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들이 일반적으로 다니엘의 “주일”(weeks)을 여러 해로 해석하는 데 찬성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과거 주의자든지 미래주의자든지 역사주의자든지 막론하고, 한 마디로 문자적인 69주일이나 70주일은 예루살렘의 성전과 성읍을 재건하기에 충분한 기간이 못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니엘 9장에서는, 다니엘 예언들의 일차적인 성취가 기원전 2세기에 일어났다고 보는 과거주의자들까지도 다니엘 7, 8장의 시간 예언에서 역사주의자들이 직면하는 동일한 문제를 다뤄야 한다. 다시 말해서, 시간에 관련된 예언적 진술을 장기간의 역사적 실제에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문자적으로 이해한 기간이 해석의 틀에 맞추기에 너무 짧아지면, 과거주의, 미래주의, 역사주의자를 막론하고 우리 모두는 날이 해를 상징한다고 할 수 밖에 다른 선택이 없다. (339.3)
 하지만 해석자들은 다니엘 9:24, 25에 나오는 해에 대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이 구절에서 “주일”에 해당되는 히브리 낱말은 샤부아(shabua)이다. 일부 과거주의자들과 미래주의자들은 샤부아“일곱들”(“sevens”(NIV), “heptads,” “hebdomads,” 일곱으로 된 한 묶음)로 번역하는 것을 선호한다. 날과 관련이 있는 “주일”(week)라는 번역을 회피함으로써, 그들은 상징적인 연—일 과정을 통하여 이 결론에 도달하지 않고서도 “해”샤부아의 문자적인 의미라고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과거주의자와 미래주의자들에게 매력이 있는 것은, 날이 해의 상징이라고 해석하지 않고서도 샤부아라는 말의 의미를 “해”라고 할 수 있다면, 다니엘 7장8장에 나오는 시간 예언에 연—일 원칙을 적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셰이는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339.4)
 번역을 이런 식으로 [샤부아“일곱들”(sevens, heptads, hebdomads)로 번역]하는 한 가지 이유는 다니엘 9장의 70주일 예언을 그 책의 다른 시간 예언들과 분리시켜서 그것만 독특한 종류로 취급하기 위함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역사주의 해석 체계가 옹호하는 연-일 원칙의 영향을 무디게 하는 효과가 있다 (340.1)
 만약 그렇게 하여 다니엘 9:24-27의 해석에서 연—일 원칙의 기능을 부정할 수 있다면, 과거주의자와 미래주의자들 공히, 그것을 다른 시간 예언에 적용하는 것도 거부할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된다 한편, 다니엘 9장“주일”“날들”에 연—일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면, 동일한 법칙을 다니엘의 다른 시간 예언에 나오는 “날”에도 적용하는 것이 논리적이다.17) (340.2)
 그러므로 다니엘 9:24-26의 샤부아는 “주일”(weeks)로 번역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일곱”(sevens)으로 해야 할 것인가? (340.3)
 구약에서 샤부아라는 단어가 다니엘 외에는 13회 등장한다. 그 열세 번 모두, 거의 모든 영어 번역본에서 샤부아“주일”(weeks)로 번역하므로, 다니엘 9장에서만 그것을 “일곱”으로 번역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샤부아는 다니엘 10:2, 3에도 나오며, 거기서는 그 말을 “주일”로 번역하였다. 다니엘 밖에 나오는 열세 번의 샤부아의 용례 중 일곱 번은 이스라엘의 칠칠절(Feast of Weeks [샤부아])(참조 출 34:22; 민 28:26;신 16:10)과 연관이 있다.* 이것을 “일곱의 절기”라고 번역한다면 말이 안 될 것이다.

 
신약에서는 “오순절”이라고 부른다(참조 행 2:1) (340.4)
 셰이는 “다니엘 안의 다른 곳, 구약의 다른 곳, 성경 밖의 히브리어, 셈계통의 동족 언어들에서 [샤부아의] 용례들은 모두 이 단어가 ‘주일’로 번역되어야 함을 가리킨다. 이 모든 자료들 중 하나에서도 이 단어를 ‘주일’ 외에 다른 말로 번역하는 것을 뒷받침할 증거를 얻을 수 없다.”18)라고 결론을 내린다. (341.1)
 어떤 비평가들은 다니엘 9:24, 25에서 샤부아라는 낱말의 어미가 남성형으로 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였다. 반면에 구약의 다른 곳에서 그 단어의 어미는 여성형이다. 거기에 대한 셰이의 해설은 매우 간단하다. 다니엘 9장에서 이 단어의 남성 복수형 어미는 구약 다른 곳에서 여성 복수형 어미를 가진 것과 대조되는데, 그것이 양성(兩性)을 가진 다수의 히브리어 명사 중 하나임을 보여주는 것 말고는 별 의미가 없다.”19) (341.2)
 잘 운용(運用)되는 원칙
 나는 연—일 원칙에 대한 이 논의를 다니엘 9:24, 25에서 그것이 매우 정확하게 성취되었음을 지적함으로써 마무리하려고 한다. 제25장에서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나는 여기서 그것을 그저 요약하려고 한다. “예루살렘을 회복하고 건축하라”는 아닥사스다의 칙령은 기원전 457년에 반포되었다. 그 연대는 고대 역사의 여느 연대와 마찬가지로 확실하게 고정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하게 69주일(연—일 원칙을 따라 483년) 후인 기원후 27년에 예수께서 침례를 받으셨다. 성경에서 이보다 더 정확하게 성취된 예언은 없다. 이로써 연—일 원칙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묵시적 시간 예언에도 그것을 적용할 만한 확신을 우리에게 준다. (341.3)
 일부 비평가들은 다니엘 7장8장은 대단히 상징적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9장은 가브리엘이 다니엘에게 해설을 해주는 등 상당히 문자적이라는 이유로, 연—일 원칙을 다니엘 9장에서 7장8장으로 옮겨가는 것에 반대해왔다. 문자적인 구절에서 나온 해석원칙을 상징적인 구절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논리인 것이다. (341.4)
 누가 그러더냐? 라고 나는 묻고 싶다. 상징적인 구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왜 문자적인 문맥의 해석 방법을 상징적인 문맥에 적용할 수 없는가? (342.1)
 또, 다니엘 7장8장이 대단히 상징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완전히 그런것은 아니다. 7장의 거룩한 이들은 문자적이며, 옛적부터 계신 이, 그분의 보좌를 둘러싼 천사들, 그들이 참석하고 있는 심판도 다 그렇다. 8장에서도 군대의 주재와 그분의 성소, 땅에 던져진 진리도 문자적이다. 모든 상징적인 예언은 말이 되게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문자적인 요소를 필요로 한다. 백퍼센트 상징적인 예언 구절은 극히 해석하기 힘들다. 좋은 예가 요한계시록 8:6-12의 네 나팔이며, 대다수의 재림교회 해석자들은 그것을 상징으로 이해한다. 이 구절은 실제로 너무나 상징적이어서 그 의미에 대해서는 단 두 명의 해석자도 일치하는 의견을 거의 볼 수가 없다. (342.2)
 중요한 점은, 대부분의 상징적 예언에 얼마간 문자적인 표현이 들어있듯이, 9:24-27에서 가브리엘이 다니엘에게 말하는 설명도 대부분 문자적이지만 어느 정도는 상징적인 표현들도 또한 들어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특정한 유형의 예언에서 작동되는 해석의 원칙이 다른 유형에는 안 된다고 누가 말할 수 있겠는가? (342.3)
 그 밖에도 연—일 원칙에 대한 많은 찬반양론이 있어왔으나, 이 장에서 내가 여러분에게 소개한 내용만 가지고도 나는 그 원칙이 확실한 성경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20) (342.4)
 〈미주〉----------------------------------

 1) Ford, appendix F in Daniel, 300-305.

 2) Ford, “Daniel 8:14,” 295; 강조는 원문에 있는 것임.

 3) Cottrell, “The ‘Sanctuary Doctrine,’ 23.

 4) Ford, “Daniel 8:14,” 60에서 재인용

 5) Shea, Selected Studies in Prophetic Interpretation, 74.

 6) Pfandl, “The Year-Day Principle,” Reflections, 1-3.

 7) Thomas R. Birks, First Elements of Sacred Prophecy (London:William E. Painter, 1843), 352, Pfandl, “The Year-Day Principle.”에서 재인용.

 8) Cottrell, “The ‘Sanctuary Doctrine,’ 26.

 9) Shea, Selected Studies in Prophetic Interpretation, 105.

 10) Ibid., 106.

 11) Ibid.

 12) Ibid., 110.

 13) Ibid., 83.

 14) Ibid., 81.

 15) Ibid, 89.

 16) Harper Study Bible, 1312; 강조는 원문에 있는 것임.

 17) Shea, Selected Studies in Prophetic Interpretation, 89.

 18) Ibid., 91;강조는 첨가된 것임.

 19) Ibid., 90.

 20) 연—일 원칙을 뒷받침하는 더 충분한 자료를 보려면, Shea, Selected Studies in Prophetic Interpretation, 67-110을 참조하라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