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actantius,
Mort. Pers., 25. lf
2. Eusebius,
HE, viii. 9. 4, 5. 유세비우스는 그의 교회사 8권 서두에서 밝히기를 敎會가 大迫害를 당하기까지의 40년간 조직적인 박해가 없는 평화의 시대를 누리는 동안
“세속적” 목적에 관심을 빼앗기고 신앙이 해이해짐으로써 박해가 불가피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대박해를 통해 그리스도교도들은 다시 순교자의 신앙을 회복케 되었는데, 박해가 일정기간 계속된 후에는 오히려 로마인들이 그리스도교도들에 대한 박해에 지치게 되었으며 처형된 그리스도인 친구들을 그리워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3. Lactantius,
Mort. Pers., 25. 3ff
4. 콘스탄티누스의 이름이 알렉산더의 이름과 함께 묶여있는 비문이 하나 있는데 바로 그것이 Mmpp dd nn L Domitio Ale-xandro et Fl. Constantin Augg (Inscriptiones Latinae Selectica, 8936)이다.
5.
Panegyriques Latins, 12 (9). 3. 3; 5. lf.
6. Eusebus, IX. 9. 5; Lactantius, 44.
7. Lactantius, 44. 4.
“Caeleste signum dei” 8. MacMullen,
Constantine (New York, 1969), 73.
9. T. D. Barnes에 의하면 Eusebius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첫 만남은 325년 니케아 종교 회의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기간에 콘스탄틴누스가 자신의 환상 경험을 유세비우스에게 이야기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
Constantine and Eusebius [Cambri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66).
10. Eusebius,
Vita Constantini (이후
Vita로 약칭함), I. 28-31.
11. Lactantius, 44. 4. 그런데 락탄티우스는 十字架의 상징을 지시한 존재가 그리스도인지 천사인지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남기지 않았다.
12. Eusebius,
Vita, I. 28.
“ἐν τούτω νικα”,
“in hoc signo vinces.” 유세비우스는 하늘에 기록된 銘文이 희랍어로 되어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으나 Nicephorus와 Zomaras는 라틴어로 되어 있었다고 주장한다. Cf.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Ⅲ, 22. n. 2.
13. T. D. V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Cambrige, Massachusetts: Harvard Uni. Press, 1981), 85, n. 3.
14. N. H. Baynes,
“Constantine the Great and the Christian Church,” Proceedings of British Academy. XV (1930), 58, n 31. A. H. M. Jones,
Constantine and the Converaion of Europe (New York, 1962), 85-86.
15. M. Sulzberger,
“Le Symbole de la croix et les monogrammes de Jésus Chez les Pemiers Chretiens,” Byzantion, Ⅱ (1925), 337-448. 특히 447-448.
16. Philiph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Ⅲ. (Grand Rapids. Michigan, reprinted, 1977), 21, 33.
17. Lactantius, 46.
18. Jacgues Moreau,
“Sur La Vision de Constantin,” Revue des Etudes Anciennes, LV (1953), 307-333, 특히 310.
19.
Panegyrigues Latins (이후
Pan. Lat.,으로 표기한다.), 6 (7). 21. 4.
“vidisti enim, credo, Constantine, Appollinem tuum Constante victoria coronas tibi Laureas offerentem, quae tricenum singulae ferunt omen annorum. hic est enim humanorum numerus setatum quae tibi utique debentur ultra pyliam senectutam” 20. A. Alfoldi,
The Conversion of Constantine and Pagan Roma, trans, H. Mttingly (Oxford, 1969), 69.
21. H. D. Barnes, 36.
22. 제위 초에 주조된 콘스탄티누스의 주화에는 콘스탄티누스가 전쟁의 神인 Mar 신의 특별한 후원자로 나타나고 있으나 (RIC. 6. 130-132〔Londinium, 212-218; Treveri, 260-265 {Lugdunum}〕), 310년에 나오는 주화에는 Mar 신 대신에 관습상 Apollo 신과 동일시되는 Sol Invictus가 등장한다. Sol 즉 太陽神은 콘스탄티누스의 부황(父皇)인 Constanntius의 수호신이며 따라서 콘스탄티누스와 Sol Invictus의 관계를 강조하는 의도는 콘스탄티누스의 황권상속(皇權相續)의 적법성을 강조하려는 것이다(J. Maurice,
Numismatigue Constantinienne [Paris, 1911], xxff.).
23. Eusebius,
Vita, I. 27ff.
24. Lactantius, 44. 5.
“Facit ut iuus est et〔I〕transversa X littera, summo cpite circumflexo, Christum in seutis notat.” H. I. Marou는
“transversa” 앞이나
“littera” 앞에
“I”를 삽입해야 한다는 H. Gregoire의 주장(M. Sulzberger,
Byzantion 2 [1925], 406f를 보라)과
“litttera”뒤에
“virgula”를 삽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A. Alfoldi의 주장(Alfoldi,
Pischculi [Munster, 1939], 5)을 모두 거부하면서 락탄티우스가 묘사하는 크리스트 상징은 X字를 †字형태로 바로 세운 후 수직선의 위끝을 둥글게 굽혀놓은 즉 P의 모양을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H. I. Marou,
“Autour du monogramme Constantinien,” Melanges offerts a Etienne Gilson〔Toronto, 1959], 403-414).
25. Eusebius,
Vita, I. 31.
26. H. T. Barnes는 306. n. 149 에서 유세비우스가 324년 이후에 라바룸 旗를 목격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Cf. R. Egger,
Rőmische Antike 2 (1963), 325ff; M, Black,
Apostolic History and the Gospel: Biblical and Historical Essays presented to F. F. Bruce (Exeter, 1970), 319ff. R. Grosse에 의하면 유세비우스가 묘사하는 형태의 Labarum은 콘스탄티누스의 死後에야 비로서 로마군대내에서 정규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R. Grosse,
“Labarum,” Paulys Real encyclopadie der Classischen Altertums Wissenschaft, Ⅻ. I. [1924], 240-242).
27. Sulzburger, 423. 그레고아르에 의하면 labarum이란 단어는 승리를 경축하는 의식에 사용되는 화환인 laurem이란 단어에서 나왔다고 한다. 따라서 로마군대의 labarum은 군기에 화환을 걸게 함으로써 기원했을 것이라 한다(H. Grégoire,
“L étymologie de 'Labarum',” Byzantion, Ⅳ [1929], 477-482).
28. J. J. Hatt,
“La Vision de Constantin au Sanctuaire de Grand et l'origine celtigue d labarum,” Latomus, Ⅸ (1950), 427-436.
29.
Corpus Inscripionum Latinorum (이후부터는
CIL로 함), XIII. 2140. 이 기념비는 한 어린이를 기념한 것인데 이 어린이의 부모는 이 기념비를 Thor 神에게 헌정하였다.
“sub ascia dedicauerunt.” ascia는 Thor 神의 도끼 또는 망치이다.
30. Hatt, 431-432.
31. Hatt,
433.
32. Henry chadwick,
The Early Church (Grand Rapids, Michigan, 1967), 126.
33. 本 論文의
“로마軍隊宗敎와 그리스도교인의 軍服務” 장을 참고하라.
34.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Ⅲ. (Grand Rapids, 1977), 24.
35.
Lex Constantini A. 321 (Cod. Just. 1. iii., Tit. 12, 3): Imperator Constantinus Aug. Helpidio:
“Omnes judices, urbanaeque plebeset cunctarum artium officia venerabili die Solis quiescant. Ruri tamen positi agrorum culturae libere licenterque inserviant: quoniam frequenter evenit, ut non aptius alio die frumenta sulcis, aut vineae scrobibus mandentur, ne occasione momenti pereat commoditas coelesti provisione concessa.” Dat. Non. Mart. Crispo ii. et Constantini ii. Coss.
36. A. Alfoldi, 48. Cf.
Codex Justinianus, I. iii. 12. 3;
Codex Theodosianus, I. ii. 8. 1.
37. Eusebius,
Vita, 4. 18.
38. Eusebius, 4. 18-19, 20.
39. Lactantius,
46.
“Summe deus, te rogamus, sancte deus, te rogamus: omnem Juistitiam tibi commendamus. salutem nostram tibi commendamus, imperium nostrum tibi commendamus. per te uiuimus, per te uitores et felices existimus. summe, sancte Deus, preces nostra exaudi : brachia nostra ad te tendimus : exaudi sancte, summe deus” (Supreme God, We beseech Thee, Holy God, we beseech Thee, Unto Thee we commend all right, Unto Thee we commend our safety, Unto Thee we commend our empire, By Thee we live, By thee we are Victorious and happy, Supreme Holy God, heer our prayers ; To Thee We stretch forth our arms, Hear, Holy Superme God: trans. William Fletcher,
ANF, vol. vii, 319).
40. H. Gregoire,
“About Licinius Fiscal and Religious Polich,” Byzantine Ⅻ (1938), 551-560.
41.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Gordian, iii. 34; Eusebius,
HE, V. 34.
42. W. Telfer,
“The Author's Purpose in Vita Constantini,” Texte Und Untersuchungen, LXIII (Berlin, 1957), 157-167.
43. T. D. Barnes, 70.
44. Lactantius,
Divinae Institutiones, I. l. 13ff. Cf. E. Heck,
Die dualistischen Zusatze Und die Kaiseranreden bei Lactantius (Heidelberg, 1972), 127ff.
45. Eusebius,
HE, 10. 8ff.
46. Eusebius,
Vita, l. 54.
47. Eusebius,
Vita, l. 51. lf; l. 53. 2; 2. 20. 2.
48.
Codex Theodosianus, 16. 2. 5.
49. T. D. Barnes, 70.
50. Lactantius,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