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기독교와 로마 군대 제3장 초기 그리스도인 병사와 로마 군대 (A.D. 173-312) A. 초기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군복무와 그 태도
 일곱 개의 묘비들의 지역적인 분포를 보면 5개(nos. 21, 22, 24, 46, 47)가 로마에서 발견되었고 나머지 둘(nos. 12, 29)은 발견 장소 또는 병사의 복무 장소에 대해 알려지지 않았다. 베인톤(R. H. Bainton)은 로마에서 발견된 그리스도인 병사 묘비들의 높은 분포율에 주목하였다. 로마 교회가 칼리스투스(Callistus)감독 치세 중에는 성적 탈선자들에게(220년), 코르넬리우스(Cornelius) 감독 치세 중(250년)에는 배교자들에게 각각 관용을 베풀어 처음으로 그리스도인들의 도덕적, 신앙적 규제를 크게 풀었듯이 군직에 대한 교회의 규제를 완화시키는 작업에 있어서도 로마 교회가 선두에 섰을 것이란 가정을 내놓고 있다.76 (141.2)
 오르니(Jean-Michel Hornus)는 레끄레르의 목록 외에 네 개의 그리스도인 병사의 묘비를 추가하여77 콘스탄티누스 황제 이전의 시대에 속하는 그리스도인 병사의 묘비의 수를 열 한 개로 늘렸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것조차 대단히 보잘것 없는 수효에 불과하다고 토로하였다. 그러나 베인톤(Bainton) 교수가 옳게 지적했듯이 이 묘비들의 관련 의의는 그 숫자 이상으로 큰 것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들의 묘지에 이들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묘비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만으로도 신도 공동체 측에서 군직에 대한 묵시적 용인을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78 (142.1)
 동시에 우리는 이 기간에 그리스도교 신앙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망자의 공식 직함을 명기하는 묘비에 자신의 그리스도교 신앙을 천명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란 사실, 그리고 경제적으로 하류 계층에 속했던 그리스도인들이 경비를 줄이기 위하여 묘비 기록을 간단하게 했다는 사실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감안한다해도 수많은 그리스도인 묘비 중에서 그리스도인 병사의 묘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나 작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초기 그리스도교 사회가 군직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는 자세였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 (142.2)
 6. 요약 (142.3)
 그리스도인들의 군복무에 대한 언급으로는 173년에 다뉴브강 지역에서 작전 중이던 제12 전격군단의 그리스도인 병사들에 대한 것이 최초이다. 그리스도인 병사는 군인 개종자의 형태로 존재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수효가 대단히 적었으며 또 일반사회와 격리된 군대 생활의 특수상황이 참작되어 “군인 문제”는 교회에 심각히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170년 이후부터는 이교도들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포교가 신속히 진척됨에 따라 교회에 군인 문제도 함께 등장하게 되었다. 180년경에는 이교도 측에서 켈수스(Celsus)에 의해, 그리고 3세기 초에는 그리스도교 측에서 테르툴리아누스에 의해 그리스도인 군복무 문제가 심각히 제기되었다. 켈수스는 그리스도인들의 군복무 기피 경향에 대해 충격을 나타내고 있으며 테르툴리아누스는 일부 개종한 병사들이 여전히 군복무를 계속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충격을 나타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구성은 군복무 중에 개종한 사람들 외에도 그리스도인으로서 군에 징집된 사람들과, 심지어는 자원 입대한 그리스도인들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142.4)
 이같은 경향은 260년 갈리에누스(Gallienus) 황제에 의해 그리스도교에 대한 관용령이 선포된 이후 더욱 진척되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군대에서 그리스도인들을 숙청하기 위한 칙령을 반포할 때쯤에 이르러서는 “상당한” 수의 그리스도인 병사들이 로마 군대에서 복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 시기에 로마 군대 내에 정확히 얼마나 “많은” 그리스도인 병사들이 복무하고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증거는 없다.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묘비가 있지만 현재 콘스탄티누스 시대 이전의 것으로 확인된 것은 11개에 불과하여 초기 그리스도교 사회가 군직을 묵시적으로 용인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 이상의 통계적 의미는 크지 않다. (143.1)
 유세비우스는 제12 전격군단(Legio XII Fulminata)의 “폭우” 사건을 보도할 때 마치 전체 군단병력이 그리스도인들로 구성되어 있는 듯이 이야기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 호교론적 의의와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존재에 대한 확인 이상의 통계적 의미가 크지 않는 것이다. (143.2)
 그러면 군복무 중에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로마병사의 형태로 존재하기 시작한 그리스도인 병사들은 군복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였는가? 개종한 그리스도교 병사들 중 일부가 가능한 한 군대를 떠났다는 증거와 또 상당수는 그대로 군복무를 계속했다는 증거를 우리는 가지고 있다. (144.1)
 실제적으로 로마 병사가 군대를 떠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복무 연한은 16년에서 25년에 걸치고 있었으며 군대를 떠나는 일은 탈영으로 간주되어 사형으로 처벌되었다. 의병제대를 기도한 자해행위도 엄중한 처벌로 금지되어 있었다. 한편 교회는 일반 시민 사회와 크게 격리된 군대 내의 그리스도인 병사들에게 교회의 엄격한 규정을 적용시키려 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그리스도인 병사들은 군복무와 신앙을 조화시키는 타협의 길을 강구했다. 이러한 노력은 군복무 기능이 전투행위 이외에 소방수, 경찰, 우편업무, 파수, 건설 등 평화적인 업무로 다양하게 나누어져 있던 점에서 도움을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144.2)
 우상숭배와 충돌하는 문제는 상관의 묵인 하에 우상 숭배의 의식에 불참하거나 또는 참석했어도 의식이 시작될 때 대열에서 은밀하게 십자가의 성호를 긋는 것으로 해결했다. 십자가의 성호 긋기는 로마 군대의 종교적 규칙과 그리스도인 병사의 종교적 양심이 서로 타협하는 중요한 접점이었다. 이 접점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부제(副帝)인 갈레리우스에 의하여 시작된 그리스도인 병사들에 대한 박해가 실시되면서 파괴되었다. 로마 군대 당국은 황제의 칙령에 의해 더 이상 이러한 타협을 용인할 수 없었다. 이로써 그리스도인 병사들 편에서도 종전의 타협적인 신앙생활을 더 이상 추구할 수 없게 되었다. (144.3)
 이 문제와 관련한 그리스도교 병사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사순교열전 자료와 로마 군대종교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145.1)
 참고
 1. A. V. Harnack, Militia Christi, 47f. Harnack은 동일한 주제를 Die Mission Und Ausbreitung des (Chistentums in den ersten drei Jahr hunderten, II (Leipzig, 1924), 571-584에서 다루었다.

 2. Edward A. Ryan, “The Rejection of Military Service by the Early Christians,” Theological Stydies 13 (1952), 11.

 3. Ibid., 10. 뿐만 아니라 로마군대 당국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강제 징병을 하지 않았다. 로마군대의 복무조건에 대해서는 K. J. Neuman의 Der romische staat und die allgemeine Kirche bis auf Diccletian, Vol. 1 (Leipzig, 1890), 5f. 127f, 24; Andreas Bigelmair, Die Beteiligung der Christin am offentlichen leben in Vorconstantinscher zeit (Munich, 1902), 25, 175-179; Harnack, 48f등을 참고 할 수 있다. 기원 1세기의 강제징병에 대한 암시는 Tacitus, Annales, iv. 4. 46 (트라키안인 일부가 징병에 저항했다는 진술); xiii. 7. 35; xiv. 18; xvi. 13; Historie, i. 65; ii. 11, 16, 57, 69, 82, 93f, 97; iii. 5, 50, 58; iv. 14; Suetonius, Aug., xxiv. I (아들의 징병을 면하기 위해 아들의 엄지손가락을 절단한 한 남자를 처벌한 이야기); Tib., viii; (노예 감옥으로 피신하여 징집을 기피한 한 이탈리아인에 관한 언급), Nero., xix. 2; Galba., x. 2; Vitell., xv. 1 등인데 이 대부분의 사례는 기원 68-70의 혼란기에 발생한 것이다.

 4. Origenes, Contra Celsum, VIII. 68-69.

 5. A. V. Harnack, The Mission and Expansion, vol. 11, 52.

 6. Ibid., 53, n.1; Militia Christi, 545.

 7. Ryan, 11.

 8. Tertullianus, Corona milities, xi.

 9. H. M. D. Palmer, The Roman Legion (Oxford, 1928), 23.

 10. Tertullianus, Corona militis, 11; Harnack, Militia Christi, 51.

 11. H. M. D. Parker and G. R. Carson, “Auxiliar,”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d ed., 155.

 12. Ryan, 11.

 13. Harnack, Militia Christi, 51.

 14. Ibid., 51.

 15. Tertullianus, Apologeticum, 37. 4; “Nos vobiscum militamus,” “castra ipsa implevimus.”

 16. Gezler, Serxtus Julius Africanus Und die byzantinische Chronographie (Leipzig, 1880, 1885), vol. 1, 8; Harnack, Die Chronologie der Altchristlichen Litterature bis Eusebius (Leipzig, 1897, 1904), 89.

 17. Harnack, Millitia Christi, 73.

 18. Clement, Protrepticus (προτρεπτίκος). X. 100. 핵심은 인용문의 끝 부분 즉, “군복무중에 지식이 그대에게 임했는가? 그렇다면 의로운 명령을 내리시는 사령관의 말을 청종하라”(στρατευόμενον σε κατειληφεν ή γνωσις. τού δικαια σημαἰνοντος ἄκουε στρατηγού)이다.

 19. Clement, Paedagogus, II. xii. 117.

 20. Ibid., III. 91.

 21. Eusebius, HE, VI. iii. 13.

 22. Tertullianus, Apologeticum. “Hesterni sumus et Vestra omnia implevimus, urbes, insulas, castella, municipia, concilabula, castra ipsa”

 23. Ibid., 42 (i. 273f). “Navigamus et nos vobiscum et militamus”

 24. Tertullianus, Apologeticum, 5; Scapulam, 4.

 25. Tertullianus, Idololatria, 19.

 26. Tertullianus, Corona militis, 1.

 27. Harmack, Mission and Exapansion, Vol. II, 53.

 28. Ibid., 53.

 29. Cyprianus, Epistolae, 39 (33).

 30. Harnack, Militia Christi, 76.

 31. Eusebius, VI. 41. 22f.

 32. Ryan, 12.

 33. Origenes, Contra Celsum, VIII. 685.

 34. Ryan, 15.

 35. Gero, “Miles Gloriosus: The Christian and Military Service According to Tertullian,” Church History, 29 (1970), 289f.

 36. 전장 “교부들의 전쟁 및 군대. 군복무관”의 제 10 절 부분을 참고하라.

 37. Ryan, 17.

 38. Harnack, Mission and Expansion, 54.

 39. Cf. Cambridge Ancient History, XIII, 658.

 40. Eusebius,VII. 13.

 41. Ibid., VII. xv; viii. i;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x; Hippolytus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마귀에 대한 방비책으로서 그들의 이마에 “sign of passion”을 긋도록 권고하였다. 이 Sign은 십자가를 뜻하는 것 같다. Hippolytus, The Apolstolic Tradition, iii. 38. 1.

 42. Herbert Musurillo, The Acts of the Christian Martyrs (Oxford, 1972), 247.

 43. Eusebius, VIII. App x. I.

 44. Lactantius, X.

 45. Eusebius, VIII. iv; Cf. Lactantius. X.

 46. Ibid., VIII. 4.

 47. Ryan, 27.

 48. Eusebius, X. viii; Vita Constantini, i. 54.

 49. Cadoux, The Early Church and The World, 578.

 50. 전장 “교부들의 전쟁 및 군대. 군복무관” 중 (9) 유세비우스 항을 참고하라.

 51. Eusebius, IX. x. 3.

 52. Harnack, Militia Christi, 91.

 53. Lactantius, xlvi. Cf. Harnack, 89f. HE, V. iv, 3-v, 7. “αλλὰ τὰ μἐν ἔπʾ Αντωνίνου τοιαυτα. 5,

 1. Τούτου δή ἀδελφὸν Μαρκον Αὐρήλιον Κἀισαρα λόγος ἔχει ἐρμανοίς καὶ Σαρμάταις ἀντιπαραταττόμενον μάχῃ δίψει πιεζομένης αὐτού τής στρατιάς, ἐν ἀμηχανία γενέσθαι τοὺς δʼ ἐπὶ τής Μελιτηνής οὕτω Καλουμένης λεγεώνος στρατιώτας δὶα πἰστεως ἐξ ἐκείνου καὶ εἰς δεύρο συνεστώσης ἐν τῇ πρὸς τοὺς πολεμίους παρατἀξει γόνυ θέντας ἐπὶ γήν κατὰ τὸ οἰκείον ἡμίν τών εὐχών ἔθος ἐπὶ τὰς πρὸς τὸν θεὸνικεσιας τραπέσθαι.

 2. παραδόξου δἑ τοίς πολεμίοις τού τοιούτου δὴ θεάματος φανέντος, ἄλλο τὶ λόγος ἔχει παραδοξότερον ἐπι καταλαβείν αὐτίκα, σκηπτὸν μἑν ἐις φυγὴν καὶ ἀπώλειαν συνελαύνοντα τοὺς πολεμίους. ὄμβρον δἑ ἐπὶ τὴν τών τὸ θείον παρακεκληκότων στρατιάν, πάσαν ἀυτὴν ἐκ τού δίψους μέλλουσαν ὅσον οὐπω διαφθείρεσθαι ἀνακώμενον.

 3. ʻΗ δʼ ἰστορία φέρεται μἑν καὶ παρὰ τοίς πόρρω τού καθ ʼ ἡμάς λόγου συγγραφεύσιν οἷς μέλον γέγονεν τής κατὰ τοὺς δηλουμένους γραφής, δεδήλωται δἑ καὶ πρὸς τών ἡμετέρων. ἄλλα τοίς μὲν ἔξωθεν ἱστορικοίς, ἅτε τής πίςτεως ἀνοικείοις, τέθειται μἑν τὸ παράδοδοξον, οὐ μὴν κὰι ταὶς τών ἡμετέσων εὐχαίς τού ὡμολογήθη γεγονέναι τοίς δἑ γἑ ἡμετέροις,

 ἅτε ἀληθείας φίλοις, ἀπλῷ καὶ ἀκακοήθει τρόπῳ τὸ πραχθἑν παραδέδοται.

 4. τοὐτων δ ʼ ἄν εἴη καὶ ʼΑπολινἀριος, ἐξ ἐκείνου φἠσας τὴν δἰ εὐχής τὸ παράδοξον πεποιηυίαν λεγεώνα οἰκείαν τῷ γεγονότι πρὸς τού βασιλ1ως εἰληφέναι προσηγορίαν, κεραυνοβόλον τῇ Ρωμαίων ἐπικληθείσαν φωνῇ.

 5. Μάρτυ δἑ τούτων γένοιτ ἄν ἄξιόχρεως ὁ τερτυλλιανός, τὴν Ρωμαίκην τῇ συγκλἠτῳ προσφωνἠσας ὑπἑρ τής πἰστεως ἀπολογίαν, ἦς καὶ πρόσθεν ἐμνημονεύσαμεν, τὴν τε ὶστοριαν βεβαιών σὺν ἀποδείξει μείζονι καὶ ἐναργεστέρᾁ.

 6. γράφει δ΄ οὗν καὶ αὐτός, λέγων Μάρκου τού συνετωτάτου βασιλέως ἐπιστολὰς εἰς ἔτι νύν φέρεσθαι ἐν αἶς αὐτὸς μαρτυρεί ἐν

 ερμανίᾳ ὕδατος ἀπορίᾳ μέλλοντα αὐτού τὸν στρατὸν διαφθεὶρεσθαι ταίς τών Χριστιανών εὐχαίς σεσώσθαι, τούτον δἐ φησιν καὶ θάνατον ἀπειλήσαι τοίς κατηγορείν ἡμών ἐπιχειρούσιν οἷς ὁ δηλωθεὶς ἀνὴρ καὶ ταύτα προσεπιλέγει.

 7. ποταποὶ οὖν οὶ νόμοι οὗτοι, οὗς καθ΄ ἡμών μόνων ἕπονται ἀσεβείς ἄδικοι ὠμοἰ; οὗς οὔτε Οὐεσπασιανὸς ἐφύλαξεν, καἰ τοι γε ʼΙουδαἰους νικήσας, οὕς Τραίανος ἐκ μέρους ἐξουθένησεν, κωλύων ἐκζητείσθαι Χριστιανούς, οὓς οὔτε ʿΑδριανός, κάιτοι γε πάντα τὰ περίεργα πολυπραγμονών, οὔτε ὁ Εὐσεβής ἐπικληθεὶς ἐπεκύρωσεν. ἀλλὰ τάυτα μἑν ὅπη τὶς ἐθέλοι, τιθέσθω μετιωμεν δ΄ ἡμείς ἐπι τὴν τών ἑξής ἀκολουθἰαν”

 54. 로마측 자료로는 (a) The Pillar of Marcus (마르크스의 원주: Giovann Becatti, Colonna di Marco Aurelio [Milan, 1957], plates 9, 10, 11, 12. ) (b) Dio cassius (LXXX II, 8. 1-10. 5). (c) Capitolinus (Life of M. Anto Philosophus, xxiv. 4 in Hist. Aug., ed., Peter, i. 688) 등이 있다.

 55. Dio Cassius, Lxxii, 8. 1-10. 5.

 56. Feriale Duranum festival of 20 September; Corpus Inscriptionum Latinorum (이후 CIL로 약칭함), 14-40

 57. Giovanni Becatti, Colonna di Marco Aurelio (Milan: Editoriale Domus, 1957), Plates 9, 10, 11, 12.

 58. Litterling, “Legio,” Real-Encyclopadie der Klassischen Altertums Wissen- chaft, ed. Pauly-Wissowa (이후 RE로 약칭한다. Stuttgart: J. B. Metzler, 1925), 12:1705-1710.

 59. John Helgeland, “Roman Army Religion,”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II. 16. 2, ed. W. Hasse (Berlin-New York, 1978), 1475-1476.

 60. John Helgeland, R. J. Daly and J. Patout Burns, Christians and the Military (Philadelphia, 1984), 33.

 61. Ibid., 33.

 62. A. V. Harnack, “Die Quelle der Berichte über das Regenwunder im Feldzuge Marc-Aurels gegen die Quanden,” Sitzungsberichte der Königlich Preussischen Ac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XXXVI, 2 (1894), 835-882, 865.

 63. Marcus Aurelius, Meditations, III. 16.

 64. Eusebius, V. v. 3f에서 인용되고 있다.

 65. E. Renan, Marc-Aurēle et la Fin du Monde Antique, 6th. ed. (Paris, 1891), 275.

 66. E. Ritterling, “Legio,” RE, 12. 1186-1829; CIL, 3. 504, 507, 509, 609; 5. 9. 435.

 67. “Illam Germanicam sitim Christianorum forte militum precationibus imperato imbri discussam”

 68. “Christianorum militum orationibus ad Deum factis”

 69. A. V. Harnack, “Die Qulle der Breichte über das Regenwunder in Feldzuge Marc-Aurels gegen die Quaden,” 842.

 70. F. Van der Meer and Christine Mohrmann, Atlas of the Early Christian World, trans. and ed. Mary and H. H. Rowly (London, 1958), Plate 5.

 71. Origenes, Celsus, viii. 73. 68.

 72. Paris, Bibliotheque nationale, Mss. Parisini lat. 16929-16935.

 73. E. Le Blant, Manuel d'Epigraphie Chretienne d'apres les Marbres de la Gaule (Paris, 1869), 15-16. 그는 이교도 묘비들에서는 군인들의 묘비가 차지하는 비율의 5.42%에 달하는데 비해 그리스도인 묘비들에서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묘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겨우 0.55%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74. H. Leclerq, “Militarisme,” Dictonnaire d'archeologie Chretienne et de liturgie, edited by Fermand Cabrol and Henri leclercq, XI (1932), 1108-1182. 그리스도인 병사들의 묘비에 대한 연구를 크게 진척시킨 조사보고로는 Ernestus Diehl, Inscriptiones Latinae Christianae Veteres (Berlin, 1925-1931), no. 483-569; L'annee epigraphique, (이후 AE로 표기함) 1936, 49; 1937, no. 144; 1938, no. 138; 1939, no. 171; 1946, no. 43, 246; 1950, no. 257 등이 있다.

 75. John Helgeland, “Christians and the Roman Army from Marcus Aurelius to Constantine,”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omischen Welt (이후 ANRW로 표기한다) 23. 1 (New York, 1979), 791.

 76. R. H. Bainton, “The Early Church and War,” 193-194.

 77. Jean-Michel Hornus, It is Not Lawful For Me to Fight: Early Christian Attitudes Toward War, Violence, and the State, Revised Edition (Ontario, 1980), 121.

 78. R. H. Bainton,193. (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