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류머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I. 설명

 류머티스 관절염은 원인 불명의 만성 질병이다. 증상은 관절통, 경직, 부종, 홍조, 열감(heat), 변형, 그리고 가동 범위의 제한 등이다. 피로, 빈혈, 체중 상실, 그리고 발열(fever) 등도 나타난다. 여성이 남성보다 2-3배 더 많으며 35-45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나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스트레스는 이 병의 발병과 관련이 있으며 과로와 급성 감염도 관련이 있다. 미국의 경우 약 500만 명이 류머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다. 일부 환자들은 불과 몇 달 동안 병을 앓다가 몇 달이나 수년 동안 병이 완화되기도 한다. 영구적으로 재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질병 완화의 가능성은 발병 초기에 더 크며 재발할 때마다 이전 보다 더 악화된다. 류머티스 발병 과정에서 막연한 통증이나 경직, 체중 상실, 그리고 손발의 마비와 쑤심이 나타나기도 한다. 팔과 팔꿈치 그리고 무릎과 발목의 관절이 가장 일반적으로 감염된다. 류머티스 관절염 환자의 10-15% 정도가 침상 생활을 하거나 의자 차에 의존하게 된다. (163.1)
 II. 예방 및 치료
 1. 저 지방 식사가 치료에 도움이 된다. 환자가 저 지방 식사를 먹지 않게 되면 증상이 다시 악화된다. (164.1)
 2. 금식은 일시적인 회복을 가져오지만 금식이 끝나면 다시 통증과 부종과 경직이 나타난다. (164.2)
 3. 저 알레르기성 음식이 류머티스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1949년에 확인되었으며 1981년에는 류머티스 환자 중의 86%가 알레르기에 대한 반응으로 류머티스 증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일부 환자들은 여러 가지 식품에 대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데 일반적인 알레르기원은 콩 식품들, 우유, 계란, 커피, 그리고 설탕 등이다. 밀이나 호밀 그리고 귀리를 많이 먹는 사람들이 발병률이 높으며 가지과 식물도 발병을 일으키는 식품에 속한다. (164.3)
 4. 많은 관절염 환자들이 빈혈을 가지고 있는데 철분 함량이 높은 식품을 섭취해야 한다. 그러나 알약으로 된 철분을 먹으면 증상이 더 악화된다. 3일 동안 철분 약을 먹었더니 통증이 2배로 증가하고 아침 경직성은 15분에서 60분으로 늘어났으며 쥐는 힘은 30% 감소되었다. (164.4)
 5. 우유와 치즈를 삼간다. 어느 여성 환자가 우유와 치즈를 먹지 않은지 3주 후에 상태가 좋아지다가 결국 아침 경직이 완전히 사라지고 염증도 거의 완전히 없어졌다. 한번은 부주의로 낙농 식품을 먹었더니 12시간 안에 다시 증상이 나타났다. 영국 캠브리지에 있는 아덴브르크 병원(Adden -brookes Hospital)에서 토끼에게 우유를 먹였는데 관절 병변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거스타프 왕 5세 연구소(King Gustaf V Research Institute)에서 가장 놀라운 연구 보고가 나왔는데 류머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요인은 우유에 있는 감염성 균이라는 사실이다. (164.5)
 6. 류머티스 관절염은 바이러스성이다. 관절염 환자들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찰한 바에 의하면 발병 전 5년 동안 개, 고양이, 새, 그리고 병든 짐승에게 더 많이 노출되었다는 것이다. (165.1)
 7. 일련의 환자들에게 2주일 동안 싱싱한 과일과 야채를 각각 다른 끼니에 먹게 하였는데 상태가 아주 좋아졌으며 그 후 2주 동안 요리한 곡류 음식을 제공하였는데 계속 상태가 호전되었다. 이 기간 동안에 무염식을 유지하였다. (165.2)
 8. 운동은 류머티스 관절염을 위한 물리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일 요소이다. 운동은 최고 수준의 기능을 유지하게 하며 약한 근육을 강하게 한다. 결국 운동은 통증을 완화시키고 운동을 계속 하지 않으면 통증이 증가한다. 운동과 휴식의 균형은 필수적이다. 과로는 관절 염증을 악화시킨다. 과로의 일반적인 증상은 피로이므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운동을 하면 잠시 동안 통증을 느끼게 되지만 운동 후에도 여러 시간 동안 통증이 계속되면 이것은 과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아령이나 도르래 운동은 팔꿈치와 어깨에 좋고 자전거를 타는 운동은 골반과 무릎 동작을 향상시킨다. (165.3)
 9. 필요에 따라 근육 이완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165.4)
 10. 침상 휴식은 급성 환자에게 중요하다. 더 심한 급성이거나 더 많은 관절이 감염되었을 경우 침상 휴식의 유익은 더 크다. 완전한 침상 휴식은 항염증 작용을 한다. 가벼운 류머티스 관절염 환자는 낮 시간 동안 2-4시간의 휴식이 적합하다. 침상은 단단하고 고정되어야 하고 환자는 똑바로 누워야 한다. 무릎 밑에 베개를 놓지 말 것이다. 이런 자세는 무릎 굴곡 구축을 일으킨다. 엎드린 자세로 30분 정도 매일 2-3번 반복하면 골반 굴곡 구축을 예방할 수 있다. 베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환자가 고집하면 아주 낮은 베개를 사용하게 한다. 작은 베개를 발목 밑에 놓으면 무릎을 펴지게 하며 팔꿈치나 손목 밑에 놓으면 팔을 펴지게 한다. 손은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한다. (165.5)
 11. 체중 조절을 하면 체중을 받는 관절의 긴장을 줄여준다. (165.6)
 12. 언제나 똑바른 자세로 일하도록 한다. 통증과 부종은 자세의 변형을 가져오게 하며 근육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165.7)
 13. 밤에 탄력성 있는 장갑을 착용하면 손을 따뜻하게 하고 손가락의 무감각과 쑤시는 것을 줄여준다. (165.8)
 14. 원적외선 온열매트를 36-42°C 사이에 맞추고 잠을 자면 아침 경직을 감소시킨다. 전신 열 치료를 위해서는 원적외선 온열매트를 70°C에 두고 40-60분 동안 적용하고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한다. 치료 후에는 치료한 시간만큼 누운 자세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한 다음에 이동을 하도록 한다. (165.9)
 15. 아침 기상 후 온수 침수 욕이나 온수 샤워를 하면 아침 경직을 감소시킨다. (166.1)
 16. 환부에 젖은 열 습포를 15-30분 간 매일 2회 적용하면 근육 경련과 강직을 줄여준다. 특히 운동 전에 적용하면 좋다. 열은 건을 더 유연하게 하고 활액의 체온을 낮추어준다. (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