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림 전 조사심판의 성경적 기초 조사심판의 역사 제6장 조사심판 교리의 발전
 하지만 러프보로가 아직 확실하게 단정하지는 않았음을 주목하라. 그는 다니엘 8:14의 성소 정결이 심판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는지 질문하였으며, 그런 것이 “분명해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75.2)
 하늘 성소의 속죄일과 심판을 가장 먼저 확실하게 동일시한 사람은 유라이어 스미스(Uriah Smith)였다. 1855년 10월 2일자〈애드벤트 리뷰 앤드 새버스 헤럴드〉(Adventist Review and Sabbath Herald)에서 그는 “지상 성소의 정결 작업은 심판하는 작업이었다.”8)라고 분명하게 말했다. 어떻게 스미스가 천상의 심판을 지상 속죄일의 원형으로 말하였는지 주목하라. 속죄일에 대제사장은 성소와 백성을 위한 속죄를 수행하였다고 말하는 레위기 16:33을 언급하고 나서, 그는 “이것은 엄숙한 사실을 예시한다 구원의 위대한 계획안에서 인류를 위한 결정의 때가 다가오고 있었다. 속죄의 사역이 이행되고 있었다. 참 이스라엘인 하나님의 백성은 무죄의 상태로, 모든 죄로부터 정결하게 되어 나타나야 한다∙∙∙ 우리는 다니엘 7:10에서 심판을 베푸는데 책들이 펴 놓여 있더라는 말씀을 읽는다”9) 라고 말했다. (75.3)
 하늘 성소의 속죄일과 심판 간의 상호관계가 퍼즐의 마지막 조각, 즉 대실망을 전후하여 밀러주의자들이 가지고 있던 네 가지 신학적 개념들 중의 마지막 개념이다. 그 네 개념이 합쳐져서 하나의 새로운 교리를 만들어내게 되었으니 그것이 바로 조사심판이다. 이처럼 1857년까지 안식일준수 재림신자들은 그와 같은 네 가지의 신학적 개념들로부터 재림 전 조사심판에 관한 그들의 기본적인 교리를 발전시켰다. (76.1)
 <미주> ---------------------

 1) 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s.v; “Edson, Hiram”;강조는 원문에 있는것임.

 2) O. R. L. Crosier, “The Law of Moses,” Day-Star Extra, February 7, 1846, 40;강조는 원문에 있는것임. Damsteegt, Foundations,127에서 재인용; 강조는 원문에 있는것임.

 3) Gerhard Hasel, “Divine Judgment,” Handbook, 845.

 4) James White,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January 29, 1857;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s.v. “hwestigative Judgment”에서 재인용. 그는 “첫째 부활 전에 하나님의 집, 즉 교회에 대한 조사심판이 있을 것이다”라고 썼다.

 5) William Miller, letter, Day-Star, April 8, 1845; 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s.v. “Investigative Judgment”에서 재인용.

 6) 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s.v. “Investigative Judgment.”

 7) J. N. Loughborough,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February 3,!853;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s.v. “Investigative Judgment”에서 재인용

 8) Uriah Smith,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 October 2, 1855;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s. v. “Investigative Judgment”에서 재인용

 9) Ibid., 강조는 원문에 있는 것임. (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