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적인 휴머니즘으로 훈련을 받은 젊은 사람(땅이란 뜻의 희랍어 어원을 가진 “조지” 라는 이름으로 이 청년을 부르기로 하자)70은, 젊은 그리스도인인 크리스틴에 의해 대표 되는 세계관과는 전혀 색다른 세계관을 대표한다. 조지는 자신을 살아 남기 위해 생존 경쟁을 벌이는 하나의 생물학적 유기체로 생각한다. 반면에 크리스틴은 자신을, 인격적인 하나님의 최고의 작품으로 생각한다. (381.4)
 조지는 물건들, 즉 돈과 옷과 차, 그리고 가구와 집과 보우트 등을 사 모으는 일에 마음이 쏠려 있다. 크리스틴은 “영혼 구원”, 즉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사랑하도록 권하는 일에 의욕을 느낀다. (381.5)
 조지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을 느끼지 않고 자신을 환경의 인질(人質)정도로 생각한다. 크리스틴은 자신을 하나님으로부터 충분한 책임과 선택의 능력을 부여 받은 존재로 인식한다. (381.6)
 조지는 자신의 개인적인 판단에 기초하여 도덕적 결정을 해야 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크리스틴은 계시의 말씀으로 나타난 하나님의 뜻에 기초하여 도덕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381.7)
 조지는 자기의 성취에서 보람을 찾는다. 크리스틴은 자기 희생에서 의미를 찾는다. (381.8)
 뉴스 매체가 전하는 바에 의하면 조지와 그의 여자 친구 조자인이 심각한 불화를 빚고 있다고 한다. 만행, 폭력, 강간, 사생아 출생(1981년 한 해에만도 십대의 미혼모에서 태어난 사생아가 268,000 명에 달했다), 성병의 만연, 십대의 음주, 거짓말, 속임 등은 모두 상황 윤리에 의해, 그리고 도덕적 절대성의 부인에 의해 조장되어 왔다. 도덕적 절대성의 부인과 상황 윤리야말로 세속적 휴머니즘의 핵심적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381.9)
 그러나 우리의 자녀들의 품성 발달을 위협하는 요소는 세속적 휴머니즘뿐만이 아니다. (381.10)
 텔레비젼의 영향
 마리 윈 여사 역시 니일 박사처럼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어머니이다. 그녀는 과도한 텔레비전 시청이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훌륭하고 광범위한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381.11)
 마리 여사가 지적한 바에 따르면 많은 어린이들은 12살이 되기까지 1만 시간 이상을 약간 어두운 방에서 텔레비전 화면을 응시하면서 보내는데, 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그들이 시청하는 대상을 이해하지도 평가하지도 못한다. 그들은 부모가 밖으로 데려 나가지 않는 한 놀지도 않고 부모들과 대화도 하지 않으며 잠도 안자고, 그렇다고 진정으로 깨어 있지도 않은 상태에서 계속 텔레비전만 시청한다. (381.12)
 그녀의 책은 「스위치를 넣는 마약」(Plug-in Drug)란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382.1)
 뉴욕 타임즈의 한 서평자(書評者)는 겉표지 이면에 실은 서평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아이들이 담요에 몸을 감고 엄지 손가락을 씹으면서 텔레비전에 심취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들은 흐릿한 눈으로, 주변의 일을 전혀 의식하지 못한 채 완전히 대화가 두절된 무감각의 상태에서 텔레비전에 몰두해 있다.∙∙∙ 우리는 마리 윈 여사의 관심사에 주의를 돌려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82.2)
 마리 윈 여사가 지적한 사항 중에서도 가장 주목되는 것은, 나이가 아주 어린 아이들이 매일 여러 시간을 텔레비전 시청에 보내게 되면 영원히 불안정한 악영향을 뇌와 인성에 받게 된다는 것이다. 생각을 많이 하지 않고 게으르게 배경 음악만 듣고 스쳐가는 화면만을 응시하게 되면 왼쪽 뇌를 손상시키고 대신 오른쪽 뇌만 발달시킨다는 것이다. (382.3)
 하나님은 우리들에게 양쪽 뇌를 주셨다. 하나님의 창조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려면 오른쪽 뇌를 잘 발달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황을 평가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결단을 내리고 의사 표시를 하기 위해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은 왼편 뇌의 발달로 말미암는다. (382.4)
 심지어는 “세서미 스트리트”(Sesame Street) 같은 텔레비전 프로그램까지도 독립적인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어린이들의 정상적인 정신 발달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72 (382.5)
 어린이들은 텔레비전으로부터 배운다. 어린이들이 좀더 자라나면 그들 일부는 텔레비전 이외에는 달리 이야기하고 싶은 대상이 없는 듯이 보인다. 그들이 텔레비전에서 배우는 것들에는 비현실적인 것들과 즉흥적인 태도가 포함되어 있다. 마리 윈 여사의 연구에 의하면 “오늘날의 어린이들은 사소한 불만들을 참아 내는 인내력에 있어서 크게 미숙하다. 또 어떤 일은 시간이 더 걸린다든가 즉각 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에도 크게 미숙하다. 그들은 첫눈에 약간 힘들어 보이는 일이나 즉각적으로 흥미가 일지 않는 일에 끼여 들게 되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73 (382.6)
 세속적인 휴머니즘과 넋빠진 텔레비전 시청이 마지막 시대의 세대들에게 옳고 그름을 식별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을 상실케 하며, 자신의 믿음을 표현하고 어려움을 참고 견디고 희생적으로 봉사하며 동료들의 압력을 물리치고 창조주를 경배하는 능력을 저해 시키고 있다. (382.7)
 만일 우리 부모들이 텔레비전에 장시간 계속 매달려 있도록 자녀들을 방치하고 있다면 우리는 그들이 진정 누구이며 그들의 내적 필요가 무엇인지를 배우는데 사용해야 할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앞에 있는 위기에 대처하도록 자녀들을 인도하거나 교육시키지 못하고 더불어 교제하고 있지도 못하다. (382.8)
 우리는 로큰롤과 마약에 대해서는 이야기 하지 않았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그리스도 인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의 반 수 이상이 약물을 남용하고 있다고 한다. 영화 속에 표출된 신학은 어떠한가? 여러분들은 스타 워즈(star wars)에 등장하고 있는 비자연적 “세력”(Force)이, 물활론(物活論: Animism)의 마나(mana:精靈)와 민간 힌두교의 카르마(kama:業報)사상에 기초한 것임을 알고 있는가? 어린이들이 장난 말로라도 “(불가사이 한) 힘이 너를 씌우는 것 같어”라고 말한다면 어린이들은 이교주의의 악마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74 (382.9)
 안식일 준수는 가족을 돕는 한 방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