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출애굽기 제 IV 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 중에 거하심 (출애굽기 25-40) 제 11장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죄를 응징하심 (출애굽기 32-34장)
 1. 하나님께서 가까이 임재하기를 원했던 때에 하나님께서 나의 인생과 아무 상관없이 너무 멀리 떨어져 계시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는가? 하나님의 임재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 본적은 있는가? 하나님께서 가까이 임재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 위하여 나는 “금송아지”를 만든 적이 있는가? 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허락되지 않는 종교적인 관습을 다른 이들로부터 차용하여 행한 적이 있는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었나? (304.1)
 2. 나는 기도로 하나님의 뜻을 돌이키며 나의 간청에 하나님께서 새로운 방법으로 응답하실 것을 믿고 있는가? 기도의 능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다고 믿는가? 내가 믿는 기도의 능력은 나의 기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 모세와 같이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하여 기도로 중재한 적인 있는가? 나는 중재에 관하여 모세의 경험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치신 것처럼 오늘날도 사람들을 벌하시는가? 그 증거는 무엇인가? 하나님께서 나를 벌하신 경험이 있는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경고하고 벌할 수 있어야 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304.2)
 4. 하나님의 임재는 나에게 어떤 큰 의미가 있는가? 이스라엘은 금송아지를 태워 마신 것과 하나님께서 역병으로 치신 것 등은 참을 수 있었으나, 하나님께서 그들과 더 이상 동행하지 않을 것을 알았을 때 그들은 깊은 시름에 빠졌다. 하나님의 임재는 나에게도 정말 중요한가? 하나님께서 나와 동행함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나는 하나님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그분이 나와 동행하고 있는지 조차도 모르고 있는가? 나는 하나님과 교통하고 있는 “회막”과 같은 곳이 있는가? (304.3)
 5. 나는 진실로 하나님께서 은혜가 많으시며 자비롭고 용서하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는 분으로 믿고 있는가? 나는 내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때때로 하나님께서 그런 분이 아니신 것처럼 행동하고 있지 않은가? 나는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가? 나와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것이 나에게 큰 고통인가? 나와 다른 이들에게 자비를 행하는 것은 더욱 쉬운 일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하나님의 품성을 이해할 때 나의 모든 행위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나로 하여금 하나님의 선하심을 확신케 하는 것은 무엇인가? (305.1)
 6. 나의 인생에서 어떤 중요한 관계가 깨어짐으로 상처받은 적이 있는가? 그 결과는? 본 장은 관계의 깨어짐과 회복을 이야기하고 있다. 본 장에 나타난 것처럼 관계가 깨어지고 회복되는 것에서 어떤 교훈을 얻는가? 모세와 같이 깨어진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사람의 중요한 역할은 무엇인가? 다시 회복되어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 (305.2)
 ■말씀을 연찬함
 1.용어 색인을 사용하여 출애굽기 34:6, 7의 이해를 넓혀 보라. 하나님의 본성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 단어들을 찾아보고 성경의 다른 곳에서 여호와 하나님을 언급하며 같은 뜻으로 쓰인 단어들을 찾아보라. 다음의 성경절들을 찾아보는 것으로 시작해 보라: 민수기 14:8; 느헤미야 9:17; 시편 86:15; 103:8; 145:8; 요엘 2:13; 요나 4:2; 나훔 1:3. 이 성경절들에서 구약은 하나님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가? 특별히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구약의 하나님을 잔인하고 처벌하는 하나님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에게 당신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305.3)
 2. 사사기에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들어간 후 하나님께 몇 번 대적했는지 세어 보라. 시내 광야에서 하나님께 대적한 것과는 어떤 유사한 점이 있는가? 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오늘날 교회가 집단적으로 하나님께 대적하는 것은 무엇인가?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반응하시겠는가? 하나님께서는 이와 같은 사실을 어떻게 우리에게 말씀하시는가? 하나님께 개인적으로 대적하는 것은 없는가? 또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응답하시는가? (306.1)
 ■말씀의 추가 연구
 1.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하여 엘렌 G. 화잇의 부조와 선지자 315-330을 읽어 보라.

 2. 중재와 기도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Samuel E. Balentine의 “Prayer in the Hebrew Bible”을 읽어 보라. 출애굽기 32:7-14의 모세의 기도에 관한 내용은 135-139을 읽어 보라.

 3. 출애굽기 34:6, 7의 내용과 하나님의 자비하심에 관한 이해를 위하여 Jon Dybdahl의 “Old Testam-ent Grace” 83-87을 읽어 보라. (3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