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6중(重) 성경」(The English Hexapola)에 수록된 최초의 영어 번역 신약 성경(Wyclife, 1382)에는, 요한계시록 10장 6절“남은 때가 없으리라”(tyme schal no more be)로 번역되어 있다. 그리고 역시 같은 책에 수록된 틴데일(Tyndale)역 신약 성경(1525)에서도 “남은 때가 없으리라”(there shoulde be no lenger time)고 번역되었다. 그 밖에 다른 개신교와 가톨릭의 초기 번역본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번역되어 있다. 영어 흠정역 성경(1611)도 “남은 때가 없으리라”(there should be time no longer)로 번역했다. (299.7)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와서 알렉산더 캠벌(Alexander Campbell, 1826)과 조지 R. 노이즈(George R. Noyes, 1869)와 같은 개인 역자들이 성경을 낼 때에 때라는 낱말 대신에 지체(지연)라는 낱말을 사용하였다(한글 번역도 마찬가지이다. 역자 주). 1881년에 나온 영어 「개역 성경」은 난외주에 지체라는 단어를 부가함으로써 개인 번역 성경들의 시도를 존중했다. 1901년에 나온 「미국 표준 성경」에서는 아예 본문에 지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그리고 그 후 거의 모든 번역 성경에 지체라는 단어를 쓰게 되었고 일부의 번역에서는 역시 비슷한 개념의 기다림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다. (300.1)
 이렇게 번역된 단어의 희랍어 원어는 크로노스(chronos)이다. 이것은 크로놀러지(chronology:연대학), 크로노미터(chronometer:정밀 시계, 拍節器) 등의 영어 단어와 관련이 깊다. 크로놀러지(chronology)는 시간에 대한 학문이며 또 사건을 시간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크로노미터(chronometer)는 보통 이상으로 정밀하게 시간을 측정하는 기계이다. 크로노스는 신약 성경의 약 30 곳에서 “때”로 번역되어 있다. 예컨데 마태복음 2장 7절에서는 “별이 나타난 때”라고 했고 누가복음 1장 57절에서는 “엘리사벳이 해산할 기한(때)이 차서 아들을 낳으니”라고 되어 있다. 신약 성경 중에서 크로노스가 “지체”(지연)으로 번역된 곳은 우리가 지금 검토하는 요한계시록 10장 6절 뿐이다. (300.2)
 리델(Liddel)과 스코트(Scott)가 편집한 고대 희랍어 대사전에는 크로노스가 고대 희랍의 문헌들에서는 “때”를 의미했다는 용례가 무수히 제시되어 있다. 이 사전은 희랍의 고대 문헌에서 크로노스“지체”라고 번역될 가능성을 거의 전적으로 배제시키고 있다. G. W. H. 램프(Lampe)가 편집한 「교부(敎父) 희랍어 대사전」도, 크로노스가 교부들의 글에서 “때”의 뜻으로 사용된 용례를 많이 소개하면서도 “지체”의 뜻으로 사용된 용례는 소개하지 못하고 있다. (300.3)
 문제의 성경 구절을 희랍어 발음으로 옮기면 “호티 크로노스 우케티 에스타이”(οτι χρογος ουκετι εσταλ)가 된다. “남은 때가 없으리라”로 번역될 내용이다. 신약 성경의 희랍어는 근대 영어와 마찬가지로 지체되는 경험을 말할 때 결코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지체를 뜻할 때는 마태복음 24장 48절“주인이 더디 오리라”고한 경우에서처럼 분명하게 크로니죠.(xpoviso)라는 동사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요한계시록 10장 6절에서는 이 동사가 사용되지 않았다. (300.4)
 요한계시록 10장 6절에 사용된 크로노스의 간단 명료한 뜻은 단순히 “때” 이다. 만일 요한계시록 10장 6절“지체하지 아니하리”라로 번역한다면 요한계시록 10장과 다니엘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이 모호해진다. 다니엘 12장에서 “세마포 옷을 입은 사람”은 맹세 하기를 마지막 때까지 즉 1,260일과 2,300일 예언이 끝날 때까지 그 책이 봉함될 것이라 하였다. 요한계시록 10장에서는 “천사”가 그 책을 펴들고 때 즉 예언적인 때가 종국에 이르렀다고 맹세하고 있다. (300.5)
 우리는 이제 천사가 전한 말의 뜻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 희랍어 원어에서 직접 번역한다면 그 번역은 마땅이 “남은 때가 없으리”라가 되어야 한다. 즉 1,260일과 2,300일의 예언적인 때가 끝났다는 뜻이다. (300.6)
 References

 1. Julius Africanus, Chronography, fragment 16;ANF 6:134, 135. See also LeRoy Edwin Froom, The Prophetic Faith of Our Fathers, 4 vols.(Washg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iton, 1946~1954), 1:279~281. Though nearly right, Africanus mistakenly commenced the period with Artaxerxes memo in Nehemiah 2(244 B.C.) rather than with Artaxerxes decree in Ezra 7(457 B.C.).

 2. See Froom, Prophetic Faith, 1:683-716.

 3. Ibid., 2:277 and 1:528. Sometimes Luther also applied the 1260 days to the Turk as being a kind of co-antichrist.

 4. Froom, Prophetic Faith, 3:33-42, 125-134,181-185. Parentheses indicate when each writer's contribution first appeared in print.

 5. See Froom, Prophetic Faith, vols. 2 and 3. also see C. Mervyn Maxwell, “An Exegetical and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Beginning and Ending of the 1260 Days of Prophecy with Special Attention Given to A.D. 538 and 1798 as Initial and Terminal Dates”(M.A. thesis, Andrews University, 1951), appendix VI.

 6. Froom, Prophetic Faith, 2:194-196.

 7. Ibid., 1:743-751.

 8. Ibid., 2:713-719. 페트리(Petri)는 2,300일의 끝을 예수께서 탄생한 후 1847년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그는 예수께서 태어난 정확한 연도는 확실치 않음을 알고 있었다.

 9. Ibid., pp. 719-722. His dates were 420 B.C. to A.D. 1880.

 10. Ibid., 3:404-408.

 11. Ernest R. Sandeen, The Roots of Fundamentalism: British and American Millenarianism, 1800-1930(reprint, Grand Rapids, Mich.:Baker Book House, 1978), p.22n.

 12. Ellen G. White, Testimonies for the Church, 9 vols.(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885-1909, 1948), 1:54.

 13. William H. McNeill, The Rise of the West(Chicago: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pp. 730-762.

 14. Ibid., p. 730.

 15. Kenneth Scott Latourette, A History of Christianity(New York:Harper and Brothers, Publishers, 1953), p. 1061.

 16. For an excellent discussion of modern nationalism and its relationto the French Revolution, see, e.g.,Steward C. Easton, The Western Heritag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New York:Holt, Rinehart and Winston, 1961), ch. 17.

 17. R. R. Palmer, The Age of the Democratic Revolution, 2 vlos.;vol. 1, The Challenge(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pp. 13-20, esp. p. 7.

 18. Ibid., b. 19. 1790년 대 중반에 있었던 테디우스 코시우스코의 반란이 실패한 뒤 출간된 책으로부터 폴란드 혁명, 콜론테이를 인용하였음.

 19. Douglas Johnson, The French Revolution(New York:G. P. Putnam's Sons, 1970), p. 74. Apparently Dr. Guillotine had in mind the device's speed and relative painlessness.

 20. See M. A. Thiers,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trans. from the last Paris ed., with notes(London:William P. Nimmo, 1877), pp. 447-453. Compare Durand de Maillane, Histoire de la Convention nationale(Paris, 1825), pp. 191-196, trans. in E. L. Higgins, The French Revolution As Told by Contemporaries(Boston:Houghton Mifflin Company, 1938), pp. 349, 350.

 21. General Sir James Marshall-Cornwall, Napoleon as Military Commander(London:B. T. Batsford Ltd.;Princeton, N. J.:D. Van Nostrand Company, 1967), chs. 25, 26.

 22. Samuel Eliot Morison, The Oxford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Neo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965), pp. 264, 265.

 23. Easton, Western Heritage, pp. 505, 506.

 24. Palmer, Revolution, pp. 11, 12.

 25. Ibid. 그러나 팔머는 주로 러시아 인들이 프랑스 혁명의 덕을 입었다고 역설하는 사람들과 구분된다.

 26. V. H. H. Green, foreword, in John McManners,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hurch, ed. V.H. H. Green, Church History Outlines, no. 4(London: S.P.C.K.,1969).

 27. Williston Walker, rev. Cyril C. Richardson, Wilhelm Pauck, Robert T. Handy,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New York:Charles Scribner's Sons, 1959), pp. 384, 385.

 28. See, e.g., Philippe Erlanger, St. Bartholomew's Night: The Massacre of Saint Bartholomew, trans. from the French by Patrick O' Brian, Pantheon Books(New York:Random House, Inc., 1962), esp. pp. 123-133, 148, 166, 199. 현명치 못하게도 몇몇 위그노 교도들은 여러 가지 정치 활동에 참가했으며, 그들이 모두 완전 무결했던 것은 아니라고 에르랑거는 반박한다. Blackwood's Magazine(1836년 1월) 21, 22를 비교하라. 나중의 소식을 듣고 교황의 기쁨이 약간 가셨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는 메달이나 프레스코를 만들라는 요청을 철회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것들이 로마에 아직까지 전시되어 있다.

 29. John Bartlett, Familiar Quotations, 13th ed.(Boston:Little, Brown and Company, 1955). p. 115에서는 그 진술이 헨리 4세나 왕과 회담하는 목사 설리에게서 나왔다고 한다.

 30. Walker, History, pp. 388, 389;Philip Schaff, The Progress of Religious Freedom as shown in the History of Toleration Acts, reprinted from the paper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hurch History,” vol. 1(New York:Charles Scribner's Sons, 1889), pp. 30-40.

 31. See, e.g., Easton, Heritage, pp. 487, 488.

 32. Graham Gargett, Voltaire and Protestantism, ed., Haydn Mason, Studies on Voltaire and the Eighteenth Century, no. 188(Oxford:The Voltaire Foundation, 1980), pp. 457, 463,464.

 33. Thomas Paine, The Age of Reason, in Philip S. Foner, ed., The Complete Writings of Thomas Paine, 2 vols.(New York:The Citadel Press, 1969), 1:474.

 34. McManners, French Revolution, pp. 98-105.

 35. Thiers, French Revolution, pp. 372, 373.

 36. McManners, French Revolution, p. 92.

 37. Ibid., pp. 86-97.

 38. Thiers, French Revolution, p. 373.

 39. Aime Guillon, Memoires pour servir al' histoire de la ville Lyon Pendant la Revolution, 3 vols.(Paris, 1824), pp. 347, 348, in Higgins, ed., French Revolution, p. 330.

 40. Thiers, French Revolution, p. 374.

 41. George Rude, The Crowd in the French Revolution(Oxford:Clarendon Press, 1959), p. 11. 1

 42. Thiers, French Revolution, 374.

 43. Ibid., pp. 426, 427.

 44. Green, foreword, in McManners, French Revolution. Emphasis supplied.

 45. McManners, French Revolution pp. 106-108.

 46. Schaff, Progress, p. 44. Punctuation slightly adapted.

 47. For a good brief overview see Skevington Wood, “awakening,” in Eerdman's Handbook to the History of Christianity, eds. Tim Dowley, et al., Ist American ed.(Grand Rapids, Mich.: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7), pp. 434-455.

 48. Latourette, History, p. 1027에 의하면 1790년 영국 감리교인의 수가 71,668 명이었다고 한다.

 49. See, e.g., Edwin Scott Gaustad, Historical Atlas of Religion in America(New York:Harper and Row, Publishers, 1962), p. 81.

 50. Latourette, History, p. 1034.

 51. Ibid, p. 1078. 구두점을 약간 수정하였다.

 52. Antonia Tripolitis, review of Soviet Believers: The Religious Sector of the Population, by William C. Fletcher, in Church History 52(June 1983):252, 253, 인구 이억 칠천 삼백만 가운데서 일억 천 오백만의 신자가 있다고 합니다. Paul D. Steeves, review of Soviet Evangelicals Since World War II, by Walter Sawatsky, in Journal of Church and State 25(Winter 1983):155-15701 따르면, 믿을만한 추산으로는 전체 인구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비율은 약 20~45%가 된다고 한다.

 53. 수년 동안 수감되어 있으면서 어렵게 믿음을 고수한 한 중국인 그리스도인과 1983년 8월에 나눈 대화이다.

 54. Article, “Bible Societies,”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2:88, 89.

 55. 연합 성서공회에서 낸 “1980년대 초” 통계는 1983년에 적용된다. 이 통계 수자와 미국 성서공회에만 적용된 다른 수자는 미국 성서공회(1865 Broadway, New York. NY 10023)로부터 얻은 것이다.

 56. Franklin H. Littell, The Macmillan Atlas History of Christianity(New York:Macmillan Publishing Co., 1976), p.34.

 57. The English Hexapla(London:Samuel Bagster and Sons, 1841).

 58. Edgar J. Goodspeed, Problems of New Testament Translation(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5), pp.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