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낫고자 하느냐 제 1 장 천연 식이요법의 원리와 각종 질병의 식이요법 및 처방
 66. 애디슨씨 병
 비교적 드문 병입니다만 일단 걸리면 적지 않게 고통이 됩니다. 원기가 떨어지고, 자극을 받는 곳, 허리띠 매는 곳 등에 까맣게 색소가 침착합니다. (104.3)
 유기 소디움의 결핍 때문에 생긴 부신 수질의 질환으로서, 위장 청소에 이어서 여기에는 로메인 상추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비트, 샐러리, 상추도 많은 유기 소디움의 공급원이 되고, 딸기, 토마토, 무화과, 꿀, 알몬드도 유익합니다· (104.4)
 67. 아데노이드(편도선 비대증)
 편도선의 염증이 계속 반복되는 경우에 생기기 쉬운 병으로서, 우유나 설탕 종류, 생명이 없는 전분의 과다 섭취로 생깁니다. 이 병 자체도 문제이려니와 이 때문에 다른 병 특히 신장이나 심장병을 유발하기 쉽고, 관절 류마티스나 신경통 등의 원인도 됩니다. 이 병이 계속되면 지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듯합니다. (104.5)
 음식에 대한 철저한 주의와, 지렁이 찜질을 밤마다 최소 2주일 계속할 것과, 당근 10 온스, 시금치 6 온스의 즙은 치유를 촉진합니다. (105.1)
 68. 빈 혈
 비교적 흔한 병입 니다. 어지러우면 빈혈이라고 속단을 합니다만, 그 원인은 피 속의 적혈구 (赤血球)의 감소 때문입니다. (105.2)
 생명력이 없는 식품의 계속적인 섭취로 영양의 흡수에 지장이 있어서, 유기 철분 부족으로 조혈(造血)이 잘되지 않는 경우와, 계속적인 출혈 즉 치질이라든지 자궁 출혈, 코피, 또는 십이지장층으로인한 실혈 등으로 생깁니다. (105.3)
 엽록소가 많은 푸른 채소, 파래 등, 또는 철분이 많은 사과도 많은 도움이 되며, 당근 10 온스, 시금치 6 온스의 즙과, 당근 7 온스, 샐러리 4 온스, 시금치 3 온스, 파슬리 2 온스의 즙과, 당근 8 온스, 샐러리 5 온스, 비트 3 온스의 즙은 치료를 촉진시킵니다. (105.4)
 69. 저혈압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은 반면에 혈압이 표준 이하로 낮아서 불편을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정상 표준 혈압이 120/80이나, 그 이하라도 별로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 상관할 것 없습니다. 그러나, 기운이없고 어지럽고 쉽게 피곤하면 문제가 됩니다. (105.5)
 일시에 일어난 많은 출혈로 저혈압이 되기도 하지만, 생명력이 없는 죽은 음식의 섭취와, 수분 섭취 부족으로 탈수(脫水)가 되어서 일어나는 수도 있습니다. (105.6)
 현미 천연식과 아울러 다음의 채소즙은 크게 도움이 됩니다. 당근 10 온스, 시금치 6 온스의 즙과 당근 7 온스, 샐러리 4 온스, 시금치 3 온스, 파슬리 2 온스의 즙과, 당근 10온스, 비트 3온스, 오이 3 온스의 즙의 계속 사용과 하루 최소 6 컵의 물을 마실 것입니다. (106.1)
 70. 시력 이상(視方異常)
 오늘날은 소위 안경 시대라고나 할까요 세 사람 중 한 사람은 안경을 쓰고 있습니다. 물론, 나이가 많아 노안(老眼)이 되어서 돋보기를 사용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하겠으나, 초등학교 다니는 어린이들이 안경장이가 많을 뿐만 아니라 점차로 그 수자가 느는 경향이 있음은 무엇인가 잘못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106.2)
 어린이가 두꺼운 안경을 쓰고 있는 것을 보면 애처롭기만 합니다. TV를 가까이서 많이 보아서 그렇다 저렇다하나, 결국은 체내의 칼슘 부족이 빚어낸 현상이 아닌가 합니다. 좋은 예로서, 현미 천연식을 하는 어린이에게서는 근시를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106.3)
 근시, 원시외에 난시 등 시력 이상이 허다하나, 그 원인은 역시 대동소이합니다. 생명력이 없는 식품, 각종의 가공식품, 설탕 과용이 빚어낸 일종의 비극입니다. (106.4)
 현미 천연식에 다음과 같은 채소즙을 하루 2 회씩 1 년간 계속하면 시력이 경이적으로 회복됩니다. 즉, 당근 7 온스, 샐러리 5 온스, 엔다이브 2 온스, 파슬리 2 온스의 즙입니다. 그리고 눈의 운동에도 효과가 있는데 눈을 일정한 물체에 고정시키고 상하 좌우로 돌리고, 그 다음에 둥글게 돌리고 나서 두 눈을 손가락으로 잠시 가볍게 누릅니다. (기적을 낳는 현미 p. 306 참고) (106.5)
 71. 무도병(舞消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