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림 전 조사심판의 성경적 기초 조사심판과 성소 제19장 죄가 성소로 전이됨
 미가엘은 미소를 지으며 라파엘의 어깨에 손을 얹는다. 그분은, “사탄이 반대하는 것을 알려주어서 고맙다. 지금 당장은 그 말에 대답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내가 하늘의 기록책을 펼쳐서 너와 너의 모든 친구 천사들이 살펴볼 수 있게 해 줄 날이 올 것이다. 지구의 시간으로는 지금부터 여러 해가 지나야 할 것이다. 그때가 되면 나는 사탄에게 내 나라의 모든 천사들 앞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논증을 펼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고, 너와 너의 친구들에게는 직접 기록들을 검토할 시간을 다 주겠다. 너희가 그 증거들을 다 살펴보고 나면 내가 다윗에 대하여 내린 결정이 옳고 사탄은 틀렸다는 데 동의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한다. (232.2)
 미가엘은 자신이 말한 것에 대하여 라파엘이 생각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 잠시 멈춘다. 그리고 계속해서 말한다. “지금부터 심판 때까지 내 모든 백성의 죄를 내가 책임진다.” 그분은 라파엘의 어깨에 손을 얹고 그의 눈을 들여다보며 미소 짓는다. “그때까지는,” 그는 말한다. 나를 믿어다오.” (232.3)
 게인은 죄가 성소로 옮겨져 있는 것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이제 그 결함은 봉함된/제어된 형태로서 그분의 영역에 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그분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게인은 지상 성소에 대하여 말하고 있으며, 그가 말하려는 요지는 죄인의 죄가 성소로 옮겨진다는 것은 하나님이 속죄일까지 그 죄의 책임을 떠맡고 계심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 날이 되면 그것이 성소로부터 제거되어 아사셀 염소에게로 옮겨진다. (232.4)
 나는 동일한 원칙이 하늘 성소에도 적용된다고 믿는다. 천사들의 마음속에 심각한 의문을 불러일으킨 우리에 대한 사탄의 참소에 당면하여, 예수께서는 우리가 고백하고 용서받은 죄의 책임을 심판 때까지 떠맡으신다. (233.1)
 내가 이해하기로는 우리의 죄가 하늘 성소로 옮겨졌다는 말은 그것들이 하늘의 책에 기록되어서 심판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니엘 7:9, 10의 순서가 보여주듯이 세상 역사 대부분의 기간 내내 천사들은 그 기록책들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하늘 성소로 죄가 옮겨졌다는 말의 추가적인 의미는, 심판(우리는 지금 그것이 진행되고 있다고 이해한다) 때까지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용서에 대한 책임을 친히 떠맡고 계셨다는 것이다. 사탄의 모든 참소와, 그 참소가 천사들의 마음속에 불러일으켰을 수 있는 어떠한 의문에 대해서든지 그분의 대답은 단순히 “심판 때까지는 나를 믿어다오.”이다. (233.2)
 희생 제물을 통하여 성소로 옮겨진 죄만이 용서를 받을 수 있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가 본 것처럼, 반역의 죄 역시 성소로 옮겨졌으며, 이러한 페샤의 죄들도 속죄일에 성소에서 제거되어야 하였으나, 그로써 죄인이 용서를 받는 것은 아니었다.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공언하는 사람들의 모든 죄는 하늘의 기록책에 기록되며, 그 모두가 심판 때 검토를 받을 것이다.✻✻

 
참조 레위기 16:16에 나오는 “최”는 페샤를 번역한 말이다.

  속죄일에는 이방인이 아니라 이스라엘 자손의 죄만 해당이 되었듯이, 조사심판 때에는 그리스도를 믿노라고 공언한 사람들의 이름만 검토를 받을 것이다. 악인들에 대한 심판은 천년기의 끝에 일어 난다(참조 Ellen G. White, The Great Controversy, 480). (233.3)
 용서받지 못한 반역의 죄는 그것을 저지른 사람에 대한 증거가 될 것이며, 그 사람들은 정죄를 받을 것이다. 다른 한편, 지은 죄의 용서를 받은 사람들은 그들의 회개와 자백과 그리스도의 용서가 그들의 죄목 옆에 기록된다. 우리의 중보자이며 큰 변호인이신 그리스도께서 사탄의 모든 고발에 대항하여 우리를 대표하실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심판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이유이다! (233.4)
 이상의 내용은 상당히 길고 다소 전문적인 논의였으나, 조사심판에 관한 우리의 연구에 적합한 내용임을 여러분이 인식하리라 믿는다. 본 장은 죄가 죄인으로부터 성소로 옮겨지는 것을 포함한 구약의 제사 의식에 대한 재림 교회의 해석에 강력한 성경적 근거가 있음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 (234.1)
 〈미주〉-------------------------------------

 1) Whidden, E. J. Waggoner, 347.

 2) Gane, Cult and Character, 8.

 3) Ibid., 176.

 4) Ibid., 177.

 5) 레위기의 전문가인 Jacob Milgrom은 이러한 견해를 취한다. 참조 Gane, Cult and Character, 268-270.

 6) Ford, “Daniel 8:14,” 348; 강조는 원문에 있는 것임. 유사한 진술이 5, 290쪽에도 있음.

 7) Ibid., 348. 강조는 원문에 있음.

 8) Jacob Milgrom, Studies in Cultic Theology and Terminology(Leiden: Brill, 1983), 75, Gane, Cult and Character, 107,108에서 재인용; 강조는 첨가된 것임.

 9) Gane, Cult and Character, 292.

 10) Ibid., 296.

 11) Ibid., 297, 298.

 12) Ibid., 274.

 13) Ibid., 50.

 14) Ibid., 233.

 15) Ibid., 51.

 16) Ibid., 110, 111.

 17) Ibid., 142; 참조 273쪽, 제2 항.

 18) Ibid., 177; 참조 276. (2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