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길(히브리서 연구) 제 5 장 제사장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키신 그리스도
 “(대저) 젖을 먹는 자마다 어린아이니 의의 말씀을 경험하지 못한 자요” (히 5:13) (136.3)
 영적인 아이와 같은 사람들은 영적인 분별력이 없다. 의의 말씀에 대한 경험이 없는 자들은 의에 이르는 거듭남의 경험이 없다. 오늘날 말씀을 듣지만 먹지는 않는 사람들이 많다. 말씀을 알지만 실천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사람들은 의의 말씀을 경험으로 가져오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136.4)
 (히 5:14)
 “단단한 식물은 장성한 자의 것이니 저희는 지각을 사용하므로 연단을 받아 선악을 분변하는 자들이니라” (히 5:14) (136.5)
장성한 자
 영적으로 성숙한 자 혹은 완전한 자이다. 완전한 자는 단단한 식물을 먹고 성장한 자이다. 장성한 자는 선악을 분별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당시의 많은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아들을 통해서 전해진 복음을 연구하는데 게을리 했다. 그러므로 당시의 현대진리인 성소제도에 관하여 너무나 어두운 가운데 놓여 있었다.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성소진리가 아직 닫혀 있다. (137.1)
 “내가 알기로는, 성소에 관한 문제가 과거 수년 동안 우리들이 중요시 했던 것과 같이 현재에도 의와 진리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원수는 사람들을 진리에서 이탈시키고 있다. 그 원수는 진리를 아는 자들이 진리에 합당하지 않은 그릇된 학설을 세우기 위해서 거기에 적합한 성경절들을 수집하는 데 열중하고 있는 것을 보고 매우 기뻐한다.”2 (137.2)
 많은 사람들이 성소진리와 하늘 중보사역을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해 영적 난쟁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진리와 오류를 분별하는데 있어서 너무나 미숙한 가운데 놓여 있다. (137.3)
 “하나님의 백성들은 성소 문제와 조사심판에 관한 문제를 분명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들은 그들의 크신 대제사장의 위치와 사업에 대하여 그들 스스로 알아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그들은 이 시대에 필요한 신앙을 활용하거나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차지하기를 바라시는 그 위치를 채우지 못하게 될 것이다. 각 사람은 영혼을 구원하든지 잃어버리든지 할 것이다.”3 (137.4)
 무엇이 진리인가? 가 그대의 질문이 되게 하라 무엇이 진리라고 지금까지 믿어왔는가가 아니다.···하나님께서 그분의 살아있는 말씀을 통하여 그대에게 말씀하시도록 하고, 말씀을 받아들이도록 하라.4 (137.5)
 “성경을 연구하는 데에는 가장 부지런한 노력과 인내성 있는 사고가 요구된다. 마치 광부가 땅 속의 금광을 찾아 파듯이,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보물을 열심히 끈기 있게 찾아야 한다. 매일의 연구에 있어서, 성경을 절절이 배워 가는 방법은 매우 유익하다. 성경을 연구하는 자는 성경의 한 절을 가지고, 하나님께서 그를 위해 그 속에 어떤 사상을 두셨는지 확실히 알기 위하여 모든 생각을 계속 집중하여, 그 사상이 자기의 것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 의미가 분명해질 때까지 한 절씩 연구해 가는 것은, 일정한 목적도 없이, 적극적으로 어떤 교훈을 얻으려는 생각도 없이 다만 여러 장의 성경을 통독하는 것보다 더 가치가 있다.”5 (138.1)
 만일 사람들이 순종만 한다면, 하나님의 정부의 계획을 이해할 것이다.6 (138.2)
 참고
 1. 복음주석(Ellen G. White, Bible Commentary), 눅 1:35.

 2. 복음 교역자(Ellen G. White, Gospel Worker), p. 302.

 3. 각 시대의 대쟁투(Ellen G. White, Great Controversy between Christ and Satan), p. 488.

 4. 리뷰 앤드 헤랄드(Ellen G. White, The Review and Herald), 1902. 5. 25.

 5. 교육(Ellen G. White, Education), p. 189.

 6. 부모와 교사와 학생에게 보내는 권면(Ellen G. White, Counsels to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Christian Education), p. 440. (1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