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erhard F. Hasel,
‘Remnant’,
ISBE 4:130.
2. 남은 자를 가리키는 히브리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샤아르’(שׁאר,
š´r,
‘남다’), 226회, 아람어 10회.
창 7:23; 14:10; 42:38; 신 3:11; 수 13:12.
(2)
‘팔라트’(פלט,
plt, ‘탈출하다, 빠져나가다’), 80회. 명사형
‘팔리트’(פָּלִט,
Pälî†),
‘팔레트’(פָּלֵּט,
Pälë†, 전쟁 피난자),
창 14:13; 사 45:20.
(3)
‘말라트’(מלט,
mlṭ,
‘도망하다, 구원하다’), 89회.
‘팔라트’(פלט,
plt)에서 발전함.
사 20:6; 삿 3:29; 왕상 1:12; 종말론적 약속을 받음,
사 49:14-20; 욜 2:32[MT 3:5];
단 12:1.
(4)
‘야타르’(יתר,
ytr,
‘남다’), 248회. 명사형
‘예테르’(יֶתֶר,
‘남긴 것’),
욜 1:4; 수 12:4; 23:12.
(5) 명사
‘사리드’(שָׁרִיד,
Särîd,
‘생존자’), 28회.
수 10:20; 삿 5:13.
(6) 명사
‘아하리트’(אַחֲרִית,
´äHarît). 어근
‘아하르’(אחר,
´Hr)의 파생어,
‘남은 자’,
암 4:2; 9:1; 겔 23:25—이곳의 남은 자는 미래의 소망 없이 전적인 멸망을 경험한다. Ibid., 131.
3. Sang Hoon Park,
‘שׁאר’,
NIDOTTE 4:11.
4. Hasel,
‘Remnant’, 132.
5. 공동체가 겪은 어마어마한 대격변 속에서 다음의 경우처럼 살아남는 경우는 전혀 혹은 거의 없기도 하다.
왕하 21:13-15; 사 17:4-6; 렘 8:3; 겔 15:1-8; 암 3:12; 5:3; 9:1-4. 참조, Lester V. Meyer,
‘Remnant’,
ABD 5:670.
6. Ibid.
7. Gerhard F. Hasel,
The Remnant: 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Remnant Idea from Genesis to Isaiah (Berrien Springs, MI: Andrews Univ Pr, 1972., 1972), 140-141.
8. Park, 13.
9. Kenneth D. Mulzac,
‘The Remnant Motif in the Context of Judgment and Salvation in the Book of Jeremiah’(Ph.D. diss, Andrews University, Seventh-day Adventist Theological Seminary, 1995), 375-376.
10.
‘미가엘’(מִיכָאֵל,
mîkä´ël; Μιχαήλ,
michaël)은
‘누가 하나님과 같으냐?’는 뜻이며 선악의 싸움에서 천사장이시며 하나님 군대의 최고 지휘관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참조,
단 10:13, 21; 12:1; 유 1:9; 계 12:7.
(2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