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리 생육 시기는 대략 성력 7월 하순부터 다음 해 1월까지이다.
2) 사도행적(Acts of Apostles), p. 44.
3) Manuscipt, 65, 1886.
4) 자서전(Life Sketches of Ellen G. White), p. 237.
5) 리즐리 하딩, p. 428.
6)
‘아비브’는 어근
‘부드럽다’는 말에서 온 말로 곡식의
‘여린 첫 이삭’을 뜻하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첫 이삭’을
‘아비브’(레 2:14)라고 칭했다.
7) 리즐리 하딩은
“칠십인역과 불가타역에서는 이 니산월을 ‘새 열매의 달’이라고 칭하였다”라고 말한다. p. 421.
8)
‘칠칠절’은 히브리어로
‘하그 사브오트’(chag Shavu'ot)인데
‘하그’는
‘순례절기’를 말하고
‘사브오트’는
‘주들’(weeks)을 의미한다.
‘샤브오트’는 주(week)를 나타내는
“샤브아”(shavu'ah)의 복수인데
‘칠’ 또는
‘일곱’을 나타내는 말
‘셰바’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므로 칠칠절을 나타내는
‘샤보오트’는 요제절인 1.16일부터
‘일곱 주간’(period of seven weeks)을 계산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날을
“맥추절”(출 23:16)이라고도 불렀는데 밭에 뿌렸던 첫 열매들을 거두는 때였기 때문이었다.
9) 레위기 23장에서는
“절기”의 의미가 두 종류로 사용되었다. 개역성경에는 모두
‘절기’로 되어 있지만 제임스왕역(KJV)에서는 단수형(feast)과 복수형(feasts)으로 표현되었다. 이 중 단수형은 39절의
‘하그’(hag)로
‘하가그’(순례절기를 지키다, 순례하다)에서 유래한,
‘순례 절기’를 의미한다.
‘하그’는 다른 본문들(출 23:15,16, 34:23; 신 16:16)에서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반면 레위기 23장에서 복수로 사용된(2, 4, 37) 절기는
‘모에드’(mo'ed)로
‘지정하다’,
‘소집하다’의 뜻을 지닌 정해진 축제일을 말한다.
10)
‘니산월’,
‘시완월’은 바벨론력에서 차용한 월명이고
‘아빕월’,
‘시브월’은 히브리 월명이다.
11)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산에 도착한 3.1일부터 3.12일까지의 명확한 날짜와 요일들은 본서 제1부,
‘B. 성소제도의 목적’ 부분을 참고하라.
12) 부조와 선지자(Patriarchs and Prophets), p.312,
“70인 장로들은 모세를 도와 이스라엘을 다스려야 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그분의 성령을 부어주시고 그분의 권능과 위대함을 나타내심으로 그들을 영화롭게 하셨다.” 13)
“안식일이었던 제칠일에 모세는 구름 속으로 부름을 받았다.” 상게서, p. 313.
14)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한지 일곱 번째 되는 안식일에 율법을 받았다. 신명기 5장 14~15절에는 안식일을 애굽 땅에서 구원받은 것을 기념하는 의미로, 구속의 기념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창조의 안식에 추가된 개념이다.
15) 모세가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 언약을 체결하고 산 위에 올라가 육일을 기다리다가
“제칠일”(출 24:16)에 부름을 받은 것으로 보아
‘제칠일’의 칠일 전이므로
‘안식일’이 되어야 한다.
16) 시내산에서 선포하신
‘모든 말씀’(출 24:7~8, 31:16, 34:10, 27, 28)을
“내 언약”(출 19:5)이라고 말씀하셨고, 이 언약의 골자는 돌비에 기록한
“언약의 말씀 곧 십계”(출 34:28)이었으며 이 가운데 특별히
“이스라엘 자손이 안식일을 지켜서 그것으로 대대로 언약을 삼을 것”(출 31:16)이라고 말씀하셨다.
17) 개역 성경에는
“일만 성도”라고 기록되어 있고 제임스왕역 성경에는
“수만 성도” 라고 되어 있다.
18) 리즐리 하딩은
“청옥은 사파이어인데 히브리어 사피르(sapphir)를 영어로 음역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보석은 투명한 청색이었으므로 하나님의 법, 곧 그리스도의 의의 표준과 연관 짓는다”라고 말한다. p. 315~316.
19) 부조와 선지자(Patriarchs and Prophets), 312쪽과 본서의 제1부
“B. 성소제도의 목적” 부분을 참고하라.
20) 상게서, p.330.
(1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