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많은 표적을 저희 앞에서 행하셨으나 저를 믿지 아니하니 이는 선지자 이사야의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 가로되 주여 우리에게 들은 바를 누가 믿었으며 주의 팔이 뉘게 나타났나이까 하였더라(요 12:37-38 강조 첨가, 사 53:1 비교)
(82.2)
 고대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종의 오심에 관한 이사야의 예언적 기별(사 53장)을 불신했다. 그러나 예수 당시 유대인들은 더 깊은 의미에서 불신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목전에서 이사야의 예언의 성취를 보고 있으면서도 아직도 그를 믿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요한은 이사야 6:9-10을 의지하여 유대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배척하는 것의 신학적 의미를 분명히 한다. 그는 그렇게 하기 위해 그 본문을 히브리어 본문이나 칠십인역 본문과도 일치하지 않는 문학적 형태로 인용한다. 요한은 예수를 원래 이사야가 여호와로부터 명함을 받은 바를 실제로 하는 이로 소개한다. 이사야에 따르면, 하나님은 그에게 예루살렘을 향해 다음과 같이 말하라고 명한다. (82.3)
너희가 듣기는 들어도 깨닫지 못할 것이요 보기는 보아도 알지 못하리라 하여 이 백성의 마음으로 둔하게 하며 그 귀가 막히고 눈이 감기게 하라(사 6:9-10).
(82.4)
 그러나 요한은 이사야의 말을 다음과 같이 인용하였다. “저희 눈을 멀게 하시고 저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셨으니 이는 저희로 하여금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깨닫고 돌이켜 내게 고침을 받지 못하게 하려함이니라”(요 12:40 강조첨가). 그러므로 요한은 이사야 선지자에게 주신 하나님의 소명을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이미 성취된 과업으로 전환하였다. 여기에 다가 그는 다음과 같이 의미심장한 말을 덧붙였다. “이사야가 이렇게 말한 것은 주의 영광을 보고 주를 가리켜 말한 것이라”(요 12:41).. (82.5)
 이 말은 이사야가—하늘 성소에서의 여호와의 두려운 거룩함과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한 이사야의 선지자직 봉사로의 소명에 대한 이상에서(사 6:1-8)—실제로 성육신하기 이전의 영광중에 계시는 그리스도의 영광—을 목격하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말하였음을 인상적으로 선언하는 것이다. 요한은 여호와의 영광과 이사야의 선지자적 사명이 예수의 인격에서 하나가 됨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요 1:14; 17:45 비교).29 이러한 놀라운 방식으로, 사도 요한은 이사야의 선지자적 사명과 이어진 눈먼 이스라엘에 대한 더 충만한 의미를 펼쳐 나간다. (83.1)
 심지어 예수는 BC 8세기의 예루살렘 경배자들의 위선에 대한 이사야의 묘사를 그 자신의 시대에 있는 바리새인들과 랍비들의 위선에 대한 ∙∙∙ 예언으로 읽었다. (83.2)
외식하는 자들아 이사야가 너희에게 대하여 잘 예언하였도다 일렀으되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존경하되 마음은 내게서 멀도다 사람의 계명으로 교훈을 삼아 가르치니 나를 헛되이 경배하는도다 하였느니라 하시고(마 15:7-9, 강조 첨가 사 29:13과 비교).
(84.1)
 맛소라 본문과 칠십인 역의 이사야 6:9-10요한복음 12:40을 문학적으로 비교해 보면 요한이 그 본문을 인용할 때 구약의 글자에 세심하게 얽매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히브리 본문의 원래 의미를 보존하면서, 요한은 기독론적인 의미를 좀 더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30 그 원문 혹은 헬라어 역본을 자유롭게 수정하고 있다. 요한이나 다른 신약 기자들31에게 원문의 기독론적 의미는 구약에 대한 그들의 기독교적 이해를 위해 가장 중요하였다. 헨리 샤이어즈(Henry M. Shires)는 그의 요한복음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복음 전도자들은 주로 예수께서 이스라엘의 메시아라는 신학적 확신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구약을 자기 견해를 효과적으로 공식화하는 데 사용하는 자료로 보았다. 그리스도인들에게 구약의 의미는 예언적인 것이다.32 (84.2)
 요약하면, 신약은 구약에 대하여 다양한 그리스도 중심적 접근을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문자주의 해석보다 신학적으로 더 풍부하고 포괄적이다. 구약의 메시아 예언에 대한 신약의 해석에 대한 몇 가지 예들은 계속되는 하나님의 구원역사의 더 큰 틀 내에서 약속과 성취의 몇 가지 흥미있는 패턴을 드러낸다. (85.1)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전제에 기초하여 신약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구약의 몇몇 직접적인 메시아 예언들을 인정한다. 그러나 신약은 좀 더 자주 표상학적 성취를 통하여 그리스도 안에서의 더 충만한 의미(seristus plenior)를 확증하는 간접적인 메시아 예언을 인정하고 있다. 이것들은 특히 왕들의 시에서 고난과 승귀의 패턴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신약은 표상학적 상관성에 의하여 구약에 나타난 이스라엘 경험의 비예언적 역사적 구절을 메시아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창안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신약은 그리스도 생애의 사건들-그의 베들레헴 탄생, 굴욕적인 죽음, 또한 그의 부활과 하나님 보좌 우편에 오르심—이 예견되지 않은 우연한 사건들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 것들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부르시고 형성하면서 미리 정하시고 계획하신 목적이었다. 직접적인 메시아 예언들은 비그리스도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데, 확실한 변증적 유용성이 있다. 그러나 표상학적 예언들과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의 약속과 성취의 패턴은 예수께서 이스라엘 예언의 메시아임을 이미 믿는 그리스도인들에게만 유효하고 설득력이 있게 받아들여질 것이다. (85.2)
 그리스도에 대한 이런 신앙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 삶과 죽은 자가 운데서의 부활하신 객관적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다. 그와 같은 믿음은 구약 전체에서 그리스도를 볼 수 있도록 눈을 열어 준다.33 그 결과 메시아 예언은 더 이상 특별한 예언적 예언들이나 성경의 일부분에만 고립되고 제한된 것이 아니다(요 5:39, 46; 눅 24:27, 4447). 그리스도를 이스라엘의 체현과 인류의 대표로 보는 이런 견해는 예수 자신 덕분에 온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구약 전체를 표상학적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구약은 심지어 그 예언들과 예시들이 문자적으로 성취된다고 하더라도 결코 소진하거나 진부한 것이 되지 아니한다. “신약 기자들이 지식과 영적 이해를 가지고 자기들이 하고 있는 바를 온전히 이해하면서 성경을 사용하였다는 확신이 커진다. 그들에게 전체로서의 구약과 그 각 부분들이 모두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것이었다.”34 그리스도의 영을 통하여, 신자는 신구약의 영적 통일성을 확증하는 새로운 진리의 맥을 성경에서 발견하는 기쁨으로 흥분하게 된다. 그에게는 구약이 신약과 마찬가지로 기독교 서적이 된다. 왜냐하면 “구약 전체가 마치 하나의 위대한 화살처럼 신약이 기록하고 있는 그 성취를 가리키기 때문이다.”35 (86.1)
 참고 문헌
 1 참고하라. W. C. Kaiser, Jr., “Messianic Prophecies in the Old Testament,” in Handbook of Biblical Prophecy, ed. C. E. Amerding and W. W. Gasque(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8), 84. 또한 그의 책 Tourrd an Old Testarnnerat Theology, 141. 비교하라. SDABC, vol. 1, 1017-19(신 18:15에 대하여).

 2 참고하라. Kaiser, Toard an Old Testainment Theology, 149-157(삼하 7장에 대하 여): 159-166(왕들의 시에 대하여); 208-210(사 7:14에 대하여). 이사야 7:14에 관하여 는 다음을 참조하라. Problems inn Bible Translation, ed. A Committee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54), 151-169.

 3 Kittemaker, The Psalm Citations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145-146.

 4 W. J. Beecher, The Prophets and the Promise(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5; 1905 재판), 129-131.

 5 Paul Peters, quoted in W. J. Hassold, “Rectilinear or 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Messianic Prophecy,” Concordia 38(1967): 155-167(155). 이 논문은 직접적이고 표상적인 메시아적 예언에 대한 루터교 내의 논쟁을 제공하는 유익한 보고서이다.

 6 Kaiser, “Messianic Prophecies in the Old Testament,” in Handbook of Biblical Prophecy, 77.

 7 See France, Jesus and the Old Testament, 43-49.

 8 K J. Woollcombe(Essays on Typology, ed. Lampe and Woollcombe [Napierville, M.: A. R. Allenson, 1957], 43-44)는 구약의 종말론적 예언들, 예컨대 솔 로몬 성전과 이스라엘 성막을 본 에스겔의 성전 환상, 속에서 굳어진 재현의 개념을 발견하였다.

 9 R. T. France, “In All the Scriptures’—A Study of Jesus’ Typology,” TSF Bulletirn(1970), 14.

 10 France, Jesus and the Old Testament, 50-53. B. Gerhardsson, The Testing of God’s Son(Lund: CWK Gleerup, 1966), 14장(특히, 19-35쪽).

 11 Dodd,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29. HD25127. H. Wheeler Robinson, Corporate Personality in Ancient Israel(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7).

 12 Dodd, According to the_Scriptures. 그의 책 The Old Testatment in the New도 참조하라, H. M. Shires, Finding the Old Testurrent in the News(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4); Bruce, New Testament Development of Old Testament Themes.

 13 France, Jesus and the Old Testament, 54. mimi 27 Dodd,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30; C Westermann, The Old Testament and Jesus Christ, tr. Omar Kaste(Minneapolis: Augsburg Publ., 1971).

 14 H. E. Todt, The Son of Man in the Synoptic Tradition, tr. Dorothea M. Barton(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85.

 15 M Black. “The Christological Use of the OT in the NT,” NTS 18(1972): 1-14(6).

 16 J. W. Doeve, Jewish Hermeneutics in the Synoptic Gospels and Acts(Assen: Van Corcum, 1954), 149.

 17 France, Jesus and the Old Testament, 55.

 18 Dodd, According to the Scriptures, 103. Cf. also France, Jesus and the Old Testament, 55.

 19 Kraus, Psalinen, 482(시편 69:7에 대해).

 20 Kraus, Psalmen, 485.

 21 Black, “The Christological Use of the or in the NT,” 12-13.

 22 Mowinckel, He That Cometh, 12.

 23 France, Jesus and the Old Testarnment, 59.

 24 C. F. D. Moule, “Fulfillment-Words in the New Testament: Use and Abuse,” NTS 14(1968): 299-320, 특별히 298-302..

 25 더 자세한 연구를 위해 다음을 참조하라. D. A. Hagner,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90-104. J. C. K Von Hofmann, Interpreting the Bible(Minneapolis: Augsburg Publ., 1972), 169-204.

 26 D. A. Hagner, in Handbook of Biblical Prophecy, ed. C. E. Amerding and W. W. Gasque(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8), 91. W. S. LaSor, “Interpretation of Prophecy,” in Herneneutics, ed. B. Ramm, et al.(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1), 106-108. 가톨릭 신학자 R. E. Brown, The Sensius Plerior of Sacred Scriphure(Baltimore: St. Mary’s University, 1955), 92.

 27 Hagner, in Handbook of Biblical Prophecy, 93; LaSor, “Interpretation of Prophecy,” in Hermeneutics, 116.

 28 LaSor, “Interpretation of Prophecy,” in Hermeneutics, 108.

 29 Von Hofmann, Interpreting the Bible, 202-204.

 30 참조하라. Old Testament Quotations in the New Testament, ed R. G. Bratcher(London: United Bible Societies, 1967), 24. 요나단의 탈굼에서 발견되는 번역에 따른 마 가복음 4:12에 인용된 이사야 6:9-10을 위해서는 다음을 참조하라. Hagner,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in Interpreting the Word of God, 87-88. DJERS 13:14-15의 인용은 이사야 6:9-10과 일치한다.

 31 원 본문에서 자유롭게 인용한 또 다른 예가 하박국 2-34을 인용한 히브리서 10:37-38이다. 다음을 참고하라. T. W. Manson, “The Argument From Prophecy,” JTS 46 (1945):129-136.

 32 Shires, Finding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60.

 33 Westermann, The Old Testament and Jesus Christ. J. A. Borland, Christ in the Old Testament: A Comprehensive Study of OT Appearance of Christ in Human Forn(Chicago: Moody Press, 1978); Wenham, Christ and the Bible.

 34 Wenham. Chirist and the Bible, 108.

 35 Hagner,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in Interpreting the Word of God, 103. w1 277727. H. L. Ellison, The Centrality of the Messianic Idea for the Old Testantrent(Leicester: Theological Students Fellowship, 1977), 6: “단지 증거 구절들 모음 뿐만이 아니라 구약 전체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