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요한복음 제V부 예수께서 자신의 생명을 주심 (18-20) 제 14 장 예수의 체포, 심문, 그리고 죽음 (18, 19)
 그러므로 이 장면은 요한복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사람들을 예수께로 이끄는 것은 십자가이다(12:32). 예수의 이름을 믿노라고 고백하지만 그와 산 관계를 가지지 못한 사람들로부터 그의 참된 추종자들을 구별해 주는 것이 바로 십자가이다. 십자가의 빛이 나타났을 때, 유다와 빌라도는 부끄러워 어둠 속으로 사라졌지만, 요셉과 니고데모는 빛으로 나아왔다(참고 3:18-21). (328.3)
 문단의 주요 주제
 풍자적이게도 빌라도와 대제사장들 모두는 십자가형이 예수의 왕국을 종결시킬 것으로 여겼지만, 요한복음은 십자가가 실제로는 예수의 “영광”이며(12:23, 24), 그 죽음을 통하여 예수께서 그를 믿는 모든 자의 생명이 되셨음(1:9-13)을 드러내고 있다. 죽음을 통하여, 그의 왕국은 영원히 설립되게 된 것이다. 요한이 바울과 동의하는 것은 십자가 위에서 예수께서 승리하심으로 세상의 지혜를 미련한 것으로 바꾸셨다는 것이다(참고 고전 1:18-25). (329.1)
 탤버트(Talbert, Reading John, 247)는 제4 복음의 십자가는 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것은 예수께서 아버지께 하신 순종의 완성이며, 아버지의 일의 성취이다(12:27, 28; 19:28, 34-37, 40). 그것은 예수와 아버지께서 영화롭게 되신 곳이다(7:39; 12:16, 23; 17:1, 5). 그것은 하나님의 계획 수행의 일부이다(19:24, 28, 36, 37). 십자가는 이 세상의 통치자를 패배시켰다(12:31). 십자가는 만물과 사람들을 예수께로 이끈다(12:32; 10:16; 11:52). 그것은 인간 최고의 유익을 위한 것이며, 우리를 위한 것이다(6:51; 10:11; 11:50; 12:24). 십자가는 궁극적인 풍자(irony)이다. 생명은 죽음을 통하여 이르러 온다. 승리는 패배를 통하여 이르러온다. 영접은 거절을 통하여 이르러온다. 기쁨은 슬픔을 통하여 이르러온다. (329.2)
 ■ 말씀을 적용함
 1. 그대의 생애에서 어떤 사항들을 장악하려는 유혹에 굴복한 적이 있는가(요 18:10, 11을 보라)? 그 장기적인 결과는 어떠했는가? 그대의 생애에서 보다 지속적으로 하나님을 신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어떤 전략을 세울 수 있었는가? 삶이 통제 불능인 것처럼 보이는 사람에게 그대는 어떤 이야기를 해 주었는가? 그들이 어떻게 반응하였는가? 베드로가 예수께서 십자가로 나아가는 것을 막았다면 이 세상에 장기적으로 어떤 결과가 야기되었겠는가? (329.3)
 2. 그대가 그대의 생애에서 빌라도처럼 한편에는 세상적인 지위와 명성, 다른 한편에는 그대가 옳다고 여기는 것 사이에서 결단을 내려야 했던 적이 있었는지 이야기해 보라. 어떤 이유로 그대는 그와 같은 선택을 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는 어떠했는가? 그대는 오늘날도 똑같은 결정을 하겠는가? 그대가 그 당시 빌라도와 함께 있었다면, 그리고 그로부터 충고를 요청받았다면, 그대는 그에게 어떤 충고를 해 주었겠는가? (330.1)
 3. 그대가 제자임을 비밀에 붙이게 만드는 장소나 환경이 있는가? 그대가 예수에 대한 믿음을 정직하게 드러내는 데 어려움을 주는 사람이 있는가? 어떤 마음의 동기가 그대로 하여금 때때로 신앙을 감추도록 만드는가? 과거에 그대로 하여금 때때로 담대히 말할 수 있게 해준 삶의 통찰력은 무엇이었는가? 그대가 담대히 나가서 다른 사람들에게 그대가 서 있는 입장을 알려줄 필요가 있는 어떤 현재적 상황이 있는가? 무엇이 그대로 하여금 예수를 위해 “대중 앞에 나가게” 만들 것인가? (330.2)
 4. 예수와 빌라도는 모두 미리 마음을 확정하고 있던 종교 지도자들을 다루어야 하였다. 그대가 그와 같은 사람을 다루어야 했던 상황이 있었다면 이야기해 보라. 그대는 어떻게 반응했는가? 그대가 지금은 다르게 반응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쟁점 중에 있는 사항이 자신의 신앙과 상관이 있을 때,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 (330.3)
 ■ 말씀을 연찬함
 1. 사복음서 모두를 가지고 예수의 체포와 수난의 개요를 잡아 보라. 그 사건을 연대적 순서대로 배열해 보라. 그런 후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사전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주석의 도움을 받아, 로마 제국 전역에서, 특히 팔레스타인에서 제1세기의 사법 절차에 대해 그대가 찾아낼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찾아보라. 요한복음 18장19장에서는 어떤 절차가 진행되었는가? 어떤 절차가 무시되거나 범해졌는가? (331.1)
 2. 성구 사전을 사용하여 신약에 나오는 산헤드린(Sanhedrin)에 관하여 그대가 찾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보라. 그대가 발견한 결과를 요약하라. 그런 후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사전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주석을 이용하여 산헤드린의 구성과 절차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연구해 보라. (331.2)
 3.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성경 사전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성경 주석에서 십자가 형태에 관하여 그대가 연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연구하고,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십자가 사건을 복습해 보라. 성경 밖의 자료를 연구함으로 예수의 십자가에 대한 어떤 통찰력을 가지게 되었는가? 그 다음에 성구 사전의 도움으로 예수의 십자가형이 신약의 나머지 부분에서 어떻게 신학적으로 적용되는지를 살펴보라. 성경 밖의 자료에 나오는 십자가형 연구가 예수의 십자가형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어떤 공헌을 했는가? (331.3)
 ■ 말씀의 추가 연구
 1.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십자가의 의미에 대해서는 R. Schnackenburg, 2:398-410; C. H. Talbert, Reading John, 246, 247을 보라.

 2. 예수의 수난에 대해 유용한 개관을 위해서는 J. B. Green and S. McKnight, eds., Dictionary of Jesus and Gospels, 841, 854를 보라.

 3. 빌라도에 관하여 더 알기 원하면, 상게서, 615-617을 보라.

 4. 엘렌 G. 화잇은 십자가에 관한 요한의 견해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으나, 요한복음 18-19장의 사건을 사복음서 전체에 기초한 그녀의 설명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 시대의 소망, 685-778을 보라. (3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