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원적외선 온열매트를 온도 36-42°C에 두고 40-90분의 미온 찜질을 한다. (60.3)
3. 낮 시간에 얼음주머니를 갑상선 부위에 30분 정도 놓아둔다. 지속적인 냉 습포는 갑상선의 기능을 억제한다. (60.4)
4. 찬물을 적신 무명천으로 목 부위에 열 습포를 적용한다. (60.5)
5. 아마씨 가루와 숯가루를 섞어 반죽한 습포를 목 주의에 적용한다. (60.6)
* 식사 선택 (60.7)
1. 갑상선 기능을 자극하는 음식을 줄인다: 두부나 콩 종류 (60.8)
2. 갑상선을 자극하는 아민(amines)이 포함된 음식을 삼간다: 독일 김치(sauerkraut, 식초와 소금에 절인 양배추, histamine), 치즈(tyramine, tryptamine, and phenylethylamine), 바나나(dopamine,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술(histamine) 등 (60.9)
3. 티오요소(thiourea)는 갑상선 기능을 저하시킨다. 순무, 케일, 양배추, 그리고 평지 씨(rape seed)에 많이 들어있다. (60.10)
4. 매일 양배추 즙을 충분하게 먹고 이와 유사한 녹색 야채를 많이 먹는다. (60.11)
5. 붉고 노랗고 파란 꽃이나 열매를 맺는 음식은 갑상선 기능을 억제한다. 수수밥이나 요리는 치료에 도움이 된다. 수수에는 타이오사이안산염(thiocyanate)이 있어서 갑상선 기능을 억제한다. (60.12)
* 갑상선 호르몬의 영향으로 이상이 생긴 위와 장을 위한 조치 (60.13)
1. 물만 마시는 금식을 3일 동안 적용하여 갑상선을 자극하는 항원들을 배출시킨다. 견디기가 힘들면 식사시간에 과일즙을 먹도록 한다. (60.14)
2. 위와 장의 자극제인 아마씨 가루를 1-3T 복용한다. 이것은 예르시니아(장내균과(腸內菌科)의 1족(族), Yersinia)균의 활동을 억제한다. (60.15)
3. 1T 숯가루를 물에 타서 기상 직후와 취침 전 하루에 2회 1개월 간 복용한다. 소화기의 기능을 돕고 예르시니아 균을 배출시킨다. (60.16)
4. 소화 효소를 사용하되 특히 트립신(trypsin)을 활용하면 위장 관에서 면역 글로불린을 약화시킨다. 아밀라아제(amylase)나 리파제(lipase)도 좋다. (6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