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그대의 생애 속에 예수를 따르는 것이 너무 어렵거나 실망이 될 때는 없었는가? 그대가 인생의 다른 방향으로 가기보다는 예수께 매달려 있겠다고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 것은 무엇이었는가? (185.5)
 ■ 말씀을 연찬함
 1. 요한복음 6:1-152:1-11을 비교하라. 가나의 혼인 잔치의 경험이 6:5, 6에서 예수께서 빌립에게 하신 질문과 상관이 있다고 생각지 않는가? 복음서 전체를 개관하면서 육신적, 영적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예수의 능력과 연관된 모든 주장과 사건에 줄을 긋거나 표해 보라. 이 같은 복음서의 주제를 일상의 언어를 사용하여 세속사람에게 적합하게 소개하는 짧은 글을 일상의 언어로 써 보라. (186.1)
 2. 성구 사전을 사용하여 요한복음에 나오는 성령과 관련된 모든 구절을 찾아보라. 시간이 있으면 바울의 저술과 더 나아가 신약 전체에 나오는 성령을 찾아 보라. 그대가 발견한 사실과 요한복음 6:63에서 예수께서 성령에 관해 말씀하신 것을 비교해 보라(63절의 성령에 관한 그의 진술의 배경이 되는 35-58절을 염두에 두라). 성령에 대해 확장된 이 같은 이해를 가지고 요한복음 6:63에서 이끌어 낼 수 있었던 부가적인 통찰은 무엇이었는가? 이 같은 부가적인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예수의 제자들이 그를 떠나갔고 열두 제자만 남은 이유가 무엇임을 알게 되었는가? 이 연구를 통해 그대 자신의 영적 생애에 어떤 적용을 하게 되었는가? (186.2)
 ■ 말씀의 추가 연구
 1. 제1세기의 회당 문학과 그것이 예수께서 요한복음 6장에서 주신 설교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위해서는 R. E. Brow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1:277-280, 303, 304를 보라.

 2. 구약과 요한복음 모두에 나타난 I AM 진술과 그와 관련된 구약의 본문을 예수께서 어떻게 체계를 세우시는지에 대한 매우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R. Schnackenburg,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2:79-89를 보라.

 3. 부가적인 영적 통찰을 위해서는 시대의 소망, 364-382에서 요한복음 6:1-21에 대한 엘렌 G. 화잇의 언급을 보라. 383-394쪽은 전적으로 요한복음 6:22-71을 위해 할애하고 있다.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