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준수의 기원과 역사 제4장 그리스도교가 이교화되어 가는 과정 제4절 성경에 최초로 나타난 태양신 부활절 축제 행사
 사도 베드로는 그의 서한에서 “오직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벧전 2:9)이라고 했다. 그러면 “여호와의 제사장” 또는 “왕 같은 제사장”들은 누구인가? 그들은 비느하스처럼 “여호와의 질투심”을 품고서, 예수를 믿음으로 구원함을 얻는다는 그리스도교 기본 복음에 접붙여진 태양신 숭배일인 일요일을 제거하고, 오랫동안 잊혀진 안식일 준수 회복운동 대열에 가담하는 자들이다. 이 안식일은 예수의 피로 자기 백성을(히 13:12) 하나님이 “...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인줄 알게”(출 31:13, 겔 20:12)하는 표징으로써 사람들에게 주셨기 때문이다. (374.4)
 이 왕 같은 제사장이 되는 “안식일 수복 운동자들”은 사단이 마지막으로 노리는 자신의 최대의 적이 될 것이다. (374.5)
 밧모섬에서 이 선악의 대쟁투의 장면을 보게 된 사도 요한은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374.6)
“용이 여자에게 분노하여 돌아가서 그 여자의 남은 자손 곧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며 예수의 증거를 가진 자들로 더불어 싸우려고 바다 모래 위에 섰더라”(계 12:17).
(374.7)
 

홍콩에 있는 타이거밤 가든의 벽화
 이들은 “세 천사의 기별자들”(계 14:6-12)로서 선악의 대쟁투에서 사단의 대리자와 그 권위의 표인 일요일 성수를 거부하는 자 즉 “짐승과 우상에게 경배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지키는 자”이다(계 14:11,12). 이들은 그 대쟁투에서 최후의 승리가 이미 보장되어 있었다. 밧모 섬의 선지자는 그 광경을 보았다: (376.1)
“또 내가 보니 불이 섞인 유리 바다 같은 것이 있고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벗어난 자들이 유리 바닷가에 서서 하나님의 거문고를 가지고 하나님의 종 모세의 노래 어린양의 노래를 불러 가로되,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시여, 하시는 일이 크고 기이하시도다. 만국 왕이시여 주의 길이 의롭고 참되시도다. 주여 누가 주의 이름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며 영화롭게 하지 아니하오리이까. 오직 주만 거룩하시니이다. 주의 의로우신 일이 나타났으매 만국이 와서 주께 경배하리이다 하더라”(계 15:2-4).
(376.2)
“... 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시고, 그 아버지 하나님을 위하여 우리를 나라와 제사장으로 삼으신 그에게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 아멘”(계 1:5, 6).
(376.3)
 참고
 1)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Patriarchs and Prophets) 下 (서울: 시조사, 1974), 76(영문 454).

 2) E. G. White, 부조와 선지자, 54.

 3) 상게서, 57.

 4) 상게서, 59. Cf 민 22:21-30.

 5) 상게서, 64.

 6) 정인찬, 3:179.

 7) 정인찬, 성서백과 (서울: 기독지혜사, 1979), 3:181. art.: “발람의 교훈”

 8) E. G. White, 부조와 선지자, 71, 72. of 영문 451.

 9) “하늘과 성도들과 사도들과 선지자들아 그를 인하여 즐거워하라 하나님이 너희를 신원하시는 심판을 그에게 하셨음이라 하더라”(계 18:20)

 10) 윤대화, 주일론, 312-319, 253-263을 보라.

 11)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교회 (계 1:11).

 12) Sir Isaac Newton, Observations Upon the Prophecies of Daniel, and the Apocalypse of St. John (London: 1773), 285-293.

 13) C. Mervyn Maxwell, 맥스웰의 요한계시록 연구, 오만규 역 (서울: 시조사, 1989), 120.

 14) E. G. White, The Act of the Apostles (Mountain View Califonia: Pacific Press Pub. Asso., 1911), 585, cf. 사도행적, 574.

 15) Maxwell, 121.

 16) John Henry Newman, Essay o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octorine (London: Longmans, 1906), 372, 373.

 17) 윤대화, 주일론, 94, 95.

 18) 상게서, 184.

 19) 상게서, 97.

 20) 상게서, 100.

 21) 상게서, 95, 96. 자세한 것은 윤대화, 고대 그리스도교의 주일 논쟁사, 46, 47을 참조.

 22) Eusebius, Victa Constantini, bk. III, chap. 18. in NPNF, 1:524, 525.

 23) 상게서, 98-114.

 24) 상게서, 91-98.

 25) 엘렌 G. 화잇, 부조와 선지자, 77, 78.

 26) 한글개역 성경의 “계명성”으로 번역된 말은 히브리어로 “광명한 자”의뜻인 “לליה”인데 70인역에서 “ὸ ἑοσφορος”로 번역하였고 이것이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루치페로(Lucifer)”가 되고 다시 영어 흠정역에서 “Lucifer”로 음역하여 고유명사화 되었다.

 (3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