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들이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하여 성경은 매우 분명하다. “서서 기도할 때에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 그리하여야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도 너희 허물을 사하여 주시리라 하셨더라”(막 11:25) (69.1)
하나님께서는 용서하기를 거절하는 것은 그분과의 관계에 방해가 되고 육적 그리고 정서적 건강문제들을 야기할 것이기 때문에 용서하라고 명하신다. 용서하지 않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우리의 영원한 운명을 위태롭게 한다. (69.2)
“모든 사람으로 더불어 화평함과 거룩함을 좇으라 이것이 없이는 아무도 주를 보지 못하리라 너희는 돌아보아 하나님 은혜에 이르지 못하는 자가 있는가 두려워하고 또 쓴 뿌리가 나서 괴롭게 하고 많은 사람이 이로 말미암아 더러움을 입을까 두려워하고”(히 12:14-15) (69.3)
하나님의 말씀은 분명하다. 어떤 사람을 용서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것은 우리를 영원한 멸망으로 인도하며 다른 사람들로 하나님을 거절하도록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하바드 여자건강 지킴이의 기사는 “용서할 수 있는 것은 신성할 뿐 아니라, 그것은 여러분들의 지적 그리고 육적 건강에 축복이 될 수 있습니다.”라고 기술한다. 용서하지 않는 태도는 큰 긴장을 주는 사건들처럼 몸에 반응이 나타나게 한다. 그것은 근육을 긴장시키고 진땀이 나게 한다. 다른 한편 용서는 긴장을 해소하고 심장박동과 혈압을 낮아지게 한다. 그것은 어느 정도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69.4)
개인과 사회 정신학 게시판에 나온 연구는 용서가 용서 받은 사람과의 부정적인 관계를 긍정적인 관계로 전환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하여 용서는 다른 사회적 관계들을 증진시키는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예를 들면 용서는 좋은 사업에 자원봉사하며 헌금을 더 하게끔 만들기까지 한다. (69.5)
그리스도인들로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무슨 일을 하였든지 아무에게도 분노를 품고 있을 아무 권리가 없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신 바로 그대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용서해야 한다. 실제로 문제는 자존심이다. 자주 우리는 상처받은 자존심 때문에 용서하지 않고 분노한다. (69.6)
“우리의 평화를 깨뜨리는 것은 자신에 대한 사랑이다. 자아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언제나 그것이 굴욕과 모욕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어 태세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죽고 우리의 생애가 그리스도로 더불어 하나님 안에 감추어질 때는, 무시나 경멸을 조금도 괘념치 않게 될 것이다. 비난에 대하여 귀머거리가 되고, 조소와 모욕에 대하여는 소경이 될 것이다.”(보훈, 16) (69.7)
“우리가 참된 온유와 겸손을 소유하면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깊이 잃어버린바 되어 소홀히 여김을 받은 것이나 경멸당한 것을 마음에 두지 않는다. 우리는 비난에 대해 귀먹고 놀림과 모욕에 대해 눈먼다.”(2증언, 567) (69.8)
진정한 문제는 사랑이다. 우리는 본성적으로 사랑하지 않고 용서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의 영으로 채워질 때, 그분의 사랑도 “우리 마음에 부은 바”(롬 5:5)될 것이다. (69.9)
그런 사랑은 그 자체가 다른 사람들을 향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날 것이다. (69.10)
“사랑은 오래 참고 친절하며, 결코 질투하거나 시기하지 않고 결코 자랑하거나 교만하지 않으며 결코 오만하거나 이기적이거나 무례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자기 자신의 길을 고집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민감하거나 성마르지 않습니다. 그것은 인색하게 굴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이 잘못하더라도 알아채지도 못합니다. 그것은 결코 불공정을 좋아하지 않으나 진리가 승리할 때는 기뻐합니다. 만일 당신이 누구를 사랑한다면 어떤 값을 치르더라도 그에게 충실할 것입니다. 당신은 언제나 그를 믿으며 언제나 그의 최선을 기대하며 언제나 굳게 서서 그를 방어할 것입니다.”(고전 13:4-7, 현대어) (69.11)
그러므로 용서치 않으려는 유혹을 받을 때, 우리는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향하여 그분의 사랑과 동정과 용서를 우리 안에서 타나내시도록 그리스도께 요청해야 한다. 이런 태도가운데서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를 통하여 그분의 사랑의 성품을 나타내시도록 허락할 것이며, 그것은 예수께서 재림하실 때 그분을 만나려고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의 경험이 될 것이다. 그 결과로 용서는 우리 자신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현세와 영원한 유익이 될 것이다. (69.12)
개인적인 숙고와 토의
1. 용서치 않는 태도에 관한 성경의 권면은 무엇인가?
2. 용서를 미루고 있는 것과 관련된 육적건강문제들의 얼마는 무엇인가?
3. 용서치 않음과 연관된 부정적 정서들은 무엇인가?
4. 용서치 않음에 대하여 엘렌 화잇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5. 용서치 않는 태도를 유지하면 만나는 영원한 결과들은 무엇인가?
6. 용서치 않는 태도를 버리는 해결책은 무엇인가? (69.13)
기도활동
● 기도 파트너를 불러 기도력을 공부하라.
● 기도파트너와 함께 기도하라.
1. 성령께서 침례를 베푸시도록 간청하라.
2. 그대와 가족이 당신들에게 상처를 입힌 사람들을 용서하도록 도와주시기를 간구하라.
3. 그리스도께서 그대 안에서 그리고 그대를 통하여 사랑과 동정과 용서를 타나내시게 하는 방 법을 배우도록 도와주시기를 간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