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6의 수는 “인간”의 수이다(R. S. V). 희랍어 원문은 “사람의 수”“인간의 수”로 번역될 수 있다. 제6일 즉 금요일은 사람이 창조된 날이다. 그렇다면 6의 세 쌍으로 된 666은 자기 자신, 즉 자신의 생활 방식과 자신의 창조성에만 집착하는 인간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아닐까?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처럼 모든 창조력의 진정한 원천을 무시하고 자기 자신의 활동을 자랑하는 인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단 4:30)? (408.7)
 이와 반대로 제칠일은 창조의 면류관 같은 날이다. 이 날은 하나님이 창조의 결과를 기뻐하시고(출 31:17) 사람을 자신의 기쁨 가운데로 초청하시는(사 58:13, 14) 날, 즉 하나님이 안식하시고(창 2:2), 사람 또한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는 날이다(히 4:10). 니일(Neall) 교수는 다음과 같이 흥미로운 개념을 기술하였다. (408.8)
 6이란 수는 7로 이어질 때만 합법적이다. 6은 자신이 비로소 존재하게 된 첫날 저녁에 하나님의 창조의 능력을 기념하는 인간을 나타내고 있다. 인간의 영광은 하나님의 영광으로 이어질 때만 정당하다. 그러나 666은 7의 수로 나아가기를, 하나님에게 창조주와 구세주의 영광을 돌리기를 거부하는 인간의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666은 자기 자신의 영광과 자기 자신의 창조성을 추구하여 자기에게 집착하는 인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는 하나님이 배제된 모든 창조력과 풍부한 창조 활동, 즉 하나님 부재(不在)의 행동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 수자는, 거듭나지 않은 사람이 악을 고집한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요한계시록 13장의 짐승은 하나님을 떠나 자신의 주권을 행사하는 인간, 즉 하나님의 형상에 순응하기보다는 짐승의 우상을 따르는 인간을 상징한다. 하나님을 떠난 인간은 짐승 같고 마귀 같은 존재가 된다.∙∙∙ (408.9)
 그러므로 짐승의 표는 하나님의 주권 곧 안식일의 원칙에 대한 거부이다. 안식일의 원칙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자연 속에서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교제에서, 그리고 하나님의 안식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존엄성을 찾게 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창조주와 피조물을 구별시키는 것이 안식일이다. 안식일은 누가 경배를 받기에 합당하며 누가 경배를 받아서는 안 되는지를 밝히고 있다.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의존성을 밝혀 주고 있는 것이 안식일이다. 그런데 666은 그 반대로 창조주 대신에 피조물을 경배하는 그 자체를 상징하고 있다.87 (408.10)
 이같은 성경 해석에 비추어 볼 때 일요일의 강압적인 준수는, 예수 그리스도가 마지막 시대에 하늘 성소에서 우리를 위해 봉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 십계명이 하늘 지성소의 예수님 곁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신의 방식대로 하나님을 경배하겠다는 방약무인(傍若無人)한 결의와 연결된 것으로서 짐승의 표를 구성하고 있다. (408.11)
 References

 1. Walter Russell Bowie, Exposition of Genesis, The Interpreter's Bible, 12 vols.(New York: Abingdon Press, 1952~1957), 1:518.

 2. John L. McKenzie, S.J., The Roman Catholic Church, ed. E. O. James, History of Religion Series(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9), p. xii. 맥켄지가 자기 교회의 로마적 요소를 솔직이 시인한 것은 그 점에 대해 입막음하려는 미국의 소수의 가톨릭 지도자들의 시도와 대조가 된다. 맥켄지와 함께 노트르담 대학에 있는 존 오브라이언(John O' Brien) ol 71 The Faith of Millions, rev. ed.(Huntington, Ind: Our Sunday Visitor, Inc., 1963, 1974)을 참조하라.

 3. Henry Edward Manning, The Temporal Power of the Vicar of Jesus Christ, 2d ed. with preface(London:Burns and Lambert, 1862), pp. xxvii, xxix.

 4. John Adolphus, The History of France, vol. 2(London: George Kearsley, 1803), p. 365.

 5. Richard Duppa, A Brief Account of the Subversion of the Papal Government. 1798, 2d ed.(London: G. G. and J. Robinson, 1799), pp. 46, 47.

 6. George Trevor, Rome: From the Fall of the Western Empire(London: The Religious Tract Society, 1868), p. 440.

 7. Joseph Rickaby, “The Modern Papacy,” in Lectures on the History of Religions, vol. 3, lecture 24, p. 1(London: Catholic Truth Society, 1910).

 8. Manuel de Godoy, Principe de la Paz(1767-1851): Memoirs of Don Manuel de Godoy, Prince of the Peace, ed. J. B. d' Esménard, 2 vols.(London:Richard Bentley, 1836).

 9. 나는 이 질문에 대해 딕 윈(Dick Winn)의 덕을 입고 있다. 그의 책명은 If God Wom the War, Why Isn't It Over?(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n., 1982) 이다.

 10. See, e.g., Samuel Eliot Morison, The Oxford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p. 15, and Merwyn S. Garbarino, “Indian, American,” World Book Encyclopedia(1973), 10:127, 138n.

 11. Morison, American People, p. 110, referring to the Great Swamp Fight of November 19, 1675, with the Narragansetts.

 12. The Dublin Nation, quoted in J. N. Andrews, The Three Messages of Revelation XIV, 6-12, 5th ed., rev.(Battle Creek, Mich.:Review and Herald Publishing Co., 1892), pp. 85, 86.

 13. Alfed H. Kelly and Winfred A. Harbison, The American Constitution:Its Origins and Development, rev. ed.(New York: W. W. Norton and Company, Inc., 1948, 1955), pp. 384~391.

 14. See, e.g., ibid., p. 492. The case is known as Berea College v. Kentucky.

 15. The court case is Korematsu v. United States(1944). See e.g., Carl Brent Swisher, Historic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 Anvil original(Princeton, N.J.:D. Van Nostrand Co., 1958), p. 162.

 16. Kelly and Harbison, American Constitution, p. 861.

 17. Margaret L. Coit and the editors of Time-Life Books, The Sweep Westward, in Henry F. Graff, ed., The Lif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vol. 4(New York: Time-Life Books, 1963), p. 109.

 18. Anson Phelps Stokes, Church and State in the United States, 3 vols.(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50), 1:833.

 19. Leo Pfeffer, Church State and Freedom, rev. ed.(Boston: Beacon Press, 1953, 1967), p. 302.

 20. 태도의 또 다른 변화로서, 원래는 4년마다 “가톨릭 교회”를 경고하기 위해 부여된(1750년대) 하버드 대학에서의 “Third Dudleian Lecture” 가 1979년에는 요한 바오로 2세에게 위임되었다! 교황은 이 초청을 감사히 여겼으나 거절해야만 했다. George Huntston Williams, “The Ecumenical Intentions of Pope John Paul II,” Harvard Theological Review 75(1982) 142을 보라.

 21. See Dean M. Kelly, “Uncle Sam, Church Inspector,” Liberty, May-June 1984, pp. 3~5.

 22. This section is based primarily on LeRoy Edwin Froom, The Prophetic Faith of Our Fathers, 4 vols.(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n., 1946–1954) and R. W. Schwarz, Light Bearers to the Remnant(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n., 1979), pp. 24~30.

 23. Froom, Prophetic Faith, 2:507~510.

 24. Ibid., 3:303~324.

 25. Ibid., 3:461~481.

 26. Ibid., 3:434~439,449~456.

 27. Ibid., 3:364~376.

 28. Ibid., 3:514-526. For a recent book on Irving, not always fair to his views, see Arnold Dallimore, Forerunner of the Charismatic Movement: The Life of Edward Irving(Chicago:Moody Press, 1983).

 29. Froom, Prophetic Faith, 3: 701~703, 299:M. Ellsworth Olsen, A History of the Origin and Progress of Seventh-day Adventists(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n., 1925), pp. 99~101.

 30. Froom, Prophetic Faith, 3:687~700.

 31. Ibid., 3:671~686.

 32. Mourant Brock, Glorification(American Millennial Association reprint, 1845), in Froom, Prophetic Faith, 3: 705, 706.

 33. Thomas B. Macaulay, Critical and Miscellaneous Essays(Philadephia:Cary and Hart, 1844), vol. 5, p. 324, in Froom, Prophetic Faith, 3: 268.

 34. 현대에 발간된 윌러엄 밀러의 전기 중 최상의 것은 Francis D. Nichol의 The Midnight Cry(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n., 1944)이다. 약간 더 오래 전에 나온 것은 Sylvester Bliss의 Memoirs of William Miller(Boston:Joshua V. Himes, 1853)이다. 다른 오래된 전기는 아이작 웰컴(Isaac Wellcome)과 제임스 화잇(James White)이 준비한 것이었다. C. Merryn Maxwell, Tell It to the World, 2d rev. ed.(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n., 1976, 1977, 1982)의 초장에서는 밀러의 생애와 행적이 평이한 형식으로 표사되었다.

 35. Bliss, Memoirs, pp. 64~66. 밀러가 빈번히 숙독했던 설교집을 발췌한 이 책에서 블리스는 저자의 이름을 알렉산더 프라우드피트(Alexander Proudfit) 대신에 프라우드푸트(Proudfoot)로 잘못 명명하였다.

 36. William Miller, Feb. 4. 1843, to Signs of the Times, in Bliss, Memoirs, pp. 180, 181.

 37. William Miller, Apology and Defence(Boston: J. V. Himes, 1845), p. 6.

 38. 밀러는 스스로 “해석의 법칙” 14 가지를 설정하였다. 열 한 번째 법칙은 “분별”을 필요로 했으며 열 네 번째 법칙은 믿음을 갖는 것이고 열 세 번째는 계획된 성취가 예언대로 조목조목 맞아들어가는지, 아니면 그와 일치하는 역사상의 다른 사건이 있는지 찾아보고 확인하는 것이다. Isaac C. Wellcome, History of the Second Advent Message and Mission, Doctrine and People(Yarmouth, Maine: The Author, 1874), pp. 45, 46을 보라.

 39. Miller, Apology, p. 12.

 40. Ibid., pp. 13, 17.

 41. Ibid., pp. 13, 14.

 42. Ibid., p. 19.

 43. The story is partly retold and partly quoted from Bliss, Memoirs, in Nichol, Midnight Cry, pp. 66~68.

 44. Nichol, Midnight Cry, p. 53, and Miller, Apology, pp. 19, 20.

 45. Everett N. Dick, “William Miller and the Advent Crisis, 1831–1844”(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1930), pp. 267~269.

 46. See The Midnight Cry August 24, 1843, p. 1, and Signs of the Times, March 8, 1843, p 4, and November 15, 1943, p. 109.

 47. John Greenleaf Whittier, Prose Works, 1:425, 426, in Nichol, Midnight Cry, p. 110.

 48. See Joseph Bates, Second Advent Way Marks and High Heaps(New Bedford, Mass.:Press of Benjamin Lindsey, 1847), pp. 11, 12.

 49. See Froom, Prophetic Faith, 4:655~662. 그러나 그의 설명에도 몇 가지 맹점들이 있다. 천막은 운용상 용이하도록 크기를 늘리지 않고 오히려 줄었던 것이다. David Tallmadge Arther, “Joshua V. Himes and the Cause of Adventism, 1839-1845”(M.A. the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1961), p. 108를 보라.

 50. Miller, Apology, p. 22 for the lower figure. For the higher figure, see Dick, “Advent Crisis,” pp. 263, 264.

 51. Editorial, The Midnight Cry, Oct. 31, 1844, pp. 110, 111.

 52. Ellen G. White, The Great Controversy Between Christ and Satan, rev. ed.(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n., 1911), p. 403.

 53. See Ellen G. White, “Notes of Travel” in Historical sketches of the Foreign Missions of the Seventh-day Adventists (Basle:Imprimerie Polyglotte, 1886), p. 213.

 54. George I. Butler, “Advent Experience,” No. 2, Review and Herald, February 17, 1885, p. 105.

 55. Ibid.

 56. William Miller, Letter, The Midnight Cry, Dec. 5, 1884.

 57. See Timothy Smith, Revivalism and Social Reform in Mid-Nineteenth-Century America(New York:Abingdon Press, 1957), pp. 225, 226.

 58. See ibid., p. 228.

 59. “The National Crisis,” The Christian Review 26(1861):492 in Smith, Revivalism, pp. 230, 231.

 60. For these examples and several others, in a brief overview, see Lawrence Maxwell, “Christ Coming Soon,” Signs of the Times, January 1971, pp. 18-25.

 61. See especially The Advent Mirror, January 1845, edited by Joseph Turner and Apollos Hale. Enoch Jacob's views appeared in his Western Midnight Cry(soon renamed The DayStar) for November 29 and December 30, 1844.

 62. See, e.g., Lewis R. Walton and Herbert E. Douglass, How to Survive the '80s(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n., 1982), esp chapter 2.

 63. Otto Betz, Stigma,”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and ed., Geoffrey W. Bromiley, 9 vols.(Grand Rapids, Mich.: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4–1974), 7:659. For several references to marks on slaves see Thomas Wiedemann, Greek and Roman Slavery(Baltimore: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1), esp. pp. 193, 194.

 64. Betz, Stigma,” p. 658. Compare Karl Heinrich Rengstorf, Semeion, Semaino, Semeioo, Asemos, Episemos, Eusemos, Sussemon, Kittel and Friedrich, Theological Dictionary, 7:204.

 65. Betz, Stigma,” pp. 660. Herodotus, Persian Wars, 2.113 ; Modern Library.

 66. William Ralf Featherstone, The Church Hymnal(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n., 1941), no. 276.

 67. 고용주는 자신의 이름을 딴 미술 회사의 미국인 사랑, 조셉 두빈 경이었다. Herbert Douglass, The End(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n., 1979), p. 152, and Christianity Today, February 2, 1979을 보라.

 68. 다음의 몇 페이지는 베아트리체 S. 닐(Beatrice S. Neall)의 The Concept of Character in the Apocalypse With Implications for Character Education(Washington: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83), esp. pp. 166, 167, 205, 200에서 착상을 얻었다.

 69. 몇몇 공립 학교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구시대의 가치관을 가르치고 있다는 논증으 로서, 리버티(Libert)지 1984년 5, 6월 호, 17페이지에 나오는 토마스 E. 로빈슨(Thomas E. Robinson)의 다음 제하의 글을 읽어 보라. “ ‘전망이 전혀 없는’, 공공 고등학교는 가치관을 가르치고 있는가?”

 70. 닐 박사가 명명한 “조지”는 루소의 에밀(Emile)과 같은 인물이다.

 71. Marie Winn, The Plug-in Drug(New York:Bantam Books, 1977, 1978). The next few paragraphs draw heavily from pp. 37~40, 47, 48, 100, 108, 121, 171.

 72. Winn, Plug-in Dmug, pp. 37~40. 아이들은 사전에 엄밀히 준비되고 광범위하게 선전된 가정에서만 “세서미 스트리트” 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73. Ibid., p. 171.

 74. 러셀 스태이플과의 대화, 1984; 스탠리 맥스웰의 연구 논문, 1983.

 75. 카세트 구입은 Box 366, Medina, Ohio 44258, Your Story Hour로, 아더 S. 맥스웰 세트는 이 책의 출판업자에게로 연락 가능하다.

 76. Clara Endicott Sears, Days of Delusion(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24). 77. Everett N. Dick, “Advent Crisis.” 78. Nichol, Midnight Cry, chaps. 23~27. 79. 밀러의 경험을 다룬 책들에서 니콜의 증언이 일으킨 변화를 조사하려면 Jerome L. Clark, 1844, 3 vols.(Nashville:Southerm Publishing Assn., 1968), 다니엘 연구 50~83을 보아야 한다.

 80. Whitney R. Cross, The Burned-over District:The Social and Intellectual History of Enthusiastic Religion in Western New York, 1800–1850(Ithaca, N. Y.:Cornell University Press, 1950), p. 306.

 81. Nichol, Midnight Cry, chap. 25, esp. p. 389n.

 82. James White, “Clerical Slander,”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April 14, 1868, p. 281.

 83. Roger W. Coon, A Gift of Light(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n., 1983), p. 21.

 84. See, for example, ibid., pp. 52~60.

 85. Volkmar Herntrich and Gottlob Schrenk, Leimma, Hupoleimma, Kataleipo(Kata-, Peri-, Dialeimma), Kettel and Friedrich, Theological Dictionary, 4: 194–214. Gerhard F. Hasel, The Remnant: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Remnant Idea from Genesis to Isaiah, Andrews University Monographs, Studies in Religion, vol. 5., 3d ed.(Berrien Springs, Mich.:Andrews University Press, 1980).

 86. Several of the above ideas were borrowed from Edwin R. Thiele, Outline Studies in Revelation(Angwin, Calif.:The Author, n.d.), pp. 216~218. 부적의 각 행은 총계 111이 된다. 따라서 여섯 개의 세로 줄과 마찬가지로 여섯 개의 가로 줄은 총계 666이 된다.

 87. 닐(Neal)을 Character in the Apocalypse, 153~155 페이지에서 몇 가지 착상의 공을 기허만 혹스(Herman Hoeksema)와 한스 라론델(LaRondelle)에게 돌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