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제 1 부 진영 가운데 계신 예수님과 함께 (죄의 환경으로부터의 자유) 3. 연구 방법 (나의 모든 계몽된 빛은 그리스도의 것임)
 세부 사항들은 시각화되어야 한다
 에스겔이 본 성전 이상의 세부 사항들은 여호와의 언약의 백성들이 그들 스스로 “형상을 측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이스라엘 족속” 앞에 전시되어야 하였다. (47.8)
 이같은 권고는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들에게도 마찬가지로 구속력이 있다. 참된 형상이신 우리 구주의 봉사의 범위는 오직 이같은 조사를 통해서만이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을 통해서 친히 제물이 되신 제사장의 희생적인 사랑이 그들의 마음에 감사뿐 아니라 죄악과 수치를 일깨울 것이다. 성막은 항상 이 같은 필요들을 치료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에스겔이 받은 사명 중에는 성소의 세부 사항들을 생애의 기본적인 문제에 적용시키는 일이 강조된다. (48.1)
 가브리엘은 선지자 다니엘에게 시간표를 제시한다
 그의 생애의 마지막에 이르러 다니엘은 그가 기록했던 예언들을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좌절감을 느꼈다(단 12:4). 주께서는 그의 미래와 하나님의 백성들의 미래는 안전하므로, 걱정하지 말고 신뢰할 것을 그에게 확신시켜 주도록 가브리엘에게 지시하셨다. 그 때 선지자는 나중에 그를 알아볼 수 있도록 그와 대화를 나눈 존재에 대하여 묘사하였다. 흰 두루마기를 입고 그 선지자의 기별이 담긴 봉인된 두루마리를 든 채, 그분께서는 한 강변에 인상적인 모습으로 서 계셨다. 주의를 모으기 위하여 두 팔을 하늘로 향하여 들고 당신의 선포에 엄숙함을 더하면서, 그분께서는 다니엘의 예언이 “마지막 때까지 봉함”되어야 한다고 선언하셨다. 그 때 그분께서는 학생들이 부지런히 그 의미들을 연구할 때, 언젠가 그것들에 대한 지식이 증가될 것이라고 우주 앞에 보증하셨다(단 12:4). (48.2)
 마지막 때의 성소 측량
 에스겔 이후 600년이 지난 다음, 밧보섬으로 추방되어 있을 때, 그 계시자는 동일하게 위엄있는 분을 보도록 허락되었다(계 10:1~6). 그는 그분께서 이제는 그의 오른손에 “펴 놓인” 또는 “개봉된”, 다니엘를 들고 계신 모습을 보았다. 이것은 중요한 통찰력으로 요한의 신탁이 성취될 시대를 확정시켜 준다. 이 기별은 “시간이 다시 없”(계 10:6)는 역사의 중대한 시기에 살고 있는 백성들에게 발해진다. “이 기별은 예언적 기간의 끝에 발해진다”(가려뽑은 기별 2권, 104, 108). “2300주야까지니 그 때에 성소가 정결하게 함을 입으리라”(단 8:14)는 가장 긴 예언은 1844년에 끝난다. 그러므로 요한의 이상은 그 뒤에 계속되는 날과 해에 적용된다. (48.3)
 그 때에 살고 있어야 할 하나님의 백성들의 대표자로서, 유배된 선견자는 다니엘의 내용을 “먹어 버리라”는 명령을 받았다(계 10:8~11). 그러나 요한 그 자양분이 많은 기별이 처음에는 “꿀 같이 달” 것이지만, 그 의미가 소화되었을 때는 “쓰”게 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다. (48.4)
 성경 말씀을 “먹는 것”은 매일의 생애에 그 기별을 받아들이도록 인도하는 말씀을 연구하는 것이다. 요한보다 수 백년 전에 살았던, 예레미야(렘 15:16)와 에스겔(겔 2:8~10, 3:1~3)은 둘다 하나님의 기별을 “먹으라”는 요구를 받았다. 나중에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을 따르는 자들에게 당신의 “살과 피”“먹으라”고 하셨는데, 그분께서는 그것은 당신의 말씀과 교훈이라고 설명하셨다(요 6: 48~63). 다니엘의 예언이 성취된 1844년 무렵에 살던 하나님의 백성들은 또한 다니엘의 예언들을 “먹”어야 하였다. (48.5)
 19세기 첫 10년 동안, 윌리암 밀러라고 하는 뉴잉글랜드의 한 침례교 농부는 그리스도께서 매우 속히 재림하실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48.6)
 그는 주로 자신의 주장을 다니엘에게 하신 그리스도의 말씀에 기초시켰다. “2300주야까지나 그 때에야 성소가 정결하게 함을 입으리라”(단 8:14). 그는 세 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예수께서는 1843~1844년 사이 어느 땐가 재림하실 것이다.

 (2) 성소는 교회를 대표하였다.

 (3) 성소의 정결은 ‘죄없이 구원에 이르도록’ 그리스도께서 두번째 오실 때, 부활 후에 있을 영과 몸이 모두 죄로부터 구속함을 받는 일”로 이루어진다(1831년 2월 15일, 윌리암 밀러가 앤드루스 목사에게 보낸 그리스도의 재림의 때에 대한 몇 가지 증거들).

 그는 나중에 그의 견해를 수정하였으며, 성소는 교회와 세상 둘 다를 나타낸다고 결론지었다(성소 정결, 1842년 8호). 그 “정결”은 마지막 날의 불로써 이루어질 것이다. (49.1)
 윌리암 밀러의 계산
 그는 “모든 표준적인 개신교회 주석가들의 견해와 일치되게”(Apology and Defense, 11)그의 계산을 연일 원칙에 기초함으로써 이 날짜에 도달하였다. 계산을 기원전 457년에서 시작함으로, 그는 2300에서 457을 빼고, 기원후 1843~1844년에 도달하였다. 그는 유대력은 1844년 초에 끝남으로, 그리스도께서 그 때에 재림하실 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구주께서는 재림하시지 않으셨고, 밀러 주의자들은 매우 쓰라린 실망을 경험하였다. (49.2)
 그러나 그들은 계속해서 모임을 가졌고 그 문제와 관련된 성경 말씀을 다시 연구하였다. 1844년 8월 중에 엑스터 시의 뉴 햄프셔에서 장막 집회가 개최되었다. 그 회기중 한번은 연설 중간에 조셉 베이츠가 모든 사람의 마음에 최고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그 주제, 곧 재림의 시기에 관하여 새로운 빛을 가졌노라고 주장하는 S. S. 스노우 형제의 방해를 받았다. 스노우 형제의 주장은 예수께서 유대인의 대속죄일, 또는 성소를 “정결케 하는” 때에 재림하신다는 것이었는데, 그것은 유대력으로 일곱째 달, 곧 1844년 10월 22일에 일어날 것 이라는 것이었다. 이같은 생각은 밀러 주의자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49.3)
 스노우 형제의 결론은 사실상 밀러 자신에 의하여 점화되었다. 스노우 형제에게 보내는 1843년 5월 3일자 편지에서, 밀러는 로쉬 하사아나(나팔절), 욤 킵푸르(대속죄일) 그리고 수콧(장막절)과 같은 히브리인들의 가을 축제는 어떻든 유월절, 무교절 그리고 오순절과 같은 봄 축제가 지상에서 그리스도에 의해 성취되었던 것처럼 하늘에서 그리스도에 의해 성취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하였다. 스노우는 이 사상을 취해서 발전시켰다. (49.4)
 엑스터 장막 집회로로부터 “제7월 운동”이 인기와 영향력을 얻게 되었으며, 수천 명의 사람들이 그 날에 예수님의 재림이 있을 것으로 열렬히 고대하였다. “그 때”가 지나간 후에 한 밀러주의자의 신문은 다음과 같이 회상기를 적었다. “처음에는 정한 시간이 일반적으로 거부되었으나, 그것의 선포에는 거역할 수 없는 능력이 수반되는 것처럼 보였는데, 모든 것을 그 앞에 복종시켰다. 그것은 폭풍의 신속함으로 땅을 휩쓸었으며, 거의 동시에 다양하고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키되, 하나님께서 그 일에 관여하신다는 가정 위에서만 설명될 수 있는 방법으로 감동시켰다”(Advent Herald, 1844. 10. 30.). (49.5)
 밀러주의자의 고뇌를 요한이 예기하였음
 이상 가운데서 계시자는 재림에 대한 각성을 통하여 1833년의 행복한 시절을 살았던 이 사람들의 감정을 경험하였다. 요한은 1843년에 1335일이 마치는 때에 살게 될 자들에게 약속된 “축복” 또는 행복(단 12:12)과 구주의 신속한 재림에 대한 그 기쁜 소망을 누렸다. 그러나 그 때 그는 그들이 그래야 했던 것처럼, 1844년의 쓰라린 실망에 압도되었다. 그의 배에서는 예수님의 임박한 재림과 그 휴유증에 대한 생각이 1844년의 기대가 무산된 다음에 점점 더 쓰라린 것이 되었다. (50.1)
 밀러주의 운동에서 살아남은 자들의 대표자로서, 요한은 그의 하늘 방문자로부터 만국의 청중들에게 “다시 예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계 10:11). 성령의 말씀으로 말하자면, 그는 “일어나” 하나님의 성전과 제단과 그 안에서 경배하는 자들을 척량하라는 지시를 받 았다(계 11:1). 성소에 대한 이같은 주의 깊은 재연구로 말미암아 밀러주의 자들의 남은 자는 그들이 선포해야 할 주제를 발견하였다. (50.2)
 신비한 성전에 대한 에스겔의 “척량”이야기와 하늘 성전 또는 성막에 대한 요한의 “척량”이야기(계 15:5)는 동일한 사건을 언급한다.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