 B.C.): 영광된 시절. 다윗의 왕권의 희망이 강하고 활발했을 때의 다윗과 솔로몬과 그들의 동시대인들의 관점. (2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