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는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한다. 사마귀 꼭대기의 작고 검은 점은 작은 출혈부분이거나 아니면 모세혈관의 혈전상태이다. (236.1)
사마귀는 어느 정도 전염성이 있다. 약 7%의 학교 어린이들이 사마귀가 있다. 사마귀가 생기는 절정기는 12-16세 사이이며 그 후 급격하게 줄어든다. 사마귀는 1년 이내에 사라진다. 단 기간 동안 관찰한 어느 연구에 의하면 10-75%의 사마귀는 저절로 없어진다. (236.2)
사마귀로 인한 병변은 대체로 표면이 거칠게 융기되는 구진이나 판의 형태로 나타난다. (236.3)
1. 보통 사마귀-손가락, 손톱 주위, 손등 등에 잘 생기고, 가장 흔한 형태이다. 주로 5세에서 20세 사이에 생기고, 성인이 되면 발생빈도가 낮아진다. (237.1)
2. 손발바닥 사마귀-발바닥 사마귀는 체중에 의해 눌려서 피부표면으로 두드러지게 올라오지 못하고 티눈처럼 피부 속으로 파고 들어서 판을 형성하거나, 결절형태로 되어 걸을 때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237.2)
3. 편평 사마귀-표면이 편평하고 정상피부보다 조금 융기되어 있으며 크기는 2~4 mm 정도 된다. 각각의 병변은 둥글지만 서로 융합되어 불규칙하게 합쳐지기도 한다. (237.3)
4. 음부사마귀, 첨형 콘딜로마-가장 흔한 성병으로 요도구, 항문주위에 호발하며 초기에는 표면이 윤기가 나는 작은 구진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진이 모여 산딸기나 닭 벼슬 모양이 되기도 한다. 전염력이 매우 강하여 한 번의 성 접촉으로 약 50%가 감염될 수 있고 대개 성교 2~3개월 후에 피부병변이 나타난다. (237.4)
II. 예방 및 치료
1. 방수가 되고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를 사마귀에 여러 겹으로 붙이고 6일 반 동안 열어보지 말고 그대로 둔다. 손톱으로 사마귀를 세차게 긁어대면서 가능한 한 죽은 피부를 다 뜯어낸다. 아직도 사마귀가 남아있다면 12시간 후에 다시 테이프로 봉하고 6일 반 동안 그대로 둔다. 이런 절차를 여러 주일 동안 반복할 수도 있다. (237.5)
2. 컴프리 반죽을 사용할 수도 있다. (237.6)
3. 신 사과는 산화마그네슘을 가지고 있다. 경험자의 말에 의하면 면도날로 사마귀 껍질을 벗기고 신 사과 주스를 바르면 1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작용한다. 또한 소량의 사리염(epsom salts)을 사용하기도 한다. (237.7)
4. 흰 캐비지 즙, 알로에 베라 과육, 마늘 조각, 또는 생 토마토 등도 각각 하루에 두 번씩 며칠에서 몇 주 동안 적용하면 사마귀 제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사마귀에 따라 반응 속도가 다르다. (237.8)
5. 밀눈 기름을 2주 동안 날마다 사마귀에 바른다. (237.9)
6. 15명의 환자에게 45-48℃ 수온의 물에 30분에서 90분 동안 1주 2회씩 온수침수 치료를 했는데 9명의 환자들이 치료되었다. (237.10)
7. 무화과 진을 사용하기도 한다. 사마귀가 있는 15세 소녀가 단지 3회 적용했는데 사마귀가 사라졌다. 인주솜풀 속 식물인 밀크위드(milkweed) 추출액도 효과가 있다. 추출액을 한 방울 사마귀에 떨어뜨려 말리는데 날마다 여러 날 동안 또는 여러 주일 동안 적용한다. (237.11)
8. 가장 쉬운 치료 중의 하나는 염수 액에 사마귀를 담그는 것이다. 물 반 컵에 1/2t 소금을 넣어 30%의 염수 액을 만든다. 사마귀를 20분 정도 담그는데 하루에 3회 여러 주일 동안 적용한다. (238.1)
9. 작은 무명천에 신선한 파인애플 즙을 적셔서 사마귀에 붙이거나 얇게 썬 파인애플 조각을 사마귀에 붙인다. 파인애플 효소가 껍질을 벗겨낸 사마귀를 녹여낸다. (238.2)
10. 싱싱한 바나나 껍질의 속살을 사마귀에 적용하고 테이프로 붙인다. 날마다 환부를 씻고 바나나 껍질 속을 바꿔준다. 한 주에 한 번씩 사마귀의 각질을 제거한다. 사마귀가 다 없어지는데 최대 6주 동안 소요되었는데 2년이 자나도록 재발이 되지 않았다(By Livia Warszawer-Schwarcz, MD at Rebaca Sieff Government Hospital in Safad, Israel). (2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