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 J.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Grand Rapids, M: Zondervan, 1940), 9.
2 E. J. Young,
The Prophecy of Daniel: A Commentary(Grand Rapids, MI: Eerdman, 1949), 191.
3 Sanhedrin 976(Soncino ed), 659.
4 참고하라. G. R. Beasley-Murray, in
The New Intermational Dictionary of Nexe Testament Theology, ed. C. Brown(Grand Rapids, MI: Zondervan, 1976), vol. 1, 74, 75. F. F. Bruce,
Israel and the Nations(Exeter, England: Patemoster Press, 1973), 224.
5 L. F. Hartman,
The Book of Daniel, The Anchor Bible, vol. 23(Garden City, N.Y.: Doubleday, 1978), 252.
6 Joyce G. Baldwin,
Daniel: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Press, 1978), 171, 174쪽도 참고하라. 비교하라. G. McCready Price,
The Greatest of the Prophets (Mountain View, Calif.: Pacific Press, 1955), 244. 01714 17 of 태복음 22:7을 지적한다.
7 G. F. Hasel,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24-27,” Insert D, Ministry, May 1976, 5. 두 개의 본문에 대한 관찰이 이러한 결론을 지지한다. (1) 다니엘은 때를 오직 해 의 용어로만 생각하고 있다(단 9:2).(2) 다니엘 10:2에서 다니엘은 9장의 연주와 분명히 구별하여 그것이 보통의 3주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3주”라는 표현에 히브리어로
“날 들”(of days)을 첨가하였다.
8 Young,
The Prophecy of Daniel, 216.
9 Philip Mauro,
The Seventy Weeks and the Great Tribulation (Boston: Hamilton Bros., 1923), 95. 그는 창세기 15:18과 갈라디아 3:17의 430년 예언, 창세기 45:6의 애굽에 서의 칠년 풍년과 칠년 흉년, 민수기 14:34의 40년 고아야 방황 예언, 그리고 예수의 삼일 만의 부활 등을 언급한다.
10 J. F. Walvoord, The Return of the Lord (Grand Rapids, M: Zondervan, 1971).
11 E. W. Hengstenberg,
Christology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 Kregel, 1956), 제3권, 143.
12 J. F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Grand Rapids, MI: Zondervan, 1957), 24. 13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33.
14 Walvoord,
The Rapture Question, 25.
15 다니엘 9:24-27에 나타난 시적 병행과 교차대구로 이루어진 문학적 구조에 대한 해석학적 중요성이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가치 있는 연구를 통해 빛을 보게 되었다. J. Doukhan.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 An Exegetical Study,” AUSS 17:1(Spring 1979): 1-22; W. H. Shea,
“Poetic Relations of Time Periods in Daniel 9:25,” AUSS 18:1(Spring 1980): 59-63; J. B. Payne,
“The Goal of Daniel’s Seventy Weeks,” JETS 21:2 June 1978): 97-115.
16 Payne.
“The Goal of Daniel’s Seventy Weeks,” 109.
17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35.
18 Payne,
“The Goal of Daniel’s Seventy Weeks,” 109.
19 Ibid. 특별히 다음을 참조하라. Doukhan,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 12-14.
20 Shea,
“Poetic Relations of Time Periods in Daniel 9:25,” 59-63.
21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35.
22 Doukhan,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 1-12, 특별히 12쪽을 참고 하라.
23 Young,
The Prophecy of Daniel, 221.
24 Baldwin,
Daniel: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177.
25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39. 26 Ibid., 40.
27 +25127.
SDABC, vol. 5,
“Chronology of the Gospel of John,” 192, 193, 229-231: Payne,
Encyclopedia of Biblical Prophecy, 387.
28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52
29 참고하라. Payne,
“The Goal of Daniel’s Seventy Weeks,” 109, 같은 저자의
Encyclopedia of Biblical Prophecy, 388.
30 Hasel,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24-27” 17.
31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52.
32 bid, 26. 이 날짜는 음력을 양력으로 복잡하게 계산하여 얻은 결론이다. 그러나 다른 세대주의 저자들은 상세한 면에서 부정확하다고 하여 거절하였다. Hasel,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24-27”을 참조하라.
33 Payne,
“The Goal of Danie’s Seventy Weeks,” 101. 페인은 69이레 즉 483년을 BC 458년에 에스라에게 내린 아닥사스다의 조서에서부터 AD 26년 그리스도의 침례 때까 지로 계산하였다. 재림교회는 BC 457년부터 AD 27년까지가 더 정확한 것으로 선호한다. 참고하라. Hasel,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24-27.” 34 Young,
The Prophecy of Daniel, 221. 35 Doukhan,
“The Seventy Weeks of Daniel 9,” 1-22; Shea,
“Poetic Relations of
Time Periods in Daniel 9:25,” 59-63.
36 새 스코필드 주석성경, 13;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53, 58; Pentecost,
Things to Come, 172.
37 McClain,
Daniel’s Prophecy of the 70 Weeks, 61.
38 Ibid., 50.
39 Payne,
Encyclopedia of Biblical Prophecy, 388. 389. 좀 더 상세한 토의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라. P. Mauro,
The Seventy Weeks and the Great Tribulation, 92-94.
40 Young,
The Prophecy of Daniel, 211, 212. H)12 5127. Mauro,
The Seventy Weeks and the Great Tribulation, 78. 윌리엄 셰이는 미간행 논문에서 다니엘 9:26의
“장차 한 왕 의 백성이 와서”라는 구절을 유대 백성들 자신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기를 선호한 다. 왜냐하면 그들이 그리스도를 그들의 왕으로 받아들이기를 거절함으로써 예루살렘 멸 망을 초래하였기 때문이다.
41 E J. Young and J. B. Payne은 다니엘 9:27의 제임스왕역(KJV)을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