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7장8장은 유대인의 절기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참석도가 높은 초막절 동안에 예수께서 성전에 나타나신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은 예수께서 이 복음서에서 예루살렘과 유다로 세 번째 방문하신 것이다. 이때 그는 그의 봉사의 마지막 6개월 내내 이 지역에 머무셨다. 요한복음 6장의 사건과 7장의 사건 사이에는 적어도 6개월에서 1년 반 정도의 간격이 있다. 제4 복음 중에서 이 부분은 본문 초반부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유대인 통치 협의회가 예수를 죽이려는 음모가 있다는 계속적인 암시가 나타나고 있다(7:1). (188.1)
 요한복음 7장8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88.2)
생명의 물과 빛(요한복음 7-8장)
7:1-9 — 예수의 형제들의 불신
7:10-24 — 안식일에 관한 논쟁
7:25-36 — 예수의 메시야 되심
7:37-39 — 생명의 물
7:40-52 — 예수의 근원에 대한 분열된 의견들
7:53-8:11 — 간음하다가 잡힌 여인
8:12-20 — 세상의 빛
8:21-30 — 예수의 근원과 운명
8:31-38 — 진리가 자유케 함
8:39-47 — 유대인들의 아버지
8:48-59 — 아브라함보다 더 크신 예수
(189.1)
 편의상 이 장을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나눈다: 성전에서의 첫 논쟁(7:1-52), 간음하다가 잡힌 여인 사건(7:53-8:11), 성전에서의 두 번째 논쟁(8:12-59). 요한복음 7장8장의 본문은 마가복음 2:1-3:611:27-12:40에서 예수께서 바리새인과 사두개인, 그리고 율법 교사들과 벌이신 논쟁을 상기시켜 준다. (189.2)
 ■ 말씀에 들어감
 요한복음 7:1-52를 적어도 두 번 읽은 후에 다음의 질문들에 대답하라: (189.3)
 1. 7:1-12에서 예수와 그의 형제들 사이에 나타나는 생각과 행동의 차이점에 대해 열거해 보라. 성구 사전을 이용하여 사복음서에 나타나는 예수의 형제에 대한 모든 관련 구절을 찾아보라. 그대는 예수께서 자신의 가족들과 맺은 관계가 그의 생애와 사역에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끼친 영향이 무엇이었다고 생각하는가? (189.4)
 2. 요한복음 8장을 읽고 요한복음 7장8장에 예수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열거하고 분류해 보라. 너무나 상반된 반응에 대해 그대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190.1)
 3. 성구 사전을 가지고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유대인”에 관한 구절들을 모두 찾아보라. 이 용례들을 다음의 항목들로 분류해 보라:

 (1) 종교 지도자들,

 (2) 일반적인 유대인들, 그리고

 (3) 종교 지도자 이외의 모든 유대인 하위 그룹. 요한복음 7장의 이 용례들은 요한복음의 나머지 부분의 관련 구절들과 어떻게 대비되는가? (190.2)
 ■ 말씀을 탐구함
 문단의 배경
 팔레스타인의 기후
 팔레스타인의 기후는 두 개의 주요 계절로 나뉠 수 있다. 즉 여름이 중심이 되는 건기와 겨울이 중심이 되는 우기로 나뉜다. (190.3)
  (191.1)
 초막절은 1년 중 여름 가뭄이 대개 끝나는 시기에 온다. 이 때는 이른비의 시기로 성장과 발육을 위해 겨울비에 의존해야 하는 곡물을 파종하는 때이다. 이른비는 빈 저수조(貯水槽)들을 채워 생물이 물의 부족에 대한 계속적인 염려를 떨쳐버리게 한다. 또한 이 때는 가뭄의 시기에 생존을 가능케 하는 긴 뿌리를 가진 포도와 과목(果木)들을 수확하는 계절이다. (191.2)
 유월절은 곡물을 익히고 성숙시키는 우기, 즉 늦은비 기간의 끝에 온다. 이 때는 곡물의 수확을 시작하는 시기(무교절과 요제 의식을 행하는 때)이다. (191.3)
 여름 가뭄은 극심하지만 이슬은 충분한 습기를 제공하여 과목과 포도나무는 생존할 수가 있다. 과일이 겨울의 주기에 자란다면 팔레스타인에 종종 내리는 서리가 과일에 손상을 입힐 것이므로, 여름 주기는 건조함에도 불구하고 과일이 자라기에 매우 적합한 계절이다. (191.4)
 팔레스타인은 풍부한 강우량의 축복을 받는 곳은 아니다. 연 평균으로 보면 겨우 농사 짓는 일에 충분할 뿐이다. 우기조차도 50퍼센트는 햇볕이 난다. 조금이라도 더 건조해지는 해에는 곧 농사의 위기가 발생한다. (191.5)
 초막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