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준수의 기원과 역사 제1장 총론 제3절 “제3의 새 종교”의 특성과 그 유물들
 1) 윤대화, 주일론 中, 33-75.

 2) 상게서, 189-194.

 3) 상게서, 98-114.

 4) 상게서, 91-98.

 5) 상게서, 129-182.

 6) “maggiore”“가장 큰”(best)이라는 뜻임.

 7) “우리의 여신에게 바치나이다”라는 뜻이 함축된 용어임.

 8) Jewett, 122.

 8) Tertullianus, De Spertaculig, 8 in ANF., Ⅲ, 83.

 10) 이장식 편역, 기독교 신조사 Ⅰ(서울: 컨콜디아사, 1979), 25, 26.

 11) Codex Theodosiusi, lib. ⅹⅵ, title 10, lex. 12, trans. in Charle Norris Cochrane, Christianity and Classical Culture (Oxford: Clarendon Press, 1940), 329,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