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은 사회와 자녀들에게 영광스런 존재가 아닌 학대의 대상이 된다 수명이 연장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가족들이 노인을 사랑어린 마음으로 돌보는 능력은 줄어들고 있다. 양로원에 버려지거나 자녀의 집에 얹혀사는 노인들은 자녀들이 그들을 돌볼 마음이나 시간이나 여력이 없기 때문에 육체적인 고통을 받지 않는 상태이면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은 보통 확대 가족들이 노인들을 존경하고 돌보는 저계발 지역에서보다 경제적으로 발달된 나라에서 훨씬 더 심각하다. (840.2)
 E. 가족의 형태와 계획
 가정들은 크기와 모양에 있어서 다르다 가정은 온정, 안전, 피난처를 제공하는 기능을 띤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가정의 정체성과 활력을 잃는 위험에 처한 오늘날, 성경적 관점은 지속력을 지닌 가정의 가치를 분명하게 말해 준다. (840.3)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한 지붕 아래나 가까운 거리에 살고 있는 조부모, 고모나 삼촌 같은 친척을 포함한 확대 가족이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 두 개의 가족 형태가 합법적이지만, 확대 가족에서 분리돼 나온 핵가족은 확대 가족에 분명히 나타나는 가족 결속의 이점들을 놓치게 된다. 오늘날 사회의 다변성 및 현대 생활의 요구로 인해 확대 가족으로 사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더라도 핵가족은 확대가족, 특히 조부모와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장려 받아야 한다. 나이 든 세대가 자녀들의 사회화를 위해 해야 할 일이 많은 것과 마찬가지로, 자녀들 역시 노년에 젊은 세대의 부양을 필요로 한다. (840.4)
 이혼의 증가와 미혼모의 출산 증가로, 한 부모 가정이 현대 가족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가정들의 대다수는 여성이 이끌고 있으며 가난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가정에서 성장한 아이들은 대개 부정적인 면들을 지니고 있다. 부모의 부재, 보통 아버지의 부재는 아버지의 적절한 역할 모델, 특히 부재한 부모와 동성인 아이들의 적절한 역할 모델을 박탈해 버린다. 한 부모 가정의 아이들은 부모가 식량과 피난처를 만들어 주기 위해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의 사랑어린 보살핌을 받지 못한 채 많은 시간을 보내기 일쑤이다. 이러한 아이들은 정상적인 가정에서 얻는 경험을 빼앗겼다고 느끼기 때문에 냉소와 원한의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학교를 중퇴하고 비행을 일삼기도 한다. 사회와 교회는 이러한 가족들을 지지하고 격려해 주어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온전한 가정을 가진 사람들은 한 부모 가정의 짐을 나눠 질 시간을 낼 필요가 있다. (840.5)
 미국에서는 결혼한 부부 두 쌍 중 한 쌍이 이혼으로 끝나, 이들 중 대부분은 재혼을 하기 때문에 수많은 재혼 가족이 이 시대의 또 다른 현실이 되었다. 이런 재혼 가족이 조화를 잘 이루는 데 큰 걸림돌들이 존재한다. 원래 가족의 해체에 따른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이전 가족과의 관계, 적어도 이전 가족의 영향이 계속된다. 이 때문에 새로운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족 간의 상호 작용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두 부모, 두 자녀, 네 명의 조부모, 확대된 가족 구성원 안에 존재하는 평균 “28쌍 사이에 247개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만약 한 부모가 재혼을 한다면, “131,054”개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으며 부모 양쪽이 모두 재혼을 한다면 “가능한 상호작용”의 수는 “8,388,584”개로 훌쩍 뛴다(Clark 10). 이런 문제들을 보면 이혼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지혜임이 드러난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들은 효과적인 가족 단위로 섞이고 융화하는 데 성공한 재혼 가족들에게 도움을 준 것이기도 하다. (841.1)
 어떤 형태의 가족이든 간에, 가족 내에 있는 관계들과 역할들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은 여전히 유효하다(참조 I. D, E). 이렇게 하여 부모와 자녀들은 하나님의 보호와 지시 아래 가족 구성원들을 보호하고 주변에 온기와 밝은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사랑의 요새를 세울 수 있다(생활양식 I. C. 5. A). (841.2)
 1. 번성과 확장
 앞서 언급했듯이, 자녀들은 “야훼의 기업”이다(시 127:3). 가족이라는 관계를 완성시키며 부모에게 기쁨을 가져다주는 존재가 바로 자녀이다. 오늘날 생활 환경을 감안하여 많은 부부가 자녀 출산을 제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자연 임신이 어려운 부부들은 아이를 갖기 위해 적극적인 방법을 취하기도 한다. (841.3)
 a. 피임
 피임을 하는 것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현재 기술의 발달로 부모는 보다 안전하게 자녀를 출산하거나 자녀의 수를 제한할수 있게 되었다. 피임을 시행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부부의 사적인 결정에 달려 있다. 그들만이 자신들의 재정적 및 육체적 능력을 알고 있다. 부모는 그 가정에서 태어나는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 부모의 경제적 능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확대된 가정은 불행하게도 자녀의 발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약점을 안고 있다. 자녀를 너무 많이 둔 어머니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시달리며, 자녀 역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은 생명을 보존하라는 성경의 명령을 존중하지만, 생명의 잉태를 막지 못한 것이 그것에 관여한 자들의 안녕에 해가 될 수도 있으며, 그리하여 우리의 건강과 번영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효과적으로 역행하는 것이라는 논지를 받아들인다. (841.4)
 엘렌 화잇은 그녀의 봉사 기간 동안 줄곧 부모가 아기를 낳기 전에 자녀의 행복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교회증언 제2권 380; RH June 24, 1890). “부모는 자녀들을 세상에 낳아서 다른 사람들에게 짐이 되게 할 아무런 권리가 없다.”(교회증언 제2권, 380). 엘렌 화잇은 어떤 부부에게 “영아 시절부터 훈련시키고 교육시킬 수 없을 것 같으면 그대들의 가족 수를 늘리는 것은 죄다.”라고 말했다(교회증언 제5권, 323,324). 더 나아가, 어떤 부부는 선교사로서의 앞길의 가능성을 향상시키려면 자녀가 없는 채로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RH Dec. 1885). (841.5)
 b. 현대 의학 기술과 입양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부부들은 자녀를 얻기 위해 현대 의학 기술을 이용하거나 입양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여러 사항은 심각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므로 성령의 인도가 우선시된다. 이 모든 일에는 생명의 원칙 및 그리스도인의 청지기직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요구된다. (841.6)
 결혼한 부부의 정자와 난자를 이용한 체외수정이나 아버지의 정자를 이용한 인공수정으로 낳은 아기는 양쪽 부모에게 속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도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부모는 일반적으로 고비용이 드는 이런 절차와 관련하여 재산의 청지기직분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불임을 그렇게 해결하는 것이 그들을 위한 하나님의 뜻에 위배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841.7)
 기증자에 의한 인공 수정은 많은 난제를 불러일으킨다. 정자 은행이 기증자를 선별하는 데 신경을 쓰는 것과 상관없이 아이는 아버지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기질을 물려받을 수 있다 자신의 아버지가 정체를 알 수 없는 기증자라는 사실을 안 아이는 평생을 방황하며 아버지 부재에 대해 걱정하며 살게 된다. 반면, 아버지가 알려지면 아이나 아버지가 그 아이가 자란 가정과 아이와의 연결 고리를 끊을 수도 있다. 난자 기증자와 아버지의 정자를 이용한 체외수정으로 나타나는문제 역시 비슷하다. (842.1)
 입양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던 가족 확장 방법이다. 아브라함은 엘리에셀을 자신의 상속자로 삼을 생각을 했다(창 15:2, 3). 바로 왕의 딸은 모세를 입양했다(출 2:10). 모르드개는 에스더를 자신의 아이로 키웠으며(에 2:7), 요셉은 어린 예수를 책임졌다(눅 2:41-52). (842.2)
 대부분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입양을 한다. 아기를 낳고 싶지만 불임인 부부들이 입양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을 돌보려는 부부나 가족들이 어린 생명에게 자신의 집을 개방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어떤 이유든지 입양으로 맺어진 부모는 입양한 아이들의 삶을 위해 헌신한다. (842.3)
 이러한 입잉으로 난처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유전적 소인을 가졌거나 어릴 때부터 학대받은 아이들은 입양한 부모가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인종이나 문화 간의 입양은 풍성한 지혜와 각별한 사랑이 요구된다. (842.4)
 이타적인 동기로 시작된 입양은 아름다운 그리스도인의 자세이다. 입양은 입양된 아이들에게 신체적 및 심리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사랑의 가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부는 부모가 된 사람으로 누릴 수 있는 이점을 얻을수 있다. (8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