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적으로 말해서 오리게네스는 그리스도교의 평화주의에 입각하여 전쟁과 군복무를 반대하였다. 그렇다고 하여 현실 국가의 존재와 또 그 유지를 위해 군사력을 보유해야 할 필요성과 전쟁의 불가피성을 부인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평화주의적 윤리의 포기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도 지체되고 있는 이 세상 나라의 본성 속에 내포된 윤리적 제한성을 상대적으로 용인한 것 이상의 것이 아니다. (78.2)
 이렇게 해서 그의 이중윤리의 개념이 가능하였는데 이것이 나중에는 그리스도교 대중의 세속화에 병행하여 이중윤리의 적용이 교회 내부로 이동되었다. 즉 처음에는 그리스도인과 의로운 이교도를 구분했던 개념이 나중에는 교회 내부의 참다운 그리스도인과 세속적인 그리스도인을 구분하는 윤리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처음으로 오리게네스에 의하여 그리스도교의 평화주의적 특성이 로마 사제직의 성결개념과 결합되었다. 이로써 그리스도교회의 영적 병사개념에 현실적 구체성이 부여되었을 뿐 아니라 유혈과 우상숭배가 하나로 묶여진 반대 가치로 그리스도인 앞에 나타나게 되었다. (78.3)
 그러나 켈수스가 제기한 정치적 질문이 오리게네스에 의해 모두 만족스럽게 해답이 되었느냐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79.1)
 참고
 1. Origenes에 의하면 켈수스는플라톤 思想을 겸비한 Epicurean이었으며 Lucian의 친구였다.

 2. Harnack, Mission and Expansion of Christianity in the First Three Century (New York: Harper a Brothers, 1962), 1:501f.

 3. R. M. Grant는 그리스도 왕국의 도래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열열한 기대가 켈수스에게 모반의 두려움을 안겨 주었을 것이라 하였다(From Augustus to Constantine [New York, 1970], 93).

 4. 모반의 혐의는 로마 제국에서 결코 가볍게 취급될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로마의 관리들은 불만집단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결사의 허용을 철저히 경계하고 있었다. 한 예로서 Trajanus 황제는 110년경 Bithynia의 지사로 있던 연소 Plinius에게 보낸 서한에서 Nicomedia에 소방대를 조직하는 것을 현명치 않다고 충고하였다. 이 조직의 목적이 무었이었던지간에 이 집단이 정치적 결사로 발전할 위험성은 상존했던 것이다(Plinius, Epistles, X. 39).

 5. Origenes, Contra Celsum, 111. 7.

 6. Ibid., V. 33. “ὅτι ἤλθομεν” κατὰ τὰς Ἰησου ὑποθήκας συϒκόψαι τὰς πολεμικὰς ἡμών λοϒικὰς “μακαιρας” καί ὑβριστικὰς “εις ἀρότρα” καὶ τας κατἁ τὁ προτερον ημών μάχιμον “ζιβυνας εἰς δρἐπανά” μετασκευάζομεν. οὐκετι ϒὰρ λαμβάνομεν “ἐπʹἕθνος μάχαιρον” ὀυδὲ μανθάνομεν “ἔτι πολεμείν.” ϒενόμενοι δια τὸν Ἰησούν υἵοί τής εἰρήνης, ὅς “ʾστιν ἡμών ἀρχηϒὸς”

 7. Ibid., VII. 26. cf. ANF, Vol. iv, 62.

 8. Ibid., II. 30.

 9. Ulfilas는 4세기 후반에 호전적인 고트족을 위해 성경을 번역할 때 구약의 열왕기가 호전적 기사로 가득차 있다고 하여 이를 번역에서 제외시켰다. cf. Pilostorgius, History of Ecclesia. ii. 5.

 10. Cels., VIII. 34. “Ούχ ἀναιρούμεν” οὖν καί ἡμεὶς το πολλοὺς εἷναι δαίμονας ἐπι ϒής ἀλλά φαμεν εἷναι μὲν αὺτοὺς καί δύνασθαι ἐν τοις φαύλοις διὰ τήν ἐκείνων κακίαν. μηδὲν δὲ δύνασθαι πρὸς τοὺς ἐνδυαμένους, τήν πανοπλίαν τού θεού “και άναλαβόντας ἰσχυν” πρὸς το ἀντιστήναι“ πρὸς τὰς μεθοδείας τού διαβόλου καὶ μελετών τας ἀεὶ τὰ ἐκείνων

 παλαίσματα τῷ ἐϒνωκεναί ὃτι οὐκ ἔστιν ἡμίν ἡ πἀλη πρὁς αἷμα καὶ σάρκα ἀλλα πρὸς τας ἀρχάς, πρὸς τὰς ἐξουσιας, προς τους κοσμοκράτορας τού οκότους τούτου, πρὸς τα πνευματικὰ τής πονηριας ἐν τοίς ἐπ ουρανιοίς.”
cf. ANF, Vol. IV, 374.

 11. De Principiis, III. ii. 5; IV. i. 14; Cels., vii. 21f; Homilies on Joshua, XV. I.

 12. Harnack, Militia Christi, 28.

 13. Cels., IV. 9; Commentary in John 10. 23. 133-7; Commentary in Matthew 12. 12; 16. 21; 17. 24; Homily in Jeremian 4. 3. cf. Robert. B., Eno, S. S. “Holiness and separation in the Early centuris,”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Vol. 30 (Edinburg, 1977), 523-542.

 14. Cels., VIII. 68. “εἰ ϒὰρ τὸ αὐτό σοι ποιήσειαν ἄπαντες, ούδὲν κωλύσει τὸν μὲν καταλειφθήναι μόνον καί ἔρημον, τα δ΄ἐπί ϒής ἐπὶ τοίς ανομωτάτοις τε καί αϒριωτάτοις βάρβαροις ϒενέσθαι, και μήτε τής σής θρησκείας μήτε τής ἀληινής σοφίας ἐν ἀνθρώποις ἔτι καταλείπεσθαι κλέος.”

 15. Ibid., VIII. 55.

 16. H. Von Campenhausen, “Military Service in the Early Church,” Tradition and life in the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1960), 163.

 17. Cels., VIII. 73. “Και ὀυ συστρατευόμεθα μεν ἀυτῷ, κἄν ἐπείϒη”

 18. Ibid., VIII. 68. cf. ANF, vol. v1. 666.

 19. Catholic계 논자들이 대체로 이러한 주장을 펴고있고 가장 최근에 이같은 주장을 편 논문으로는 John Helgeland, “Christians and the Roman Army A.D. 173-337,” Church History, vol. 43. no. 2 (1974), 149-163이 있다.

 20. Origenes, VIII. 70.

 21. Origenes, Ibid., VIII. 73. “Είτα δὲ και ταύτʹεἴποιμεν ἄν πρὸς τοὺς ἀλλοτρἰους τής πἰστεως κὰι ἀξ τούντας ἡμάς στρατύεσθαι ὑπὲρ τού κοινού και ἀνθρώπους ἀναιρείν ὃτι και οἱ καθ̓ ὑμάς ἱερείς ἀϒαλμάτων τινών και νεωκόροι ὦν νομίζετε θεών τηρούσιν ἑαυτών ἀμίαντον τήν δεξιάν διά τὰς θυσίας ἳν΄ ἀναιμάκτοις χερσὶ καὶ καθαραίς ἀπό φόνων προσάϒωσι τὰς νενομίσμένας θνσίας οἷς φατε θεοίς καὶ οὐ δή που πολέμου καταλαβόντος και τοὺς ερείς στρατεύετε. Ει οὖν τού εὐλόϒως ϒινεται, πόσω μάλλον ἄλλων στρατευομένων και οὗτοι στρατεύονται ώς ἱερείς του θεού καὶ θεραπευτάι, καθαρὰς μὲν τηρούντες τὰς δεξιὰς ἀϒωνιζόμενοι δὲ διὰ τών πρὸς θεὸν εὐχών ὑπὲρ τών δικαίως στρατέυομένων καὶ ὑπὲρ τού δικαίως βασιλέυοντος, ἵνα τὰ ἐναντία πάντα καὶ ἐχθρὰ τοίς δικαίως πράττουσι καθαιρεθή; κὰι ού συστρατευόμεθα μὲν αὐτῷ

 22. Harnack, 72.

 23. Cels., VIII. 74.

 24. Ibid., VIII. 73.

 25. Ibid., VIII. 7; VIII. 26.

 26. Ibid., II. 30.

 27. Ibid., IV. 82.

 28. H. Karpp, “Die stellung der Alten kirche zu kriegsdienst und krieg,” Evangelische Theologie, 23 (1957), 500.

 29. E. A. Ryan, “The rejection of military service by the early christians,” Theological Studies 13 (1952), 22; J. Moffat. “War,” Hasting's Dictionary of the Apostolic Church II (1918) 666-668; E. Troeltsch, Die soziallehren der christlichen kirchen und Gruppen (Tubingen, 1912), 111. n. 5.

 30. C. John Cadoux, The Early Christian Attitude to War (London, 1940), 211에서 동일한 관찰을 제시하고 있다.

 31. 구약성경 다니엘 2장 이하를 참고하라.

 32. 이에 대한 좋은 설명으로서는 Osca Cullmann의 State in the Early Church (New York, 1956)가 있다.

 33. Eirenaios, Adversus Hereses, VI. xxxvi. 6; V. xxiv, 3.

 34. Harnack, 52.

 35. Cadoux, 213.

 36. Cels., viii. 55.

 37. 다음의 연구들이 같은 약점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B. Baker, The Influence of Christtianty on War (Cambridge, 1888), 30; W. Cunningham, Christianity and Politics (London, 1916), 252; C. Guinbert, Tertullien: étude sur ses sentiments ā L'egard de I'ampireet de la societe civile (Paris, 1901), 196; J. Moffat, 666-67; Edward A. Ryan, 15ff; John Helgeland, 150ff.

 38. Edward A. Ryan, 20의 번역문을 인용했다. cf. Jounal of Theological Studies, IX (1907-8), 366-69.

 39. A. D. Nock, “The Roman Army and the Roman Religious Years,” Harvard Theological. Review 45 (1952), 187-252.

 40. Campenhausen, 166; Moffat, 666.

 41. Jaque Fontaine, “Les chrétiens et le service militaire dans l'Antiguite,” Concilium, 7 (1965),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