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요한복음 제I부 서언(緖言) (1:1-18) 제 1 장 서언: 예수께서 지상에 내려오심 (1:1-18)
 나는 15년 전 스위스에 있는 장엄한 산 마터호른(Materhorn)을 본 일을 결코 잊을 수가 없다. 밤 11시였는데, 내 머리 위로 2마일(3.2킬로미터)도 더 되는 높이에 있는 얼음 덮인 까마득한 봉우리 위에 보름달이 찬란하게 반사되고 있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요즘도 스위스를 생각할 때마다 그 압도적인 아름다움과 광대함과의 첫 만남의 인상이 내 마음에 그려진다. (45.1)
 요한복음의 서언(緖言)도 나에게 이와 비슷한 효과를 주고 있다. 서언은 이 복음서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 복음서의 나머지 부분의 모든 중요한 주제들은 서언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개되고 형성되어 있다. (45.2)
 예수께서는 선재(先在)하신 분으로 소개되고 있다(1:1, 2; 참고 8:58; 17:5). 그는 하나님의 독생자이시다(1:14, 18; 참고 3:16, 18). 그는 세상의 빛이시다(1:4, 5, 9; 참고 8:12; 9:5). 그는 생명의 창시자이시다(1:4; 참고 5:26; 6:35, 63; 10:10; 11:25; 14:6). 그는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시지만(1:14, 16: 참고 2:11; 12:41; 17:5, 22, 24), 불신에 직면하신다(1:10, 11; 참고 12:41-43; 16:8-11).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불신에도 불구하고 그를 믿는 사람들도 있다(1:12, 13; 참고 6:67-69; 12:31, 32; 17:6-19). (45.3)
 그러므로 서언에서 제4 복음의 주제들은 영원이라는 더 넓은 관점의 빛으로 채색되어 있다. 비록 예수께서는 감정과 연약함을 지닌 인간으로 이 땅 위에서 사셨지만 독자는 서언에 의해 영원부터 하나님과 함께하셨던 말씀이신 인간 예수를 보는 훈련을 받게 될 것이다(1:1-3, 18). 그러므로 현대의 요한복음의 독자들은 서언의 세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기를 권하는 바이다. (46.1)
 ■ 말씀에 들어감
 요한복음 1:1-18을 두 번 읽은 후에 다음의 질문들에 대답하라: (46.2)
 1. 이 복음서의 서언은 예수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거기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는 예수의 여러 특질과 활동들을 열거해 보라. 이 본문에 의하면, 이러한 특질과 활동들 중에서 가장 중심적이고 중요한 예수의 특질은 무엇인가? (46.3)
 2. 요한복음 1:1-18창세기 1:1-3히브리서 1:1-4와 비교하고 대조하라. 유사점과 차이점을 열거하는 표를 작성하고, 이 비교 연구를 통해 이 복음서의 서언에 대해 알게 된 것을 한 문단 정도로 요약해서 기록해 보라. (46.4)
 3. 그대는 이 서언이 예수의 탄생으로부터 시작하지 않고 영원으로부터 시작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46.5)
 4. 예수의 생애 가운데서 예수를 아버지 곁으로부터(1:1) 땅으로 내려오게 하고, 다시 아버지의 품(18절)으로 돌아가게 만든 주요 사건들(서언에 묘사되었거나 암시되어 있는 것 중에서)을 열거해 보라. (46.6)
 5. 서언 중에서 구속의 경륜의 인간적 측면을 언급한 내용들을 열거하라. 그 각각의 의미는 무엇인가? 구속의 인간적 측면이 이 구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47.1)
 6. 빛을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을 묘사해 보라(5, 10, 11절). 그 빛을 잘 이해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묘사해 보라(12-14, 16절). (47.2)
 7. 이 구절에서 침례자 요한과 모세가 예수와 연관하여 수행한 역할을 한두 문단으로 분석해 보라. (47.3)
 8. 요한복음 1:1-18의 기별을 신약에 기록된 세 개의 다른 “초기 그리스도인의 찬미”빌립보서 2:5-11, 골로새서 1:15-20, 그리고 디모데전서 3:16과 비교해 보라. (47.4)
 ■ 말씀을 탐구함
 서언의 세 가지 측면과 그 배경은 성경 속에서 하나님은 사람이 있는 곳에서 그들을 만나고 계신다는 사실을 분명히 드러내 주고 있다. 그분은 평범한 인간들에게 영감을 주어 최초의 독자들에게 친숙한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사상으로 기록하게 하셨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요한은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과 성품에 관한 그의 고상한 통찰력을 표현하기 위해 초기 그리스도인의 찬미를 사용했다;

 (2) 그는 유대인 독자들이 논리적으로 여기는 방식으로 서언의 구조를 구성했다.

 (3) 그는 예수에게 메시야나 인자(人子)와 같은 유대식 칭호보다는, 당시 이방 세계에 널리 알려진 칭호(“말씀”)를 부여함으로써 그리스도인이든,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간에 그 당시 모든 독자들에게 힘있게 전하는 서언을 창출해 냈다. 보다 심도 있게 이 세 가지 전략을 탐구하도록 하자. (47.5)
 서언의 구조
 초기 그리스도인의 찬미에 기초함
 무엇보다 먼저 제4 복음의 서언의 주요 부분들이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찬미에서부터 끌어내어 온 것이라는 상당한 증거들이 있다. 예를 들면, 요한복음 1:1, 2는 비록 헬라어로 기록되어 있지만 히브리 시(詩)와 노래의 매우 보편적인 시적 대구법을 보여주고 있다.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