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1세기에 미트라교가 로마 사회에 끼친 영향은 스타티우스(Statius)에 의해서도 지적되고 있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미트라 신이 황소를 죽이는 신비의 의식을 묘사한 그림인 타우록토누우스 미트라(Tauroctonous Mithra)를 보았다고 말했다.
62 기독교 복음의 사법적인 장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귀를 기울였던(
행 25:12; 딤후 4:16) 최초의 황제라는 네로(Nero)는 또한 미트라의 호소를 인정한 최초의 황제였다.
63 A.D. 66년에 아르메니아의 국왕이며 미트라교의 사제이기도 한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1)가 그를 수행하는 마기와 함께 네로 황제를 찾아 왔을 때 네로는 이 동방의 군주로부터 다음과 같은 말을 들었다고 한다.
“나는 나의 신인 그대에게, 미트라에게 경배하듯 그대를 경배하기 위해 찾아왔다.”64 트리다테스는 네로를 미트라 신앙으로 입문 시켰다.
65 그리고 네로는 이러한 찬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트리다테스에게 아르메니아의 통치자의 자리를 확인하였다.
(3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