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챤과 술 제 2 장 “포도 음료”와 관련된 단어 연구 1. 포도 음료를 칭하는 단어의 비종교적인 용례
 (1) 영어에서의 “와인(wine)”의 의미
 “와인”의 현대적 용례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와인이 발효된, 취하게 하는 포도즙, 혹은 과실의 발효된 즙(음료로서 마실 수 있는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 근거는 대부분의 현대 사전들이 그렇게 정의를 내리기 때문이다. 한 예를 들자면 메리암 웹스터 대학생 사전(Merriam 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은 다음과 같이 와인을 정의하고 있다. (32.1)
 1. 다양한 퍼센트의 알코올을 함유한, 향기와 맛을 주는 에틸과 에스테를과 함께 발효된 주스.

 2. 식물의 산물(과실로서)로써, 음료로써 사용되는 발효된 즙.

 3. 기운을 돋구거나, 취하게 하는 그 무엇. (32.2)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이 와인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포함되지 않았음에 주목하라. 이와 같은 정의를 읽는 사람들은 와인이 오직 발효된 주스만을 뜻한다고 자연스럽게 추정한다. (32.3)
 “와인”의 과거 용례
 그렇지만 위와 같이 와인이란 단어가 제한적인 의미를 지녔다고 하는 것은 발효된 포도즙과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을 칭하는 이 단어의 고전적인 이중적 의미에서부터 벗어난 것이다. 이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과거 사전들을 찾아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자면, 1955년에 출판된 펑크와 와그날 새 “표준” 영어 사전(Funk & Wagnalls New “Standard”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은 다음과 같이 와인을 “치밀하지 않은 언어 사용에서는 발효된 포도 음료 혹은 발효되지 않은 포도 음료를 뜻한다”고 정의를 내린다. 이 정의는 40 년 전에 와인이란 단어가 “치밀하지 않은 언어 사용에서 발효된 포도즙, 혹은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을 뜻한다”는 것을 드러내 보여준다. (32.4)
 1896년에 출판된 웹스터 국제 영어 사전(Webster’s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은 와인을 포도를 짠 즙, 특히 발효되었을 때에 포도에서 즙을 짜내(통상) 발효되도록 하는 음료라고 정의를 내린다. 이 정의는 역사적으로 정확하다. 왜냐하면, 와인의 기본적인 의미가 “포도를 짠 즙”이라고 정의를 내리면서 항상이 아니라 통상 발효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33.1)
 로버트 티치아우트가 지적했듯이 “사람들이 이 단어(히브리 어, 그리스 어, 라틴 어, 영어든지 간에)를 그 통상적인 의미(취하게 하는 음료)로 이해하여 이 단어의 유일한 정의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 문제이다. 이것은 부정확한 학문이다. 그것은 성경적인 면에서 또 비종교적인 면에서 부정확하고, 영어에 있어서는 역사적으로 부정확하다.”3 (33.2)
 고대 영어 사전들
 이 단어가 영어에서 부정확하게 사용된 것은 오래된 사전들을 살펴보면 자명하게 드러난다. 예를 들자면, 1828년에 출판된 웹스터 사전(Webster’s Dictionary)은 포도액(must)을 새 와인, 포도로 부터 짜냈으나 발효되지 않은 와인(wine)이라고 정의를 내린다.4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이 여기서 명확하게 새 와인이라고 칭하여졌음에 주목하라. (33.3)
 1759년에 출판된 나단 베일리(Nathan Bailey)의 신 세계 영어 사전(New Universal English Dictionary of Words and of Arts and Sciences)은 와인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천연적인 와인은 포도로부터 나온 것으로서, 어떤 혼합물이나 혹은 섞은 것이 없는 것이다.”5 베일리가 비록 그가 묘사한 몇몇 와인에서 암시는 했지만, 여기서는 “발효된”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에 주목하라. (33.4)
 18세기의 다른 사전 편찬자들도 와인이란 단어를 이와 비슷하게 정의 하였다. 1703년 런던에서 출판된 존 커얼시(John Kersey)의 일반 영어 사전(Dictionarium Anglo-Britannicum)도 와인, 포도나 다른 과실로부터 만든 액체(liquor), 어느 것이든지 액체인 것, 즉 드링크, 주스 등등. 포도액(must), 단 와인(sweet wine), 포도로부터 새로 짠 것”이라고 정의를 내린다.6 (33.5)
 1748년에 출판된 벤자민 마린(Benjamin Marin)의 신영어 사전(Lingua Britannica Reformata)은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34.1)
 1. 포도즙.

 2. 포도 이외의 다른 과실로부터 추출하여 낸 독한 증류주(liquor).

 3. 술이 이성을 혼란스럽게 할 때의 포도주 기체.7 (34.2)
 와인이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을 칭함에 사용된 뚜렷한 용례는 윌리암 휘트슨(William Whitson)이 번역하여 1737년 초판된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Antiquities of the Jews)에 나온다. 요세푸스는 요셉이 술 맡은 관원 장의 꿈을 해석한 사건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그래서 그는 자기가 잠을 잘 때 포도나무의 세 가지에 달려 있는 세 포도 송이를 보았는데, 그 포도 송이는 이미 커져 수확할 만큼 익어서, 그가 그 포도 송이를 따서 왕의 잔에 짜 넣고 포도즙을 걸러내어 왕이 마시게 바치었다”고 말하였다. 당신은 당신의 손으로 포도 세 송이로부터 이 포도즙을 짜내었고 왕이 그것을 받았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이 이상은 당신에게 유익한 것이로다.8 (34.3)
 윌리암 휘트슨은 와인이란 영어 단어를 새로 짠,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글류코스[Gleukos])을 번역함에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에 와인은 발효된 포도즙이나 혹은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을 의미하였기 때문에 명백하다. 요세푸스의 기록은 이 외에 또 다른 중요한 면을 알려 준다. 그것은 즉 이스라엘이 국가가 되기 오래 전에 포도에서 즙을 짜서 신선하고, 발효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을 마시는 것이 관례였다는 것이다. 요세푸스가 글류코스라고 부른 사도행전 2:13을 영어 성경에서는 새 와인(new wine)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 사실들은 과거에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이 와인으로 칭하여졌다는 결론을 지지하여 주고 있다. (34.4)
 성경의 번역
 사전들이 와인에 관하여 내린 정의들에 관하여 전술해 놓은 실례들은 흠정역(KJV) 성경이 번역되었을 때(1604~1611)에 그 번역자들은 와인의 의미에 발효된 술과 발효되지 않은 술, 둘 다 포함된 것으로 이해하였다는 것을 밝혀 주고 있다. 그러므로, 흠정역 성경에서 히브리 어 야인희랍 어 오이노스와인으로 일관되게 번역한 것은, 당시에는 받아들일 수 있는 번역이었다. 그렇지만, 와인이란 단어가 포도주만을 뜻하게 되어버린 현대에 성경 번역자들은 성경 본문이 포도주를 가리키는지 혹은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을 가리키는지 표기하여야만 한다. 이렇게 명확하게 표기하여 놓지 않았기에 이 점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는 성경 독자들은 영어 성경에 와인이란 단어가 나올 때에는 항상 포도주를 칭한다고 믿게끔 오도(誤導)되었다. (34.5)
 우리말 성경에 있어서도 번역자들은(초기 선교사들의 번역부터) 이러한 잘못된 이해 위에서 특별하게 엄밀한 생각 없이 번역한 것처럼 보인다. 처음에 음주를 도적적인 명령의 차원에서 강조하였던 한국 교회가 성경 번역에 있어서 만큼은 특별한 연구 없이 잘못된 해석을 답습하였다는 것은 아이러니칼 하기까지 하다.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