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 제 2부—기독교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과 일요일 제13장—미국에서 이루어진 제칠일안식일 신앙의 역사
 1844년부터 1879년까지 제칠일 침례교회와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는 우호적인 관계가 지속되었다. 두 교회 사이에 최초의 공식적인 접촉은 1853년 7월 28일에 제칠일 침례교회 중앙위원회(Central Association)의 통신 당담 서기인 제이. 씨. 로저스(J. C, Rogers)가「리뷰」지를 통해「리뷰」지의 편집인인 제임스 화잇에게 공한을 보냄으로서 이루어졌다. 그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도들과 통신하여 그들의 신앙을 알아보는” 책임을 제칠일 침례교회로부터 위임받고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에게 공한을 발송했던 것이었다. 제임스 화잇은 두 주일 후에「리뷰」지를 통해 이 공한에 대해 대답하였다. (234.1)
 1869년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 교회 대총회(Seventh-day Adventist General Conferrence)는 교단 조직 제6년을 축하하는 자리에 제칠일 침례교회의 대표를 초청하였으며 그 후에 제칠일 침례교회의 교단적 행사에도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대총회 대표가 초청을 받고 참석하였다. 1876년에 뉴욕의 리틀 지니시(Little Genesee)에서 개최된 이 총회에서 제칠일 침례교회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와 더불어 “독특한 원칙을 양보하지 않는 선에서 서로 협력관계를 유지한다”는 결의를 하였다. (234.2)
 그후 10년 동안 제이. 엔. 엔드루스, 우라이아 스미스(Uriah Smith), 제임스 화잇, 제이. 에이취. 와그너(J. H. Waggoner)등이 제칠일 침례교회의 연례총회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의 대표로 초청되어 따뜻하고 정중하게 영접을 받았으며 제칠일 침례교회도 똑같이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의 총회에 초청되어 환영을 받았다. 그후 일부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도들의 지나친 선교열로 말미암아 양측에 “양도둑”시비가 발생했고 이로 말미암아 적지않은 오해가 쌓여 서로의 관계가 그전처럼 우호적이지 못했으나 양측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34.3)
 제칠일 침례교회의 후기 역사
 19세기 후반에 제칠일 침례 교회는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1901년에는 교인의 수효가 9,257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때부터 교세가 서서히 약화되어 1978년 통계에는 5,139명으로 교인이 줄어들었다. 19세기에는 그들이 몇 개의 신학교와 대학과 하나의 대학교(Alfred University)를 운영했는데 이제는 이 학교들이 모두 폐교되었거나 세속화되었다.34 (234.4)
 안식일은 침례교회와 제칠일 침례교회가 입장을 달리하는 유일한 교리이다. 당대의 한 제칠일 침례교회 저술가가 지적했듯이 안식일은 그들이 다른 침례교인들과 분리하여 존재해야 되는 유일한 이유였다.35 (234.5)
 제칠일 침례 교회가 지난 한세기 반 동안 다른 교단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안식일의 진리를 환기시키기 위해 정력적으로 노력한 공헌에 대해서는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과거 80여년에 걸처 그들의 교인수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이 현상은 안식일 하나만으로 교인들을 결집시켜 개별 교단을 유지시키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안식일 교리 하나만으로 한 교단의 존립 기반으로 삼기에는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성경의 다른 진리들과의 긴밀한 관계에서 안식일의 중요성이 이해되고 평가될 때 비로소 사람들에게 끼치는 안식일 교리의 역할이 크게 인정될 것이다.36 (235.1)
 안식일을 지키는 다른 소 교파들
 역사적으로나 행정적으로 미국의 제칠일 침례 교회와는 상관이 없는 독일 제칠일 침례교도들(German Seventh Day Baptitsts)이 있다. 약 150명에 불과한 이들은 1728년에 유럽에 하나의 신앙 그룹으로 조직되었으며 미국에는 1732년에 펜실바니아의 에프러타(Ephrata)에 정착하였다. 신앙 신조 상으로는 둔 카르드파(Dun Kards)와 가깝다. 독일 제칠일 침례교회의 창설자가 그전에 일시 둔 카르드파에 소속했었기 때문인지 모른다. 공동생활과 독신 생활이 이 무리들의 한 특징이다.37 (235.2)
 이 밖에 몇 개의 작은 기독교 교파들이 제칠일을 안식일로 지키고 있다. 이들 중 둘은 1844년의 재림운동에 근원을 둔 신앙 단체이다. 그 하나는 미국의 덴버(Denver)에 본부를 두고 있는 제칠일 하나님의 교회(Seventh Day Church of God)인데 약 8000명의 신자를 거느리고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의 살렘(Salem)에 본부를 두고 있는 하나님의 교회(Church of God)인데 2000여명의 교인을 휘하에 두고 있다. 앞의 교회는 1900년에 출발하였으며 뒤의 교회는 1933년에 출발하였다. 웨스트 버지니아에 근거를 두고 있고 “하나님의 교회”와 관련을 맺고 출발한 또 하나의 단체가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세계 본부”(World Head-quater’s of the Church of God)인데 고(故) 에이. 엔. 더거(A. N. Dugger)가 지도자였다. 그리고 버지니아의 포츠모드(Portsmouth)에 근거를 두고 있는 “하나님의 교회와 그리스도 안의 성도들”(Church of God and Saint in Christ)이 있는데 1896년에 설립되었으며 1980년 통계에는 교인수가 38,000명으로 나타나 있다.38 (235.3)
 좀더 가까운 시기에 와서 제칠일 안식일을 지키기 시작한 그룹으로는 허버트 더불류. 암스트롱(Herbert W. Amstrong)의 “하나님의 세계 교회”(Worldwide Church of God)이다. 암스트롱은 본래 퀘이커 교도였는데 오레곤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에 합류했다가 1934년에 라디오 전도를 시작하였고 후에 “하나님의 라디오 교회”(Radio Church of God)란 이름의 법인을 설립하였다. 그리고 1968년에는 “하나님의 세계 교회”(Worldwide Church of God)로 이름을 바꾸었다. 현재 캘리포니아의 파사디나(Pasadina)에 본부를 두고 있는데 교인수는 3만에서 10만 사이에서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1978년에는 암스트롱의 아들 가너 테드(Garner Ted)가 여기서 분리하여 나와 “하나님의 국제적 교회”(Church of God, International)로 설립하였다.39 (235.4)
 1844년 위스콘신에서 조직된 “말일의 성도들의 예수 그리스도의 스트랭 교회”(Strangite Church of Jesus Church of Latter-Day Saints)는 1980년 통계에에 교인수가 300명으로 보고 되어있다. 이들 자신들이 “말일의 성도들의 예수 그리스도 교회의” 유일한 본래적 집단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그 설립자인 제임스 제이. 스트랭(James J. Strang)이야 말로 몰몬 교회의 창건자인 죠셉 스미드(Joseph Smith)의 유일한 정통 후계자라고 주장한다. 스트랭 교도들은 안식일의 준수 등 여러면에서 다른 몰몬교도들과 다르다.40 「몰몬의 책」(Book of Marmon)에 의하면 제칠일이 안식일이라고 밝혀지고 있으나 몰몬 교회에서는 현대 세계에서 토요일을 지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끝으로 브라질에 “약속의 재림교회”(Adventist Church of Promise)라고 불려지는 25,000여명의 안식일을 지키는 오순절파 그룹이 있다. 1932년에 창설되었으며 남미의 여러 지역에 500여 회중을 이끌고 있다.41 (236.1)
 제칠일 침례 교회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의 안식일 신학에 끼친 영향
 앞에서 언급한대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안식일 진리의 이해는 제칠일 침례 교회의 전도로 비롯되었다. 그 후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제칠일 침례 교회의 안식일 관련 출판물을 계속적으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집단이 그 역사의 초기에 “안식일 소책자 시리즈”를 발행했을 때는 주로 제칠일 침례 교회의 자료를 차용하였다. 1853년에 제임스 화잇은 “제칠일 침례 교회의 저작물들이 우리들에게 큰 위안과 힘이 되고 있다”고 기록했다.42 (236.2)
 그 한 예로 1850년 11월 1일에 간행된 「더 세컨드 아드벤트 리뷰 엔드 사바드 헤랄드」(The Second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의 초판 8쪽에는 다음과 같은 사설이 실려있다. “우리는 독자들에게 제칠일 침례 교회에서 출판된 안식일 관련의 출판물들에게 특별히 주목해 줄 것을 요청하는 바이다. 그 기사들의 주장은 분명하고 포괄적이며 논박할 수 없다. 우리는 「리뷰 엔드 헤랄드」(Review and Herald)에 게제할 안식일의 관련 기사들을 위해 제칠일 침례 교회의 출판물에서 발췌하려고 한다” “그리고 우리는 나중에 이 기사들을 하나로 모아 좀더 큰 팜플렛들로 출판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43 (236.3)
 「리뷰」지의 제 1호는 그 지면의 4분지 3을 제칠일 침례 교회에서 나온 안식일 관계 자료로 채우고 있다. 이러한 관행은 상당기간 계속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제이. 엔. 엔드루스와 죠셉 베이츠 같은 초기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안식일 개척자들이 제칠일 침례 교회의 안식일 신학에 얼마나 많이 신세를 지고 있었는지를 밝혀 주는 단적인 예의 하나라 할 것이다. (236.4)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안식일 신학
 안식일의 교리가 아니었다면 역사상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 19세기 중엽에 밀러파 재림 신자들의 일부가 안식일의 교리를 수용하지 않았으면 그들의 교세가 어떻게 되었을까? 그리고 만약 제칠일 침례 교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임박한 재림의 교리를 수용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우리는 지난 역사에서 안식일을 준수하는 재림신앙,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재림 신앙, 재림 신앙이 없는 안식일 준수라는 세가지 신앙 유형을 지켜보았다. 우리는 이 세 가지 신앙 유형을 통하여 재림과 안식일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따라 그 신앙의 결과들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그 무엇보다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신학에서 안식일 신앙과 재림 신앙은 서로 어떤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237.1)
 앞에서 설명했듯이 안식일을 지키는 재림 신자들은 1849년에 기존의 재림신자들과 구별되는 별개의 신앙 그룹으로 역사에 등장하였다. 그리고 안식일은 이 집단의 가장 중요한 존재 이유와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안식일을 수용하지 않은 밀러파 재림 신도들의 결국은 어떠하였는지를 언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844년 이후에 안식일을 수용하지 않은 밀러파 재림신자들(Millererite Adventist)로서 1980년대까지 살아남은 단체는 셋이다. 교인수 3만명의 “재림 기독교회”(The Advent Christian Church), 교인수 6,500명으로 아브라함의 신앙을 강조하는 “하나님의 교회”(Church of God 〈Abraham Faith〉), 그리고 교인수 600명 정도의 “원시 재림 기독 교회”(Primitive Advent Christain Church)인데 이 세 교파의 교인수를 모두 합하면 대략 3만 7천 명에 달한다.44 이들의 총 교인수는 1980년 통계에 나타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교인수 300만명의 1퍼센트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2000년의 통계에 의하여 교인수를 비교하게 되면 그 차이는 더 현격해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2000년 6월 카나다 토론토에서 회집된 대총회 정기 총회에서 전체 세계의 220여 국가들에 1천 1백만의 교인을 이끌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두고 생각해 볼 때 재림신앙은 안식일 신앙을 대동하는 경우와 안식일 신앙을 대동하지 않은 경우에 그 파급력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벌어진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안식일 신앙을 대동하는 재림신앙이 안식일 신앙을 대동하지 않은 재림 신앙보다 전도에 있어서 수백 배나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237.2)
 안식일이라는 공통의 신앙 기반을 가지고 있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와 제칠일 침례교회의 중요한 신학적 차이는 임박한 재림의 교리를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에 있다. 1849년 당시 제칠일 침례교회는 교인수가 5,949명에 이르러 겨우 교인수 100명에 불과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를 까마득한 차이로 앞서고 있었다. 59:1의 비율로 제칠일 침례교회가 앞섰던 것이다. 그런데 1978년도 제칠일 침례 교회 교인 통계를 보면 5,139명 으로 나와있다.45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300만 교인에 비교하면 584:1의 비율로 재림교회가 크게 앞서고 있다. 앞에서 밀러 파 재림 교파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듯이 이들에게도 2000년도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 1천 1백만과 제칠일 침례 교회의 신자 수를 비교한다면 그 차이는 엄청나게 더 벌어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재림신앙을 대동한 안식일 신앙은 재림 신앙을 대동하지 않는 안식일 신앙의 경우 보다 전도에 있어서 수 천 배나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는 것이다. (2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