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욥 37:4을 보라, 참조 계 11:18, 14:2 등.
2) 참조 계 20:4
3) 신 17:9; 참조 렘 18:18.
4)
Tannith 2.6;
Sukkah 5.6~8;
Yoma 1.5를 보라.
5) 출 25:40을 보라, 참조 히 8:5; 9:23.
6) 겔 26: 19~21; 욘 2:6; 합 3:10을 보라, 참조 Philippe Reymond,
L'Eau sacree, savie, et sa signification dans l'Ancient Testament, Vetus Testamentum, Supplements(Leiden: 1958), vol. 6, p. 231. 이러한 이미지는 동 시대의 다른 문화나 다른 신화에도 나타난다. 바벨론 신화에는 세 상의 기원을 물의 신 티아마트에 대한 바벨론 신 마르둑의 승리로 묘사하고 있다.
7) 시 136:6.
8) 사 27:1; 40:12.
9) 시 74: 12, 13; 89: 13~15.
10) 렘 49:36; 단 7:2.
11) 계 7:1; 20:8.
12) Hermann L. Strack and Paul Billerbeck,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aus Talmud und Midrash(München: 1922~1961), vol. 3, p. 799.
13) 시 132:17; 렘 48:25; 단 7:8, 11, 21; 슥 1:18, 19등을 보라.
14) 행 7:55, 56; 빌 2:9~11; 히 8:1, 2; 10:19~22 등을 보라.
15) Leslie C. Allen,
Psalms 101-150, Word Biblical Commentary(Waco, Tex.: 1983), vol. 21, p. 80; Gerhard von Rad,
“The Royal Ritual in Judah,” in
The Problem of the Hexateuch and Other Essays(London: 1966), pp. 103ff을 보라.
16) 출 24:7; 왕하 23: 2, 21; 신 17:18; 왕하 11:11~13; 23:3 등.
17) 우리가 연구하는 계시록의 본문에서는 출애굽기의 성소봉사의 개시를 다루는 본문(출 40)처럼 성소의 모든 부분(등대, 향의 대접, 뿔, 그룹)에 대하여 언급한다. 이 모든 것들을 다 언급하는 다른 경우는 성소가 정결하게 되는 대속죄일의 문맥(레 16)이 유일하다. 그러나 여기 어린양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대속죄일을 가리키는 것일 수는 없는데, 전통적으로 어린양의 희생은 성소의 낙성식에 있었고(출 40:29; 참조 레 10:10) 대속죄일과는 무관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대속죄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약궤(레 16:11~15)에 대한 언급도 거기는 없다. 게다가 언약궤가 보관되어 있는 지성소를 가리키는 말인
나오스(
naos)도 계시록 4~5장에는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나중에 11장에는 나온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이 단어가 계시록의 후반부에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본다. 계 11:2, 19(2 회); 14:15, 16; 15:5, 6, 8(2회); 16:1, 17; 21:22(2 회) . 전반부에 유일하게 이 단어가 나오는 두 구절은 미래의 시간에 관련된 언급이다.
18) 행 1:8; 2:38, 39; 엡 5:18.
19) 창 49:10; 삼하 7, 대상 17, 단 9:24∼27; 눅 1:32, 33.
20) 요한계시록 1장 19절은
“이 일 후에”(계 4:1)라는 표현을 설명해 준다.
“이 일”은 문자적으로 일곱 교회의 시대를 가리킨다.
“이 일 후에”는 그러면 요한의 동시대인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시대 다음의 때와 관련된다. 새국제역(NIV)이 같은 단어를 요한계시록 1장 19절에서는
“후에”(later), 요한계시록 4장 1절에서는
“이 일 후에”(after this)라고 번역한 것을 주목하라.
22) 욥 40:9; 시 45:4; 눅 6:6; 행 3:7; 사 48:13; 출 15:6~12; 시 17:7 등.
23) 몇 가지 요소들이 그 두루마리가 그리스도의 미래 통치에 대한 것임을 보여 준다. 그 통치는 더 우월한 권위 아래 있다. 그것은 이스라엘의 왕들이 즉위할 때
“언약의 책”으로써 그 종주(宗主)에게 구속되는 것과 같은, 역사를 주관하는 분의 주권이다. 에스겔서의 구절과 평행을 이루는 또 다른 요소, 즉 그것이 보좌에 앉은 하나님의 오른손에 들렸다는 것과(겔 1), 안팎으로 기록되었다는 점(겔 2:9, 10; 참조 계 5:1)도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에스겔서의 이 구절이 계속해서 이 두루마리에 애가와 애곡과 재앙의 말이 기록되었(겔 2:10)다고 언급하는데, 그 말은 이스라엘의 미래에 관한 심판과 경고로 해석된다(겔 3장을 보라) . 마찬가지로, 요한은 그의 이상 가운데 그 두루마리가 그리스도 예수님의 통치 기간 중에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경고와 심판을 포함하고 있음을 본다. 아마도 그 선지자는 계시록에서 나중에야 완전하게 나타날 심판들을 미리 목격한 것 같다. 계시록 자체와 5장의
“두루 마리”는 동일한 용어,
비블리온(
biblion)으로 불린다(계 1:11; 22:7, 9, 18, 19에서 계시록을 가리키고, 계 5:1, 2, 3, 4, 5, 7, 8에서는 두루마리를 가리킴) . 그리스도 예수는
“반드시 속히 될 일” 을 알리기 위하여 두 책을 주신다(계 1:1; 참조 22:6). 계시록이 인봉되지 않았다는 사실에는 종말론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그것은
“때가 가까우니라”(계 22:10)라는 사실과 관계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계시록을 다니엘와 비교할 수 있는데, 그 책은
“마지막 때까지 ∙∙∙ 봉함”되었으며, 그 때에는
“많은 사람이 빨리 왕래하며 지식이 더”할(단 12:4; 참조 9, 10절) 것이다.
24) 쿰란에서 바르 코크바의 서신들 중에 발견된 두루마리들을 보라. Yigael Yadin,
The Finds From the Bar Kokhba Period in the Cave of Letters, Judean Desert Studies(Jerusalem: 1963), P. 118; 참조 Frank Moore Cross,
“The Discovery of the Samaria Papyri,” The Biblical Archaeologist 26 (1963): 111~115.
25) 계 1:4, 7, 8; 2:5, 16; 3:11; 4:8; 16:15; 22:7, 12, 17, 20.
26)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186~190을 보라.
27) 1 Enoch 90:19, 기원전 161년경에 기록된 부분.
28)
Genèse de l'Antisémitisme(Paris: 1956), p. 133.
29) 신 11:14; 14:23; 28:51; 대하 32:28; 느 5:11 등.
30)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65, 66, 72을 보라.
31) 신 8:3을 보라; 참조 마 4:4; 요 6:46~51; 느 9:15; 시 146:7.
32) 시 45:8; 슥 4:1~6.
33) 눅 22:20; 고전 11:25
34) 눅 10:34.
35)
L'Eglise de saint Augustin à l'époque moderne (Paris: 1970), p. 32.
36) Isaac,
Genèse de l'Antisémitisme, p. 196.
37) 신 28:49; 욥 9:26; 애 4:19; 합 1:8, 마 24:28을 보라.
38) 계 1:18; 20:13, 14.
39) 시 22:14∼29; 91:13을 보라.
40) 이 표현은 Isaac의
Genèse de l'Antisémitisme, pp. 131ff에 나오는 말이다.
41)
Hitler's Table Talk, cited in Rosmary Ruether,
Faith and Fratricide(New York: 1974), p. 224.
42) Saul Friedlander,
Pius XII and the Third Reich: A Documentation, trans. Charles Fullman(New York: 1966)을 보라.
43) 시 13:2; 35:17, 79:5; 89:46; 94:1~3 등.
44) 참조 단 12:6.
45) 레 16:30을 보라, 참조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126~129.
46) Doukhan,
Secrets of Daniel, pp.129~133을 보라.
47) Doukhan,
Secrets of Daniel, pp.108~110을 보라.
48) 단 7:2을 보라.
49) 계 10:2,5을 보라; cf. 창 1:1~9; 출 20:11; 느 9:6; 시 95:5; 마 23:15 등.
50) 또한 시 89:12, 13; 100:38을 보라.
51) Meredith G. Kline,
Treaty of the Great King:The Covenant Structure of Deuteronomy, Studies and Commentary(Grand Rapids: 1963), pp. 18, 19; Meredith G. Kline,
The Structure of Biblical Authority(Grand Rapids: 1972), p. 120을 보라.
52)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18–20을 보라.
53) 사 15:15; 대상 12:14; 16:15; 시 91:7 등.
54) 출 18:21; 신 33:17; 삿 6:15; 민 1:16; 수 22:21 등.
55) Gerhard Kittel, e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ans. and ed. Geoffrey W. Bromiley(Grand Rapids: 1964–1976), vol. 5, p. 583을 보라.
56) 마카베오하 11:8; 마카베오상 13:51을 보라; 참조 요 12:13.
57) Jacques B. Doukhan,
Aux portes del'esperance(Dammaried-les-Lys, France: 1986), pp. 243ff3를 보라.
58) 합 2:20; 습 1:7; 슥 2:13을 보라.
59)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108, 109, 143~145을 보라.
60) 4 Ezra(2 Esdras) 6:39; 7:30ff,; 2 Baruch 3:7,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