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의 드라마 성소 제 4 장 유월절 어린양을 예표(豫表)하는 번제단과 물두멍
 7. 예수님의 십자가로 성취된 뜰의 봉사
성소 뜰 봄절기(성력) 표상(Type) 원형(Antitype) 時(A.D. 31년)
번제단(희생과 죄 제거) 유월절(1.14) 양의 죽음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 1.14(금)
무교절(1.15) 누룩을 제거, 무교병, 안식함 죄의 누룩을 제거 “큰 날”(요 19:31), 무덤에서의 안식 1.15(토)
물두멍 요제절(1.16) 홍해에서 침례 (고전 10:2) 첫 열매로 부활 1.16(일)
(84.2)
 8. 그리스도의 몸을 예표(豫表)하는 세 절기
성소 뜰 봄절기의 그림자 원형
번제단 유월절 그리스도의 대속(칭의), 금요일 오후 3시에 희생당하심
무교절 그리스도의 성결(성화), 안식일에 무덤에서 쉬심
물두멍 요제절 그리스도의 부활(영화), 일요일 아침에 부활하심
(84.3)
 9. 유월절 대신에 제정된 두 제도
 유월절은 유월절 어린양의 원형이 희생되심으로 성만찬 예식으로 대처되었으며 최초의 성만찬 예식의 집전자도 그리스도 이셨다(고전 11:23~26). 요제절은 예수님의 부활로 성취되었고, 이 제도는 침례로 대치되었다(벧전 3:21; 롬 6:1~6; 딛 3:5). "이미 목욕한 자"인 수침자라 할지라도 수시로 세족예식을 행함으로 주의 부활을 기념해야 한다(요 13:10). (85.1)
성소 봄절기(성력) 혈통적 이스라엘 원형이신 그리스도 영적 이스라엘
번제단 유월절(1.14) 어린양의 피를 바름 십자가 성만찬
무교절(1.15) 무교병, 절기 안식일, 출애굽 무덤에서 안식, 어릴 때 애굽(마 2:15; 슥 10:1)에서 나옴 침례, 세족예식
물두멍 요제절(1.16) 홍해를 건넘 부활
성소 오순절(3.6) 율법을 받음, 언약의 백성 하늘 성소, 봉사의 시작 오순절 성령, 교회 탄생
(85.2)
 참고
 1) 리즐리 하딩은 “유월절”(Passover)이란 말은 히브리 단어 페샤(pesah)를 번역한 것인데, 이 단어는 ‘뛰어넘다’, ‘나아가서 살려 두다’, ‘자비를 보이다’란 뜻의 원형 파샤에서 파생한 것이다.”라고 말한다. p. 420.

 2) 부조와 선지자(Patriarchs and Prophets), p. 277.

 3) 상게서, p. 274.

 4) 유월절 양을 잡는 시간을 나타내는 “해질 때”는 히브리어 “벤 하아르바임”는 히브리인들의 둘 사이를 뜻하는 관용적인 표현인 전치사 “벤”(between)과 저녁을 나타내는 명사 “에레브”와 복수를 나타내는 “임”의 합성어이다. 그러므로 문자적으로는 “(두) 저녁 사이”(between two evenings)가 된다. 히브리인들의 문화에는 오후가 시작되는 12시와 해가 지는 저녁인 6시가 있었다. 이 두 저녁 사이라면 오후 3시가 된다. 이것은 레 23:5 “정월 십사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니”와 민 9:3, 5 “십사 일 해 질 때”에도 똑같은 단어로 사용되었다. 더욱이 상번제 중 저녁 제사 드리는 시간인 오후 3시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어와도 같다. 출 29:39 “저녁 때”와 민 28:4 “해질 때”를 나타내는 말은 모두 “벤 하아르바임”이다. 그러므로 마 27:46에 기록된 “제 구시”(유대시간 9시는 우리 시간 3시임)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예수님께서는 오후 3시에 돌아가셨다. 그러므로 “해질 때” 즉 두 저녁 사이는 오후 3시를 말하는 것이 확실하다.

 5) 시대의 소망(Desire of Ages), p. 786.

 6) 리즐리 하딩, p.430.

 7) 각 시대의 대쟁투(Great Controversy between Christ and Satan), p.399. (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