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으로는 그 때까지 유대 그리스도인 사회에서 축제와 희락의 날로 지켜져온 안식일을 그리스도인들이 금식하는 침울한 날로 바꾸고자 하였다. 로마교회가 안식일을 금식일로 삼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습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는 사실은 칼리스투스(Callistus, 217-222), 히폴리투스(Hippolytus, 170-236), 실베스터(Sylvestsr, 314-315), 인노센트 1 세(401-410) 같은 로마교회의 역대 감독들과 아우구스티누스(354-430), 요한 키시아누스(John Cassian 360-435) 같은 교부들의 역사적인 언급들을 통해 충분히 입증되고 있다.
24 토요일 금식은 단순히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애도의 표시로서만 권장되었던 것이 아니다. 로마 교회의 감독 실베스터가 확인하고 있듯이
“유대인에 대한 경멸,(exsecratione Judaeorum)과 그들의 안식일” 축제에 대한 경멸(destructiones ciborum)의 표시로서 권장되었던 것이다.
25 금식으로 말미암는 비애와 배고픔의 고통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유대인들과 함께 안식일을 지키러 나아가는” 일을 피하게 되었고 그 대신에 더 열심히, 더 기쁘게 일요일을 준수하게 되었다.
26 예전적으로는 초대교회가 안식일을 종교적인 의의가 적은 날로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로마교회는 안식일에 금식만을 장려하고 성찬식을 거행하지 않게 함으로써 교인들로 하여금 안식일에는 성찬에 참여하는 종교적 경험을 치를 수 없게 하였다.
27 (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