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늘로 「The Sabbath In Scripture and History」(ed., by Kenneth A. Strand,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82)의 번역을 완료하였다. 「성경과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이란 책명으로 이 책이 한국에서 출판됨으로써 필자는 큰짐 하나를 내려놓는 것이다. (12.1)
 필자는 안식일 신앙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과 삼육대학교 신학부와 대학원에서 “안식일의 신학과 역사” 란 과목을 교수하는 공적인 책임 때문에 그동안 안식일에 관한 몇 권의 역서와 저서들을 이미 출판하였다. 번역서들로는 Samuele Bacchiocchi의 「Divine Rest for Human Restlessness」(안식일의 역사와 신학, 1980)와 Abraham Joshua Heschel의 「The Sabbath, Its’ Meaning for Mordern Man」(安息日, 時間속의 至聖所, 1981), 그 리고 Roy Branson 이 편집한「Festival of the Sabbathy」(안식일: 창조와 구속과 소망의 축제, 1994)등이 출판되었으며, 저서로서는 안식일과 십자가」(1998년)와 「주님의 기도와 안식일 신앙」(1998년)이 출판되었다. 위의 책들은 대부분 안식일 신앙의 의미를 밝히는 책들이었다. 필자의 주요 관심이 “안식일 신앙의 의미”에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12.2)
 그런데 이번에 나오는 「성경과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는 제목 그대로 안식일에 관한 모든 주제들을 창세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전체 시 공간에서 다룬 역작이다. 1982년에 제칠 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신학을 대표하는 앤드루스 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전, 현직 교수 20 여명이 동원되어 완성해 낸 안식일의 역사와 신학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 신앙의 1세기 반에 걸친 역사의 기념비적인 책이며 안식일과 일요일에 관한 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가 온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큰 업적이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의 학문적 활동을 대표하는 앤드루스 대학교 신학대학원의 견고하고 진지한 학문성과 성서적 진실성을 온 세계에 내비치는 업적이다. 이제 이 책을 한국어로 출 판하여 한국의 관심있는 독자들의 선한 용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어 역자로서도 큰 보람을 느낀다. (12.3)
 앞에서 언급했지만 20여명에 달하는 이 책의 집필자들은 모두 그 해당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이 시대에 안식일과 일요일에 관련된 주제들을 위하여 이들 이상의 필진을 찾 아내기가 진실로 어려울 것이다. 부디 이 책이 한국의 목회자들, 신학생들, 그리고 학구적인 많은 평신도들에게 애용되어 하나님의 선하신 뜻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12.4)
 오늘 번역을 다 마치고 역자의 서문을 끝내는 이 순간에 필자는 그동안 필자와 함께 고 생한 김현태(삼육대학교 대학원 재학)군의 노고를 잊을 수 없다. 더운 여름 방학과 추운 겨울 방학을 포함하여 일년 내내 필자의 번역 원고를 타이핑해낸 그의 수고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이같은 결실을 기대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리고 또 한 사람이 있다. 삼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과정에 수학하고 있는 이국헌 목사이다. 이 책의 편집 등 여러 가지 귀찮은 작업을 그가 다 담당했다. 마음 깊이 고마움을 금치 못한다. 이 외에도 편집업무를 도와주신 삼육대학교 김해동 장로의 노고에 대해서도 이자리를 빌어 고마운 뜻을 전한다. (12.5)
 그리고 마지막으로 선한 용도를 위해 이책의 교비 출판을 결정해 주신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한국연합회장 신계훈 목사님을 위시한 관계자 여러분들과 출판을 담당한 시조사의 여러분들에게 감사한다. (13.1)
몇 년만에 눈이 많이 내린 2001년 1월 삼육대학교의 연구실에서
오만규
(13.2)
  • 1