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챤과 술 제 2 장 “포도 음료”와 관련된 단어 연구
  • 1
 우리말로는 “포도즙”“포도주”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포도즙”은 발효되지 않은 즙이고, “포도주”는 발효된 술이다. 하지만 영어, 라틴 어, 희랍 어, 히브리 어에서 해당 단어들의 의미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언어권에서 이 단어들의 원래 의미와 그 의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살펴보면 이 논제에 관한 서방 기독교계의 흐름과 그 원인, 그리고 더 나아가 오늘날의 한국 교회에 끼친 영향의 한 근원을 가늠하여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9.1)
 영어로 와인“발효된 포도주”라고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데, 굳이 정의를 내릴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대부분의 사전들도 이렇게 정의를 내림으로써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와인의 의미에 포함되지 못하도록 한다. (29.2)
 와인을 발효된 포도 음료로 정의하는 현실은 성경을 믿는 많은 크리스챤들로 하여금 성경에 나오는 포도 음료가 모두 다 알코올 성분을 함유한 것이라고 믿게끔 하는 이유이다. 성경에는 한 가지 종류의 포도 음료밖에 나와 있지 않다는 주장으로 인하여 한 가지 포도 음료 이론(one wine theory)으로 알려진 이 추정은 많은 신실한 크리스챤들로 하나님께서 발효된, 취하게 하는 포도주를 적당히 마셔도 된다고 승인하셨다고 믿게 함으로써 주정 음료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에 편견이 섞이게 하였다. 이 추론을 다음과 같이 삼단 논법식으로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29.3)
 1. 성경은 오직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포도주만을 알고 있다.

 2. 포도주는 성경에서 은혜로운 하나님의 축복으로 높여지고 있다.

 3. 그러므로 성경은 주정 음료를 적당히 마시는 것을 승인한다. (29.4)
 이 삼단 논법에 내포된 문제는 그 첫번째, 가정이 틀렸다는 것이다. 본 장에서 입증할 점은 성경이 두 가지 뚜렷하게 다른 포도 음료를 알고 있다는 것이다. 첫번째는, 신선하고 합법적인 발효되지 않은 포도 음료이다. 두 번째는, 취하게 하는 위법적인 발효된 음료이다. 많은 학자들은 성경에, 이 두 가지 종류의 포도주가 나온다는 견해를 딱 잘라 부인한다. 즉, 이 견해는 현대에 창출된 가정으로, 성경이나 히브리 문화사, 혹은 고대사에 그 근거가 없다는 말이다.1 말하자면, 포도주는 발효된 것이어야 하고, 발효되지 않은 것이라면 그것은 포도주가 아니라 시럽(syrup)이라는 말이다.2 (30.1)
 본 장의 목적
 본 장은 ‘두 가지 포도음료 이론’이 성경적으로, 역사적으로 토대가 있는 지 검토하여 볼 것이다. 성경이 주정 음료에 관하여 가르치는 바에 관한 연구와 본 장이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포도주”란 단어가 일반 사회에서 그리고 성경에서 사용된 용례에 관한 연구 결과는 포도주를 권하기도 하고, 정죄하기도 하는 성경 귀절 간의 모순을 해결하여 줄 것이다. (30.1)
 절차
 “포도 음료를 칭하는 단어가 현대 영어, 라틴 어, 희랍 어, 히브리 어에서 사용된 용례”를 살펴볼 것이다. 이 4개 언어권에 관한 역사적인 개관은 와인(wine)이란 영어 단어가 라틴 어 비눔(vinum), 희랍 어 오이노스(oinos), 히브리 어 야인(yayin)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었기에 합당한 작업이다. 이 단어가 그 소리와 양태에서 관련되었다는 것은 격(格) 표시 어미를 각 단어에서 떼어내면(라틴 어 vin[um], 희랍 어 oin[os], 히브리 어에서는 접두사 ya를 떼어 내면 [ya]yin) 좀더 명확하여 진다. 격 어미나 접두사 없이는 wine, vin, oin, yin이다(아래 도표를 참조하라). 이 단어들 간에 존재하는 언어적인 관계성은 자명하다. 모두 공통적인 어간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같은 단어를 자국의 언어로 음역(音譯)하였다는 말이다. (30.1)
동일한 의미를 지닌, 언어적으로 관련된 단어
영어 Wine
라틴 어 Vin(um)
희랍 어 Oin(os)
히브리 어 (ya)Yin

 이 연관된 단어들이 각기 다른 언어에서 실제로 뜻하였던 바를 소리와 모양의 유사성 견지에서 확인하여야 한다. 본 장의 전반부에서는 이 관련된 포도주란 단어들(wine, vinum, oinos, yayin)이 비종교적으로 사용된 용례를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희랍 어 단어인 오이노스와 히브리 어 단어인 야인이 성경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30.2)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